영어학습사전 Home
   

과학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agedate 〔´eidзd`eit〕 (발굴물등의)연대를 과학적으로 결정하다

antiscience 〔`æntis´ai∂ns〕 인간성을 무시한 과학에 반대하는, 반과학(주)의

antitechnology 〔`æntitekn´al∂dзi〕 반기술, 과학 기술 만능주의 반대

atomistics 〔`æt∂m´istiks〕 원자 과학(특히 원자력의 개발, 이용을 취급)

audiology 〔`o:id´al∂dзi〕 청각 과학, 청력(청각)학, 청능학

bell garham 〔belgr`ei∂m〕 미국의 과학

Big Science 거대 과학(대규모의 과학 연구)

biocrat 〔b´aioukr`æt〕 생물 과학자(전문가, 기사)

bioresearch 〔b`aiouris´∂:rt∫〕 생물 과학 연구

bioscientific 〔b`aious´ai∂nt´ifik〕 생물 과학의, 우주생물학의

boffin 〔b´afin〕 과학

clockwork orange 과학에 의해서 개성을 상실하고 로보트화한 인간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

computer scientist 컴퓨터 과학

creation science 천지 (창조) 과학

crime laboratory 과학 수사 연구소

criminalistics 〔kr`im∂n∂l´istiks〕 범죄 과학, (범인)수사학

critical path analysis (method)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프로젝트의 계획.관리를 과학적으로 하는 방법)

Crookes 〔kruks〕 크록스(영국의 과학자)

Curie 〔kj´u∂ri〕 퀴리(리듐을 발견한 프랑스의 과학자 부처), 퀴리(방사능 강도의 단위)

da Vinci 〔d∂v´int∫i〕 Leonardo(1452, 1519)이탈리아의 화가 조각가, 건축가, 과학

denotative 〔din´out∂tiv〕 외연적인, 객관적인, 과학적인

elegance 우미, 우아, 단아, 고상함, 과학적인 정밀성, 우아한 말씨

environmental science 환경 과학

ethnoscience 〔`eθnous´ai∂ns〕 민족 과학, 민족지학

exact science 정밀 과학(수학, 물리학 따위)

exact science 정밀 과학(수학, 물리학 등)

F.A.A.A.S. fellow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미국 과학 협회 회원, fellow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미국 과학 진흥회 회원

fanzine 〔f´ænzi:n〕 공상 과학 소설 잡지

fieldworker FIELDWORK를 하는 과학자, 기술자, 학생(등)

food science 식품 과학

Four Modernizations (중공의) 네가지 근대화(농업, 공업, 국방, 과학기술)

franklin 〔fr´æŋklin〕 자유 보유 지주, 미국의 정치가, 과학

GEOARCHIVE 〔dз`i:ou´a∂rkaiv〕 지구 과학 관련의 정보를 총망라하여 수록한 데이터 베이스

geoscience 〔dз`i:ous´ai∂nts〕 지구 과학, 지학(지질학, 지구 물리학, 지구화학등)

geoscientist 〔dз`i:ous´ai∂ntist〕 지구 과학

geotechnology 〔dз`i:outekn´al∂dзi〕 지질 공학(공학, 과학의 수법을 이용하는 발전)

hard science 자연 과학

hard science 자연 과학(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 등

high technology 첨단 기술, 고도 과학 기술, 하이 테크놀로지

hightechnology 〔h´ait´ekn´ologi〕 첨단 기술의, 고도 과학 시술의

human sciences 인문 과학(인류학, 언어학, 사회학, 문학, 심리학 등의 총칭)

humane 인정있는, 친절한, 사람을 고상하게 만드는, 우아한, ~ studies 인문 과학

humanity 〔hju:m´æn∂ti〕 인류, 인간, 인간성, 인간임, 인정, 박애, 사람의 속성, 자선 행위, the humanities 그리스, 라틴 문학, 인문 과학(어학, 문학, 철학, 예술 따위)

humboldt 〔h´∧mboult〕 훔볼트 Friedrich Heinrich Alexander von(1769-1859)(독일의 자연 과학자, 저술가)

interlingua 〔`int∂rl´iŋgw∂〕 과학자용 인공어, 국제어, 국제어

KAI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한국 과학 기술원

management science 경영 과학, 관리 공학

marine science 해양 과학

materials science 재료 과학, 재료학

megatechnics 〔m´eg∂t`ekniks〕 거대 과학 기술

mission specialist 우주선에 탑승하는 과학

Mohole 〔m´ouh`oul〕 모홀 계획(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지구 내부 구조 규명 계획)

naturalism 〔n´æt∫∂r∂l´izm〕 자연주의(현실 또는 자연의 객관적 진실 묘사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주의(본능에 따라 행동하는), (철)자연주의(자연을 중시하고, 모든 현상을 과학적 법칙으로 설명하는), (신학)자연론(종교적 진리는 자연에 대한 연구에서 얻

new archaeology 신고고학(최신 통계, 과학기술의 방법으로 연구하는 고고학)

NISI National Institut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국립 과학 수사 연구소

ology 〔´al∂dзi〕 과학, 학문

operationalism 〔`aз∂r´ei∫∂n∂l`izm〕 조작 주의(구체적 조작에 의해 정의 될 때 과학적 개념은 객관화된다는 설)

operations research 기업 경영상의 과학적 조사 연구, 작전 연구

parapsychology 〔p´ær∂saik´al∂dзi〕 초 심리학, 심령 현상의 과학적 연구 분야

prescientific 〔pr´e∫i∂ntifik〕 (근대)과학 발생 이전의, 과학 이전의

pseudoscience 〔s`u:dous´ai∂ns〕 의사 과학. pseudoscientific a.

Pugwash conferences 퍼그워시 회의(핵무기 폐기, 세계 평화 등을 토의하는 국제 과학자 회의)

pupa 〔pj´u:p∂〕 번데기(chrysalis의 과학적 명칭). pupal a.

refusenik, -fus- (소련에서)출국이 금지된 사람(시민, 과학자), 국외 이주가 허가되지 않은 유대인

research 〔ris´e:rt∫〕 (학술)연구, 과학적 탐구, 학술조사, (신중한)수색, 탐구, 조사, 연구 능력, 연구심, 연구하다, 조사하다, ~able

Royal Institution (the ~)영국 왕립 과학 연구소(R.I)

science 학문, 지식, 과학, (권투 따위의) 기술

scientific 〔s`ai∂nt´ifik〕 과학의, 과학적인, 학술상의, 정확한, 기량이 있는, 숙련된

scientism 〔s´ai∂nt`izm〕 (종종 경멸적)과학(만능)주의, (인문 과학에 있어서)과학적 태도(방법).과학 용어

scifi 〔s´aif´ai〕 공상 과학 소설

social science 사회 과학

soft science 사회 과학, 행동 과학

teachnophobe 과학 기술을 겁내는 사람

technetronic 〔t´ekn∂tr´anik/-tr´on-〕 과학기술(전자공학)이 지배하는 (시대, 사회), 정보화 시대의 (사회)

technocentered 과학기술 중심주의

technography 과학사, 기술사

technologist 과학기술자, 공학자

technology 〔tekn´a∂dзi/-´o-〕 과학(공업)기술, 공예(학), 전문어

technomania 과학기술편중주의

technophoobia 과학 기술 공포증

technosphere 인류의 과학 기술적 행동

technostress 테크노 스트레스(고도 과학화 사회에의 적응에 실패했을 때 생기는 증상)

theoretical pl. (특정 예술, 과학의)이론

verne 〔v∂:rn〕 , Jules (1828-1905) 프랑스의 과학 소설가

Academy Award 아카데미상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가 주는 영화상으로, 일명 오스카상이라고도 한다.

Awark American 미국 영화 예술 과학아카데미가 주는 영화상

holistic 전체론적인; 전체론적 의학의 *전체론적 의학이란 과학적 의학의 주류에서 벗어난 자연 치료법 등을 가리킨다.

humanity 인간성, 인간다움; 인류, 인간; the humanities 인문 과학 (연구)

Nature 네이처 지 *영국 왕실 과학 아카데미가 발행하는 권위 있는 과학 잡지

neuroscientist 신경 과학

sci-fi 공상 과학 소설의, SF의

science 자연 과학, (학교 교과로서의) 이과

scientific 과학의, 과학적인; 체계적인, 정확한

social-science 사회 과학의, 사회학의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 *교육, 과학, 예술을 통해 모든 국민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연합 내의 기구

United Nations University 국제 연합 대학 *국제 연합과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UNESCO)에 의해 운영되는 국제 연합의 자주적 연구 기관

forensic 법정의, 과학수사의, 법의학의, 수사적인

savant 학자,유명한 과학

우리 과학 선생님처럼 완벽한 선생님이 되고 싶다.
I want to be a complete teacher like my science teacher.

과학에서 만점을 받았다.
I got a perfect grade in science.

여러 직업들
교사 teacher, 교수 professor, 과학자 scientist, 의사 doctor, 간호사 nurse, 경찰관
police officer, 소방수 fireman, 미용사 hairdresser, 정치가 politician, 우주 비행사
astronaut, 군인 soldier, 비행기 조종사 pilot, 운전사 driver, 야구 선수 baseball player,
예술가 artist, 패션 디자이너 fashion designer, 음악가 musician, 가수 singer,
남배우 actor, 여배우 actress, 연예인 entertainer, 작가 author, 기자, 언론인 journalist,
고고학자 archaeologist, 가정주부 homemaker, 사진사 photographer, 컴퓨터 프로그래머
computer programmer, 농부 farmer, 요리사 cook, chef, 동물 조련사 animal trainer,
건축가 architect, 탐험가 explorer, 변호사 lawyer

나는 자라서 훌륭한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I decided to become a great scientist.

영화 a film / 개봉 영화 a first-run film, a newly released film /
공상 과학 영화 a science-fiction film, an SF film / 교육 영화 an educational film /
단편 영화 a short motion picture / 무성 영화 a silent film /
입체 영화 a three-dimensioned motion picture / 만화 영화 cartoon movie /
공포 영화 horror movie

나는 코미디 영화 [만화 영화, 액션 영화, 공포 영화, 공상 과학 영화]를 좋아한다.
I like comedies [animations, action movies,horror movies, sci-fi movies].

엄밀하게 말하면 그는 과학자가 아니다.
Strictly speaking, he is not a scientist.

carry on (=continue, manage) : 계속하다, 경영하다
She carried on scientific research with her husband.
(그녀는 남편과 함께 과학 탐구를 계속했다.)

Einstein achieved great fame as a scientist. 아인슈타인은 과학자로서 위대한 명성을 얻었다.

Scientists are fond of coining new words. 과학자들은 새로운 낱말 만들기를 좋아한다.

New scientific discoveries are being made everyday. 새로운 과학적 발견이 매일 이루어지고 있다.

the most eminent scientist 가장 고명한 과학

a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universe 우주에 대한 과학적 설명

Objectivity is an essential in scientific experiments. 과학 실험에서 객관성은 필수 요소다.

He portrayed the scientist working at her desk. 그는 그 과학자가 책상에서 연구하는 모습을 그렸다.

the triumphs of modern science 현대 과학의 공적

Ultimately, the problems are not scientific but moral. 근본적으로 그 문제들은 과학적인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것이다.

In many cases, the formerly mysterious origins of diseases have now been
identified through modern scientific techniques.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전에는 신비스러웠던 병의 근원들이 현대 과학기술을 통해서
밝혀져 왔다.

Many wri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were inspired by the educational
and scientific ideas of the Enlightenment, seeing the potential of
literature to reach a wide readership.
18세기의 많은 작가들은 계몽주의의 교육적이고 과학적인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았고, 많은 독자층에게 도달할 수 있는 문학의 잠재력을 보게되었다.

Scientists in Germany have announced that they developed a combination
of medications to cure AIDS patients of the dreadful, fatal disease.
독일의 과학자들은 에이즈 환자들로부터 그 끔찍하고 치명적인 병을 치료할,
한 조합체의 의약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Because geophysics embraces the concepts, data, and methods
of various other sciences, it is very broad in scope, and its
boundaries are hard to define.
지질물리학은 여러 가지 다른 과학의 개념, 데이터, 방법 등을 포괄하기
때문에, 그것은 범위에 있어서 매우 넓고, 그것의 경계는 정의하기 힘들다.

As a result of what is now known in physics and chemistry,
scientists have been able to make important discoveries in biology
and medicine.
물리학과 화학에서 현재 알려진 것의 결과로서, 과학자들은 생물학과
의학에 있어서의 중요한 발견들을 해낼 수 있었다.

Chemistry is the science of substances and physics the science of energy.
화학은 물질에 관한 과학이다, 그리고 물리학은 에너지에 관한 과학이다.

Ethel Harvey's career illustrates some of the challenges encountered by
women scientists of her generation as they sought support for their
work.
Ethel Harvey 의 직업 경력은, 그녀 시대의 여자 과학자들이, 그들이
그들의 작업을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할 때, 직면했던 도전(어려움)의
일부를 예시한다.

Recently scientists have applied new tools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human hair.
최근에 과학자들은 인간 털의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생화학과
분자 생물학의 새로운 도구들을 응용해왔다.

It is estimated that a scientific principle has a life expectancy of
approximately a decade before it is drastically revised or replaced
by newer information.
하나의 과학적인 원리는, 그것이 새로운 정보에 의해서 철저히 변경되거나
대체되기 전에, 약 10년의 평균 수명을 가진다.

Lillian Gilbreth was one of the leading engineers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scientific management.
Lillian Gilbreth 는 과학적인 관리분야에서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이고, 20세기의
뛰어난 기술자중의 하나였다.

The sundial is said to be the oldest scientific instrument that is still in
use.
해시계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과학도구라고 일컬어진다.

Business supports a great deal of the scientific and cultural research
carried on in universities and independent laboratories in the United States.
기업들은, 미국의 대학이나 독립된 실험실에서 수행되는 과학적 문화적 연구들중의
많은 부분을 지원한다.

In 1939, television programs were being broadcas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s Fair of that year featured demonstrations of this advance in
technology.
1939년에 TV 프로그램들이 미국에서 방송되고있었다, 그리고 그 해의 세계박람회는
과학기술에서의 발전의 시범을 특징적으로 보여주었다.

Thomas Jefferson served as president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an
organization that encouraged a wide range of scientific and intellectual
research.
Thomas Jefferson 은 미국철학협회 의장으로 일했었는데, 그것은 광범위한 과학
그리고 지적인 연구를 격려하는 기구였다.

Faced with petroleum shortages in the 1970's,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stepped up their efforts to
develop more efficient heating systems and better insulation.
1970년대 석유부족에 직면해서 미국의 과학자와 기술자들은 더욱 효율적인
난방장치와 더 나은 단열장치를 개발하려는 그들의 노력을 가속시켰다.

During the 1940's science and engineering had an impact on the way
music reached its audience and even influenced the way in which it
was composed.
1940년대에 과학과 공학은, 음악이 관중에게 도달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쳤으며, 그것(음악)이 작곡되는 방법에조차도 영향을 주었다.

Most famous scientists achieved initial recognition while still quite young.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들의 아직도 꽤 어릴 때 처음 명성을 얻었다.

Determining how closely theories approximate the truth is the
day-to-day business of science.
이론이 진실에 얼마나 가깝게 접근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과학이 하는 일상적인
일이다.

Some experts believe that the route to effective organizational
leadership depends on its being more, less than, scientific.
어떤 전문가들은, 효과적인 조직의 리더쉽으로 가는 길은 그것이 덜 과학적인 것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고 더 과학적인 것에 의존한다고 믿는다.

Although the fossil record has numerous gaps, scientists are
able to classify groups of related animals to show the way they evolved.
화석기록은 많은 갭을 가지고 있지만, 과학자들은 그들이 진화한 방식을 보여주기
위해서 관련된 동물들의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The question of when people began to speak articulately
has long puzzled scientists.
인간이 언제부터 분명하게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는가의 문제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을
의아하게 만들었다.

Guinea pig: 실험 재료
→ 이는 돼지가 아니고 생쥐나 집쥐를 닮았는데 과학자들이 실험에 사용했기에~.

(1) 모델은 물리적 상황을 실제에 근사하게 재현한 것이다. 모델은 단순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규칙들을 사용하여 관측된 행동을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칙들은 주어진 물리적 상황을 포함하는 실험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쓸모 있는 모델은 주어진 상황과 관계되는 모든 관점들을 설명한다. (1997년 제4회 과학기술 번역3급 문제)
Model is a reappearance of physical conditions being close to an actual state. Modeling is to try to explain the reaction observed by using various rules which are simple and understandable. These rules can be used to anticipate an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a given physical situations. Profitable model explains all viewpoints concerned with a given situation.
(2) 텔레비전이 발달한 오늘날, 가만히 앉아서 외국의 동향이나 아름다운 풍물을 볼 수 있게 된 것은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1) 텔레비전이 발달한 오늘날: today thank to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today when television is so much advanced
2) 가만히 앉아서 ~을 볼 수 있다: we can stay at home and watch ~
3) 외국의 동향: the trend of the world
→ 「가만히 앉아서 ~하다」, 「~은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의 표현으로 다음의 예문이 참고가 될 것이다.
- 우리들은 가만히 앉아서 남산을 바라볼 수 있다.
We can stay home and see Mt. Namsan.
- 그 기차를 타지 않아서 정말로 다행이었다.
What a blessing it was (that) you weren't traveling on that train!
- 부모란 고마운 존재이다.
How much we owe to our parents!
ANS 1) What a blessing it is that toda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we can stay at home watching the activities of people and beauties of nature in foreign countries.
ANS 2) Today television has so much advanced, so we can stay home and learn the trends of the world as well as enjoy the beautiful nature of foreign lands.

(1) 컴퓨터는 그가 맡은 일을 정확하게 그리고 인간의 눈이나 손 또는 지력이 할 수 있는 것보다 수천 배 빠른 속도를 해낼 수가 있다. 예컨대, 오늘날 은행은 전자자료처리장치를 이용함으로써 1년에 100억 개 이상의 수표를 처리할 수 있다. 컴퓨터는 몇 초 내에 비행기 예약을 확인할 수도 있고 비행중인 우주선의 진로를 수정할 수도 있다. 소형 컴퓨터랄 할지라도 2만개의 만 단위 수를 1초도 걸리지 않고 합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의 도움으로 오늘날 과학자들은 예전에는 너무나도 시간이 오래 걸려 실제적으로 불가능했던 일을 손쉽게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 인간의 눈이나 손 또는 지력이 할 수 있는 것보다 수천 배 더 빠른 속도로: at speeds that are thousands times faster than the human eye, hand and mind
→ 100억 개나 되는 수표: as many as ten billion system
→ 비행중인 우주선의 진로를 수정하다: correct the course of a spacecraft in flight
→ 2만개의 만 단위 수: a column of 20,000 five-digit numbers
→ 예전에는 너무나도 시간이 오래 걸려 실제적으로 불가능했던 일: the task that once took so long that they were practically impossible
(ANS) A computer can do all its tasks accurately and at speeds that are thousands times faster than the human eye, hand and mind. Nowadays banks can process as many as ten billion checks a year by using an electric data processing system. A computer can confirm airline reservations in seconds. It can correct the course of a spacecraft in flight. Even small computers can add a column of 20,000 five-digit numbers in less than a second. With the help of such computers, scientists now so perform tasks that once took so long that they were practically impossible.

(7) 과학은 인간에게서 꿈을 빼앗고, 시를 빼앗아 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시와 꿈이야말로 과학을 발전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 시와 꿈이야말로: it is poetry and dreams that~ 강조구문으로. '~이야말로'는 우리말 표현의 강조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ANS) Some people say (that) science deprives man of his dreams and of his poetry, but we can also say it is poetry and dreams that have developed science.

(4) 과학 지식의 중요성은 누구라도 알고 있다. 그러나, 과학이 인생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준다고는 볼 수 없다.
과학지식의 중요성: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또는 how important scientific knowledge is
→ 모든 문제를 해결해준다고는 볼 수 없다: 이 내용은 부분 부정입니다. 따라서 does not solve all the problems라고 not~ all의 형태라야 함.
(ANS) Everyone knows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but science does not solve all the problems in life.

(6) 과학은 인간에게서 꿈을 빼앗고, 시를 빼앗아 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시와 꿈이야말로 과학을 발전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ANS) Some people say (that) science deprives man of his dreams and poetry, but we can also say it is poetry and dreams that have developed science.

(3) 학교에 등록한 학생 수를 보면 영어학교가 가장 인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교원은 영국인이 3명, 한국인이 4명이었다. 당시 미국의 국민학교에서 사용되었던 교과서인 National Reader와 교원 가운데 한 사람이 집필한 회화교과서가 교재로 사용되었다. 학교에서는 영어과목 이외에도 수학, 역사, 지리, 과학 등을 영어로 가르쳤다. 수학연한은 5년이었다.
→ 등록한 학생 수: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 수학연한: term of study
(ANS)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shows that the English School was most popular. The English School had as its teaching staff three Englishmen four Koreans. National Reader, one of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used at the time in the U.S., was used as a textbook together with a conversation book written by one of the teaching staff. In addition to English, mathematics, history and geography, and science were also taught in English. A term of study was five years.

[比較] mankind, humanity, humankind, man, men
mankind는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이 지구상에 살아왔고 살아나갈 인간을 집합적으로 가리킨다.
in the whole history of mankind
man은 「사람」을 총칭적으로 나타내며 과학논문 등에서도 쓰이긴 하지만 (style상으로 본다면) 상대적으로 less formal style에 속한다.
study the evolution of man
humankind는 인류의 숭고한 면만을 강조한 humanity와 달리 인류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에 관해서 언급할 때도 쓰인다. men은 사람의 총칭을 나타내는 man과는 달리 과학논문 등 학술용어로는 쓰이지 않는다. mankind 등이 인간을 하나의 단일체로 파악하고 있다면, men은 인간을 여러 인간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맥에서 편리하게 쓰일 수 있다.
the first attempt of men to settle disputes through reason rather than violence.

[比較] technic, technics, technique, technology
technic과 technics는 잘 쓰이지 않는다. 형용사로서 technic은 폐어가 되어 technical(공업에 관한, 공예의, 전문적인)이 대신 쓰이고, 명사로서는 대체로 technique(기술, 기법, 기교)가 대신 쓰인다. ‘과학 기술, 기술학’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technology로 바뀌어졌다.
technique는 특히 예술의 ‘기술, 기법, 기교’를 가리키는 데에 쓰이는 말이며 미국 속어 용법에서 ‘사교적 솜씨’를 의미한다.
He has the greatest technique with women.
technology는 ‘과학 기술, 공업 기술, 공예학’을 말한다.
He studied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또한 예술, 과학의 ‘전문어, 술어’를 가리키기도 한다.

Aging : 노인문제위원회
Agriculture, Nutrition and Forestry : 농업·영양·임업위원회
Appropriations : 세출위원회
Armed Services : 군사위원회
Banking, Housing and Urban Affairs :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
Budget : 예산위원회
Children, Youth and Families : 어린이·청소년·가정문제위원회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 상업·과학·운수위원회
Education and Labor : 교육·노동위원회
Energy and Commerce : 에너지·상업위원회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
Environment and Public Works : 환경공공사업위원회
Finance : 재정위원회
Foreign Relations : 외교위원회
Governmental Affairs : 정부활동위원회
House Administration : 하원관리위원회
Hunger : 기아문제위원회
Intelligence : 정보위원회
Interior and Insular Affairs : 내무위원회
Joint Committee on Economics : 합동경제위원회
Joint Committee on Printing : 합동인쇄위원회
Joint Committee on Taxation : 합동세제위원회
Joint Committee on the Library : 합동도서위원회
Judiciary : 사법위원회
Labor and Human Resources : 노동위원회
Merchant Marine and Fisheries : 해운어업위원회
Narcotics Abuse and Control : 마약남용규제위원회
Permanent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 정보특별위원회
Post Office and Civil Service : 우정공무위원회
Public Works and Transportation : 공공사업운수위원회
Rules and Administration : 의사운영위원회
Rules : 의사운영위원회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위원회
Small Business : 중소기업위원회
Standards Official Conduct : 윤리위원회
Veterans' Affairs : 재향군인위원회
Ways and Means : 세입위원회
standing committee : 상임위원회

내각의 부처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농림부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건설교통부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문화관광부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국방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교육부
The Ministry of Environment: 환경부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재정경제부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외교 통상부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행정자치부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부
The Ministry of Justice: 법무부
The Ministry of Labor: 노동부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부
The Ministry of Unification: 통일부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산업 자원부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해양수산부
The Ministry of Budget and Planning: 기획 예산처
Central Personnel Management Commission: 중앙인사위
Public Information Office: 국정홍보처

The recent changes in the Earth's climate are beginning to worry some scientists.
최근 지구 기후의 변화로 몇몇 과학자들은 걱정하기 시작했다.

The top news story of the 20th century was America's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according to a survey of prominent U.S.
journalists and scholars released Wednesday.
수요일에 발표된 저명한 미국 언론인들과 학자들에 대한 한 조사에 따르면,
20세기의 탑뉴스는 히로시마의 나가사키에 원폭을 투하한 것이다.
The 1945 bombings, which killed thousands and let to the end of
World War II, topped 99 other stories of the century.
수천명을 죽게 하고 제 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킨 1945년의 원폭투하는
20세기 99개의 다른 뉴스를 앞질렀다.
The No. 2 choice was an achievement of science, peaceful and wondrous:
U.S. astronaut Neil Armstrong's walk on the moon in 1969.
2위는 평화적이고 경이로운 과학의 업적인, 미국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의 1969년 달 착륙이 차지했다.
Third place went to Japan's bombing of Pearl Harbor.
Participants were each asked to select the 25 most important news events,
and their lists were combined to produce a final ranking of 100.
3위는 일본의 진주만 폭격이었다. 참가자들은 각각 25개씩 가장 중요한
뉴스를 고르도록 요청받았으며, 그 목록을 모아서 100개의 등위를 정했다.

Korean scientists have developed the world's first cholesterol-cutting
material which dissolves in water... In a press conference yesterday,
Eugene Science, a Korean biotechnology venture company, said that
it succeeded in combining plant sterol, a natural material reducing
cholesterol level, with water-soluble carriers. The new substance
was named "Ucole." The function and the safety of plant sterol have
already recogniz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우리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수용성 물질을 개발했다...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유진사이언스는
어제 기자회견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천연물질 플랜트 스테롤과
수용성 유도체 물질을 결합시킨 신물질 "유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플랜트 스테롤의 기능과 안정성은 이미
미국식품의약국의 인정을 받은 바 있다.

In fact, the flood damage this time was perhaps almost unavoidable as
meteorological science at present cannot correctly predict sudden
atmospheric changes. Hence, there is little room for the parties to make
a political issue of the calamity.
사실, 이번의 홍수 피해는 현재의 기상 과학 수준으로는 갑작스런 기상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마도 거의 속수무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야가 이번 재난을 정치 문제로 삼을 여지는 거의 없
는 것이다.
meteorological : 기상학의
calamity : 재난, 참화, 불행

make an experiment on -으로 실험을 하다
It is inexcusable for scientists to torfure animals; let them make
their experiments on journalists and politicians. - Henrik Ibsen
과학자가 동물을 괴롭히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그 실험을 지날
리스트나 정치가를 써서 하도록 해야한다.

* 아카데미상 (Academy award)
아카데미상은 매년 3월 미국에서 열리는데 1927년부터 해마다 영화예술
과학원이 영화인과 영화제작스텝들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결정해서 오스
카라고 불리는 34.3cm의 금도금한 작은 조각상을 수여하는 행사를 말한
다. 흔히들 이 조각상의 이름을 따서 오스카상이라고도 한다. 오스카라
는 이름이 붙게 된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영상예술과학원의 어떤 여직원
이 조각상을 보고 "어머,우리 오스카 아저씨를 닮앗네"라고 하는데서,
한 칼럼리스트가 "씨가가 필요한가, 오스카!"라고 하는 희가극의 대사를
인용한데서, 영화배우 배드 데이비스 남편 하몬드 오스카에서 따온 것이
라는 설이 있다.

* people meter
이것은 미국의 여론조사 기관인 Ac Neilson 사에 의해 개발된 TV시청률
조사수단이다. 과학적인 표본 추출방식에 의해 뽑힌 일정수의 가구의 TV
수상기에다 people meter를 갖다 장치하면 중앙의 main computer에 그 가
구들의 수상기 작동방식이나 채널변환등이 초단위로 자동기록이 되면서
그 기록을 통해서 시청률 통계를 내게 되는 것. people meter의 특징은
가족구성원이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버튼을 통해서 시청자의 성별, 연령
별, 직업별 집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20여년전부터
이 people meter 를 통해서 시청률조사를 실시해 왔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12월부터 이방법을 이용한 시청률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
에도 시청률조사에는 전화인터뷰나 일기식 조사방식, 낱낱이 사람에게 찾
아가는 방법 또 passive meter 이런 방법이 있다. 이에 반해서 라디오 청
취률조사는 이 people meter를 이용한 방법은 동원되지 않고 있고 라디오
청취률조사는 조사기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반면에 people meter
를 사용하는 TV시청률은 비교적 정확하고 공정하게 그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그다지 과학적인 사고를 못했지요.
She wasn't that scientifically minded.

과학자는 그 바이러스를 연구할 겁니다.
That scientist will study the virus.

과학자는 그 바이러스를 연구할 겁니다.
That scientist will study the virus.
= The virus will be observed by the scientist.
= The doctor will research the ailment.

If you're good at science, read some history books.
과학을 잘 한다면, 역사책을 읽어라.

In recent years, scientists have learned a great deal about DNA.
최근에 과학자들은 DNA에 대해 많은 것을 알아냈다.

Fortunately, scientists have developed some genetic treatments for these problems.
다행히도, 과학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위한 어떤 유전자 치료를 개발하였다.

My required classes are math, science, English, and history.
나의 필수 과목은 수학, 과학, 영어, 역사이다.

My two electives this semester are Spanish and computer science.
이번 학기의 선택 과목은 스페인어와 컴퓨터 과학이다.

Science shows that the two sides of the brain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과학은 뇌의 양쪽이 다른 방식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Scientists agree that we are changing the face of our world too quickly.
과학자들은 우리가 너무 빨리 우리 세계의 모습을 바꾸고 있다는 데 동의를 하고 있다.

It's been promoted like a box-office blockbuster.
박스 오피스 블록버스터를 방불케 하는 홍보.
It's a science fiction sequel, but you won't find it on the silver screen.
공상 과학 영화의 속편같지만 영화관에서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작품.
It's Halo 2, Microsoft's latest video game release.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출시한 최신 비디오 게임인 '헤일로 2'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 silver screen 은막(銀幕), 영화 스크린, 영화(계)

Speaking at a conference on disaster prevention in Japan,
일본에서 개최된 유엔 재난방지 세계회의 연설에서
the Director General of UNESCO said he hoped an Indian Ocean system could be operational by mid-2006.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인도양에 설치할 예정인 쓰나미 조기경보 체제가 2006년 중반에는 가동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disaster prevention 재해방지, 방재
* Director General of UNESCO 유네스코 사무총장 cf. (1) director general (독립 관청의) 청장; (기업, 조직의) 사장, 회장 (2) UNESCO 유네스코, 국제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operational (기계 따위가) 운전[운행] 가능한; 기능을 다하는

An aphorism differs from an adage in that it is more philosophical or scientific.
경구는 보다 철학적이거나 과학적이라는 점에서 속담과는 다르다.

And the scientific method of fearless thought, exhaustively lucid statement, and exhaustively criticized planning, which has given him these as yet uncontrollable powers, gives him also the hope of controlling these powers.
과감한 생각의 과학적인 방법, 아주 분명한 말, 그리고 철저히 비판된 계획이 그에게 지금까지 억제할 수 없는 힘을 제공해 왔으나 앞으로 이 힘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도 주고 있다.

As I look over your school record, I get the impression that your background in math and science is not adequate for an engineering course.
너의 고등학교 성적을 훑어보고 나는 너의 수학과 과학실력이 공학과목을 수강하는데 미흡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Asteroids have become commonplace to the readers of interstellar travel stories in science fiction magazines.
소행성들은 과학 소설 잡지에 나오는 별들간의 여행 이야기를 읽은 독자들에게는 평범한 것이 되었다.

At the end of every chapter in our science text, there is a group of optional questions, intended for students who wish to go more deeply into the subject.
우리 과학 교재 각 장 끝에는 그 문제에 좀 더 깊이 들어가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일련의 선택 질문이 있다.

Leonardo da Vinci was a versatile genius who excelled in many different fields of art and science.
Leonardo da Vinci는 여러 다른 분야의 예술과 과학에서 뛰어났던 다재다능한 천재였다.

The fertile imaginations of science-fiction writers have enabled them to predict many advances of science long before they actually took place.
공상 과학 소설가들은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으로 많은 과학 발전을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기 훨씬 전에 예언할 수 있었다.

The science program in our school encompasses biology,chemistry,phisics,earth science, and a special course on the environment.
우리 학교의 과학 프로그램은 생물, 화학, 물리, 지구과학 그리고 환경에 관한 특수과목을 포함한다.

The scientist claims that he saw a U. F. O. last night and it was spheroid object.
과학자는 어제 저녁 미확인 비행 물체를 보았으며 그것은 타원체였다고 주장한다.

The scientist explored the bottom of the ocean with aid of a hydroscope.
과학자는 수중 안경의 도움으로 해저를 탐험했다.

It is often believed that the function of school is to produce knowledgeable people.
If schools only provide knowledge, however, they may destroy creativity, producing ordinary people.
We often hear stories of ordinary people who, if education had focused on creativity, could have become great artists or scientists.
Those victims of education should have received training to develop creative talents while in school.
It really is a pity that they did not.
종종 사람들은 학교의 기능이 지식 있는 사람들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만약 학교가 단지 지식만을 제공한다면 학교는 창의력을 파괴하여,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양성할 수도 있다.
우리는 종종 만약 교육이 창의력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위대한 예술가나 과학자가 될 수도 있었을 평범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교육의 희생자들은 학교에 다니는 동안 창의적인 재능을 개발하기 위한 훈련을 받았어야만 했다.
그들이 그렇지 않았던 것은 정말 유감이다.

Albert Einstein is one of the greatest scientists the world has ever known.
If I had to express his character in a single word, I would choose the word 'simplicity.'
Perhaps a story about him will help.
Once, when he was caught in a heavy rain, he took off his hat and held it under his coat.
Asked why, he explained slowly that the rain would damage his hat, but not his hair.
Albert Einstein은 세계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가장 위대한 과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만약 내가 그의 성격을 한 마디로 표현해야 한다면, 나는‘단순함'이라는 단어를 선택할 것이다.
아마도 그에 대한 일화가 도움이 될 것이다.
한번은 그가 폭우를 만났을 때 그는 그의 모자를 벗고 그의 외투 안에 모자를 품고 있었다.
이유를 묻자 그는 비가 그의 모자를 손상시키지만, 그의 머리카락은 손상시키지 않는다고 천천히 설명했다.

In general, we think perfume is only for women.
But today perfume has various kinds of uses.
Plastic that smells like leather is one example.
Also, scientists are finding that some smells make us feel better.
They help us to relax, to sleep, or to feel happier.
Scientists found that the smell of apples with spices can make our blood pressure go down.
In the future we may use perfume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일반적으로, 우리는 향수가 여성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오늘날 향수는 다양한 종류의 쓰임새가 있다.
가죽같은 냄새가 나는 플라스틱이 한 예이다.
또한 과학자들은 몇몇 어떤 냄새는 우리의 기분을 더 좋게 만든다는 것을 알아내고 있다.
그것들(냄새들)은 긴장을 풀어주거나, 잠을 자거나 또는 더욱 행복감을 느끼도록 도움을 준다.
과학자들은 양념을 곁들인 사과의 향기가 우리의 혈압을 낮추어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앞으로 우리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향수를 사용할 것이다.

One day, while Thomas Edison was deeply absorbed in trying to solve a scientific problem, he went to the court house to pay his taxes.
He had to stand in line for some time; and when his turn came, he forgot his own name.
One of his neighbors, seeing his embarrassment, reminded him that his name is Thomas Edison.
어느 날 Thomas Edison이 어떤 과학 문제를 푸는데 몰두하고 있다가 자신의 세금을 내기 위하여 법원에 갔다.
그는 얼마간 줄을 서야만 했는데 그의 차례가 되었을 때 자신의 이름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그의 이웃들 중 한 사람이 그가 당황해하는 것을 보고는 그의 이름이 Thomas Edison임을 상기시켜 주었다.

After World Wat II, scientists began to learn more and more about the bottom of the ocean.
They had to change all their theories about how continents were formed.
Scientist invented some new machines that could map the ocean floor.
They also learned how deep the ocean is in each place.
They also made machines that took people down to the ocean floor.
Under the ocean, they found a new mountain range which they called the Mid-Atlantic Ridge.
2차 세계 대전 후에 과학자들은 해저에 대해 더욱 많은 것을 알기 시작했다.
그들은 대륙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모든 이론들을 바꿔야 했다.
과학자들은 해양 바닥을 지도로 그릴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기계들을 고안했다.
그들은 각 지점에서 그 해양이 얼마나 깊은지를 알게 되었다.
그들은 또한 해양 바닥까지 사람들을 태우고 내려갈 기계를 만들었다.
해양 속에서 그들은 대서양 중부 능선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산맥을 찾았다.

Since the mid 20th century, scientists from many countries have been working together in a huge "laboratory."
Antarctica is the first part of the world used entirely for peaceful purposes.
Today, Antarctica has more than 30 research stations, including those of Argentina, Australia, Germany, and so on.
20세기 중엽부터 많은 나라의 과학자들이 거대한 “실험실”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
남극은 전적으로 평화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세계최초의 지역이다.
오늘날 남극에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등의 연구기지가 30개가 넘는다.

There have been several wars since 1945.
However, the United Nations has helped bring peace to some countries that were at war.
It has helped people who left their countries because of wars.
Also, it sends its workers to developing countries.
They work as planners to increase production in farming and industry.
They provide medical services, improve education programs, and spread scientific information.
They develop programs that provide jobs and better living conditions.
They help countries control their population growth.
1945년부터 몇 건의 전쟁이 있었다.
그렇지만 유엔은 전쟁 중인 몇 국가에 평화가 찾아오도록 도왔다.
유엔은 전쟁 때문에 조국을 떠난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또한, 개발도상국에 일꾼들을 보내기도 한다.
일꾼들은 농업과 산업 생산을 늘리기 위한 계획자로서 일을 한다.
그들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과학적 정보를 배포시킨다.
그들은 일자리와 더 나은 삶의 조건을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들은 국가들이 인구 성장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Genes are tiny units of heredity located within every living thing.
In 1953, scientists discovered the structure of DNA, the acid that contains genes in a pattern.
However, scientists were not able to isolate and change individual genes, a process called genetic engineering, until the 1970s.
The first genetically engineered product to b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was insulin.
People with diabetes use insulin to help their bodies process sugars normally.
유전자란 모든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작은 유전형질 단위이다.
1953년 과학자들은 특정구조로 이루어진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산, 즉 DNA구조를 발견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과학자들은 유전공학을 통해, 유전자를 분리하고 변형시키는데 성공했다.
FDA가 승인한 것으로 유전공학을 이용한 최초의 상품이 바로 인슐린이었다.
당뇨병에 걸린 많은 사람들은 혈당을 정상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이용하고 있다.

Men who drink a lot of alcohol may have a higher chance of having children with physical or mental problems.
Doctors have long been aware that women alcoholics may give birth to defective babies.
However, scientists have recently discovered that alcoholism in men may be responsible for birth defects too.
Large quantities of alcohol may affect the quality of the father's genes.
This genetic change may cause a child to be born defective in some way.
Scientists are not sure how this happens.
But the statistics of the study seem to leave little doubt that it can happen.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육체적, 정신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자녀를 갖게 될 가능성이 더 높다.
오래 전부터 의사들은 여성 알콜 중독자가 장애아동을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과학자들은 장애아동이 태어나는 사실에, 남성 알콜 중독자도 그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다량의 음주가 아버지 유전자의 질(質)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전자 변형이 어떻게든 장애아동을 태어나게 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일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확실히 알지는 못하지만, 통계수치에 의하면,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는 사실은 확실하다.

My literature class was talking about the implications of a scientist's statement
that a free fish can only see the struggles of a hooked fish but cannot know why it twists violent.
Noticing one student of the class wasn't paying attention, I asked him what he thought about that statement.
Without hesitation, he replied:
"Who cares what the free fish thinks?
I want to know what kind of lure was used to catch the hooked one."
나의 문학 수업에서 자유로운 물고기는 낚시에 걸린 물고기가 버둥질하는 것을 바라만 볼 뿐
그것이 왜 그리 격렬하게 비트는지 모른다고 말한 어느 과학자의 말에 대해 토의하고 있었다.
나는 학급의 한 학생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에게 과학자의 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그는 주저하지 않고 말했다.
“그 자유로운 물고기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게 뭡니까?
저는 낚시에 걸린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 어떤 종류의 미끼를 사용했는지 알고 싶을 따름이죠.”

In schools, we all learned that dinosaurs were slow and cold-blooded reptiles.
However, the opposite may be true.
New scientific evidence shows dinosaurs might have been warm-blooded animals that behaved more like mammals than reptiles.
Such a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following two facts.
One is the growth patterns of dinosaurs, which are more like those of warm-blooded mammals.
The other is that their body temperatures had to be higher than the air to hatch eggs.
학교에서 우리는 공룡들이 느릿한 냉혈 파충류라고 배웠다.
그러나 그 반대가 사실일 수도 있다.
새로운 과학적 증거에 의하면, 공룡은 온혈 동물로 파충류보다 포유류처럼 행동했었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 사실에서 추론될 수 있다.
하나는 공룡의 성장패턴으로, 이것은 온혈 포유류의 성장패턴과 같다.
다른 한 가지는 알을 부화하기 위해, 공룡의 체온이 공기보다 높아야 했다는 사실이다.

In 1988, the United States suffered one of the worst droughts in history.
As weeks went by without rain, crops died and river levels fell.
Conditions were so bad that ships were unable to travel on the Mississippi River.
As the water levels fell, the remains of old boats ― Civil War gunboats, barges, and even a steamboat ― were disclosed!
In some places the once-sunken boats were left high and dry, and archeologists could walk right up to them.
By studying the boats, these scientists were able to learn a great deal about day-to-day life on the barges and steamboats of the past.
1988년에 미국은 역사상 최악의 가뭄을 겪었다.
비 한 방울 내리지 않고 몇 주가 지나자, 농작물은 죽고 강바닥은 메말라 버렸다.
상황이 너무 나빠서 배들이 Mississippi강으론 운항할 수가 없었다.
수면이 내려가자 오래된 배들이―남북전쟁 때의 전함들, 바지선들, 심지어 기선들―바닥을 드러냈다.
어떤 곳에서는 가라앉았던 배가 높은 곳으로 놓여져서 건조가 되어서, 고고학자들이 바로 걸어 올라갈 수 있었다.
배들을 연구함으로써, 이 과학자들은 과거의 바지선과 기선의 일상에 관하여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All of the wild Giant Pandas in the world live in western China.
They are found in dense bamboo forests high up in the mountains.
The forests are so dense that it has always been hard for people to find out much about wild pandas.
The pandas stay hidden in the forest most of the time, where people can't even see them.
In many ways, the Giant Panda is still a mysterious animal.
Nobody is really sure what kind of animal they are.
Some scientists say that the Giant Panda is a member of the raccoon family.
But others claim that it belongs to the bear family.
And a third group is sure that it doesn't belong to either family.
전 세계에서 모든 야생 자이언트 팬더는 중국 서부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그들은 산 속 깊숙이 울창한 대나무 숲 속에서 발견된다.
숲이 너무 빽빽하여 사람들이 야생 팬더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아내는 것은 언제나 힘든 일이다.
팬더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숲 속에 숨어 지내고 있어서 사람들은 팬더를 볼 수조차 없다.
여러 가지 점에서 자이언트 팬더는 여전히 신비스러운 동물이다.
아무도 그들이 어떤 종류의 동물인지 확실히 알지 못한다.
몇몇 과학자들은 자이언트 팬더는 너구리 과의 일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다른 과학자들은 팬더는 곰과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또 다른 제3의 집단은 팬더는 그 어느 과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A space rock big enough to cause widespread damage will hit the Earth only about once every 1,000 years,
but experts say the destruction would be so extreme that nations should develop a joint defense against space rocks.
Some scientists estimated that the space rock would release about 10 megatons of explosive energy.
Such a rock, estimated at 180 feet across, fell down through the atmosphere over Tunguska in Siberia in 1908
and destroyed trees across 800 square miles of forest land.
광범위한 피해를 입힐 수 있을 만큼 큰 우주석이 약 1,000년마다 한 번씩 지구에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그 파괴력이 굉장할 것이므로 각 나라들은 연합하여 우주석을 막아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과학자들은 대략 10메가톤의 폭발력을 낼 것이라고 짐작하고 있다.
직경 180피트 정도 되는 그러한 우주석이 1908년 시베리아 Tunguska지역 상공을 통하여 떨어져서,
800평방 마일의 삼림지대의 나무들을 파괴하였다.

Today most scientists believe that the moon formed from the Earth.
They think that a large object hit the Earth early in its history.
When the object hit the Earth, huge pieces of the Earth broke off.
These pieces went into orbit around the Earth.
After a brief time, the pieces came together and formed the moon.
오늘날 대부분 과학자들은 달이 지구로부터 만들어졌다고 믿는다.
그들은 탄생 초기에 어떤 큰 물체가 지구에 부딪혔다고 생각한다.
그 물체가 지구에 부딪혔을 때, 지구의 커다란 파편들이 떨어져 나갔다.
이 파편들은 지구 궤도에 올랐다.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 그 파편들이 결합하여 달을 형성했다.

In the sciences, Leonardo was equally amazing.
He had discovered complex principles of physics nearly a century before Galileo did his work.
In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human bodies, Leonardo studied muscle and bone structure to improve his painting,
and even after he had been tired of painting, he continued to study the workings of the heart.
He had even thought of the circulation of blood a century before William Harvey proved it.
Leonardo da Vinci was so far ahead of his time that his genius did not become truly clear until this century.
Leonardo는 과학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놀라운 능력을 발휘했다.
그는 Galileo보다 거의 1세기 앞서서 복잡한 물리학의 원리들을 발견했다.
Leonardo는 그의 그림을 발전시키기 위해, 인체 구조 중에서 근육과 뼈를 연구했다.
그리고 그가 그림에 싫증을 느끼고 난 후에도 그는 심장운동을 계속 연구했다.
그는 William Harvey가 증명한 것보다 1세기 앞서서 혈액의 순환에 대해서도 생각했었다.
Leonardo da Vinci는 그가 살았던 시대를 너무 앞서나갔기 때문에 금세기가 되어서야 그의 천재성이 정말 명확하게 입증되었다.

Today most scientists believe that the moon formed from the earth.
They think that a large object hit the earth early in its history.
Perhaps the object was as big as Mars.
When the object hit the earth, huge pieces of the earth broke off.
These pieces went into orbit around the earth.
After a brief time, the pieces came together and formed the moon.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것은, 달이 지구에서 떨어져 나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들은 거대한 물체가 지구 초기역사에서 지구에 충돌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아마도 그 물체는 화성만큼 거대했을지도 모른다.
그 물체가 지구에 충돌했을 때 거대한 지구의 파편들이 떨어져 나갔다.
이러한 조각들이 지구 궤도 속으로 들어갔고 얼마 후 이러한 조각들이 합쳐져서 달이 만들어졌다.

Yet in spite of the advantages mentioned above, the use of GM crops is causing debates among scientists.
Research has discovered that GM crops were harming butterflies, and also that GM food slowed growth and increased disease in rats.
Resistance to GM foods around the world is growing.
그러나 위에 언급한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유전자 조작 농산물의 사용은 과학자들 사이에 논쟁을 야기하고 있다.
유전자 조작 농산물들이 나비들에게 해를 끼치고, 또한 유전자 조작 농산물들이 쥐의 성장을 늦추고 질병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연구로 밝혀졌다.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 조작 농산물들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we've been dreaming very different dreams.
The stuff of these dreams is fantasy―swords and wizards, knights and ladies.
The business of fantasy has become a multibillion-dollar reality, and science fiction is starting to feel old-fashioned.
Our fascination with science fiction reflected a deep faith that technology would lead us to a cyber utopia, with robot servants serving food.
But in fact, a dark, pessimistic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the future is attracting more and more people.
And the evidence is the world's new concern with a nostalgic, magical vision of the past: swords, not lasers; magic, not electricity; villages, not cities; the past, not the future.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는 아주 다른 상상을 해 왔다.
이 상상은 검과 마법사, 기사와 여인들과 같은 판타지에 대한 내용이다.
판타지와 관련된 사업은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가져오는 현실이 되었고, 공상 과학은 구식이라는 느낌을 주기 시작하고 있다.
우리가 공상 과학에 매료된 것은, 로봇이 음식을 대접하는 사이버 유토피아를 기술이 가져올 것이라는 우리의 깊은 믿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기술과 미래에 대한 어둡고 비관적인 태도는 사실상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레이저가 아닌 칼, 전기가 아닌 마술, 도시가 아닌 마을, 미래가 아닌 과거 등 과거에 가졌던 신비로운 환상에 세상 사람들이 새롭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According to a recent scientific study, geese fly in a “V” formation to conserve energy.
This is the same principle that bicyclists use in the Tour De France.
It's called “drafting”―the geese use the air currents created by the birds in front of them to fly more efficiently.
The aerodynamic “V” shape reduces the air resistance, which lets the geese fly much farther.
And since the bird at the front of the “V” encounters the most wind resistance, they all take turns at that position.
최근의 과학 연구에 따르면 기러기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V”자 대형으로 날아간다고 한다.
그것은 Tour De France에 참가한 사이클 선수들이 이용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것은 “drafting”이라 부르는데, 기러기들은 좀 더 효율적으로 날기 위하여 앞에 있는 새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기체 역학적인 “V” 형태는 공기의 저항을 줄임으로써 기러기가 좀 더 멀리 날아가도록 해 준다.
그리고 “V” 대형의 앞에 있는 새가 가장 많은 공기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모든 기러기들은 교대로 그 자리에 가게 된다.

Most weeds are harmful, unwanted plants.
But a Danish biotech company has adapted one plant to help save lives.
Scientists in Copenhagen have genetically modified the plant
so that it changes from its normal green color to red when its roots touch nitrogen dioxide, a gas that leaks out of buried land mines and unexploded weapons.
Many of these explosives can remain active for over 50 years, emitting nitrogen dioxide all the while.
Getting rid of the mines from the ground is tedious, painstaking work.
But the color-changing plant, expected to be used regularly within two years, does present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the most common detection methods currently available ― humans with metal detectors and mine-sniffing dogs.
대부분의 잡초는 해롭고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식물이다.
그러나 덴마크의 한 생명공학 회사가 한 식물을 변형시켜서 생명을 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코펜하겐에 있는 과학자들이 식물을 유전적으로 변형시켰는데,
뿌리가 땅에 묻힌 지뢰와 폭발되지 않은 무기에서 새어나오는 기체인 이산화질소에 닿으면 식물이 원래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많은 폭발물은 50년 이상 줄곧 이산화질소를 방출하며 폭발력이 활성화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땅에서 지뢰를 제거하는 일은 지루하며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2년 내에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색깔이 변하는 식물은 현재 가장 보편적인 탐지 방법인, 금속 탐지기를 든 사람과 지뢰 탐지견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대안이 된다.

I had always thought of hurricanes as something mankind could do without.
But recently I learned that they are necessary to maintain a balance in nature.
These tropical storms, with winds up to 150 miles an hour, accompanied by heavy rains, glaring lightning, and roaring thunder, can be devastating.
Yet scientists tell us they are very valuable.
They scatter a large percentage of the oppressive heat which builds up at the equator, and they bring enough rainfall in North and South America.
Therefore, scientists no longer try to prevent them from being formed.
They are convinced that hurricanes do more good than harm.
나는 항상 허리케인을 인류에게 없어도 될 존재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에 나는 허리케인이 자연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폭우와 번쩍거리는 번개, 그리고 으르렁거리는 천둥을 동반하는 시속 150마일의 바람을 지닌 이 열대성 폭풍은 참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그것들이 대단히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허리케인은 적도에서 형성된 숨 막힐 듯한 열기의 대부분을 흩어지게 하고, 남북 아메리카에 충분한 비를 내려준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더 이상 그것이 형성되는 것을 막으려 하지 않는다.
그들은 허리케인이 해로움보다 이로움을 더 많이 준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다.

Many scientists have long believed that either a change in climate or widespread disease killed the world’s huge animals, such as the woolly mammoth.
Some evidence suggests, though, that these theories may be incorrect.
In Australia, scientists have dug up bone and eggshell fossils that indicate a massive die-off of large animals about 46,000 years ago.
This extinction occurred after humans arrived on that continent about 52,000 years ago.
These time frames suggest that people are responsible for the animals' disappearance.
Similar evidence comes from North America.
Humans arrived there about 13,000 years ago.
Approximately 1,200 years after their appearance, about thirty species of large animals were gone.
오랫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어떤 기후 변화나 광범위하게 퍼진 질병이 털북숭이 매머드와 같은 거대한 동물들을 이 지구상에서 몰아냈을 것이라고 믿어 왔다.
하지만 몇몇 증거는 이 가설들이 잘못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약 46,000년 전 호주에서 몸집이 큰 동물들이 대량으로 죽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뼈와 알껍데기 화석들을 발굴하였다.
약 52,000년 전 인간이 그 대륙에 도착한 이후에 이 멸종이 발생했던 것이다.
이러한 시간 구도는 인간이 그 거대 동물들의 멸종에 책임이 있을 지도 모른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북미에서도 유사한 증거가 나오고 있다.
인간은 약 13,000년 전에 그곳에 정착했다.
그런데 인간이 나타나고 1,200년이 지났을 때, 약 30여종의 거대 동물들이 멸종했던 것이다.

Talk of intelligent life on other planets was once the stuff of science fiction or idle speculation.
Recently, however, many astronomers have promoted the view that civilizations may be scattered among the stars like grains of sand.
The idea has inspired countless novels, movies, and television shows,
but has also led to a long and serious scientific search, using huge dish antennas that scan the sky for faint radio signals coming from intelligent aliens.
다른 행성들에 있는 지능이 있는 생명체에 대해 말하는 것은 한때 과학소설의 소재나 쓸모없는 추측거리였다.
하지만 최근에 '많은 천문학자들은 문명들이 모래알과 같은 별들 사이에 산재해있을지 모른다는 견해를 펼쳐왔다.
그 생각은 수많은 소설,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 영감을 제공해주었지만,
지능을 가진 외계인들로부터 나오는 희미한 무선 신호들을 받기 위해 하늘을 탐지하는 거대한 접시 안테나를 이용해 길고 진지한 과학적인 연구에 이르기도 했다.

Now, however, Peter Ward and Donald Brownlee claim that the conventional wisdom is wrong.
In their book, they say the search for alien life is likely to fail.
Drawing on astronomy, geology, and paleontology, they argue that humans might indeed be alone in the cosmos.
They say that science is showing the Earth’s composition and stability to be extraordinarily rare.
Almost everywhere else, the radiation levels are so high and the right chemical elements are so scarce that life cannot evolve into advanced communities.
하지만 지금 Peter Ward와 Donald Brownlee는 그 전통적인 지식이 틀렸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신들의 책에서 그들은 외계의 생명체에 대한 연구가 실패할 것 같다고 말한다.
천문학, 지질학 그리고 고생물학에 근거해서 그들은 인간이 우주 속에서 실제로 유일할지 모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지구의 구성과 안정성이 극도로 보기 드물다는 것을 과학이 보여주고 있다고 말한다.
거의 모든 다른 곳에서는 방사능 수준이 너무 높고 적절한 화학적 요소가 너무 부족해 생명체가 진보된 공동체로 진화할 수 없다.

In the Solomon Islands in the south pacific, some villagers practice a unique form of logging.
If a tree is too large to cut down with an ax, the natives cut it down by yelling at it.
Woodsmen with special powers creep up on a tree just at dawn and suddenly scream at it at the top of their lungs.
They continue this for thirty days.
The tree dies and falls over.
The theory is that the shouting kills the spirit of the tree.
According to the villagers, it always works.
남태평양 솔로몬 군도에 있는 몇 마을에서는 나무를 베는데 독특한 방법을 사용했다.
나무가 너무 커서 도끼로 자를 수 없을 때, 원주민은 소리를 질러 나무를 베어 쓰러뜨렸다.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는 나무꾼들이 새벽에 나무 위로 올라가서 갑자기 목청껏 소리를 지른다.
그들은 30일 동안 이러한 일을 계속한다.
나무는 죽어 쓰러진다.
그 이론은 소리를 지르는 것이 나무의 영혼을 죽인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이 방법은 언제나 효과가 있었다.
Ah, those poor naive innocents.
Such strangely charming habits of the jungle.
Screaming at trees, indeed.
How primitive.
Too bad they don't have the advantages of modern technology and the scientific mind.
아 정말 순진무구한 사람들.
참으로 희한한 주문을 거는 밀림의 관습.
정말로 나무에 소리나 질러 대다니.
얼마나 원시적인가.
현대 기술의 이점과 과학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다니 정말 안됐다.

New scientific research confirms that the prime time in life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is from birth through age 10 or 12.
Newsweek calls it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languages.
In Europe, kids commonly learn a second language at the same time as their first.
Why? Because it will never be as easy again.
The secret is to start early.
Now, the world famous British Broadcasting System brings Europe's long success with language learning to America.
The acclaimed BBS Language Course for Children uses the award-winning video character Muzy, compelling stories and delightful songs to bring language to life.
This could be the most important gift you ever give your child.
새로운 과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인생에서 제2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황금 시기는 태어나서부터 10살 내지 12살까지라고 합니다.
Newsweek지에 따르면 그 시기를 언어를 배우는 “기회의 창”이라고 합니다.
유럽아이들은 흔히 모국어와 동시에 제2언어를 배웁니다.
왜 그럴까요? 다시는 그만큼 쉬운 시기가 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결은 일찍 시작하라는 것입니다.
이제, 세계적 명성의 BBS가 유럽에서 오랫동안 성공을 거두었던 언어학습이 미국에서도 가능해졌습니다.
절찬을 받은 BBS Language Course for Children은 수상실적이 있어 이미 아이들에게 유명해진 비디오 주인공 Muzy를 활용하여 이야기와 재미있는 노래를 통하여 언어학습에 활력을 줍니다.
이것은 당신이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물입니다.

Social sciences study the area of human behavior.
Human behavior patterns vary from place to place and group to group.
However, natural sciences are somewhat different.
When a chemist studies hydrogen, he can assume that one hydrogen atom is very much like another,
wherever it is found, and that the conditions surrounding it can be quite accurately controlled.
The same is true when a physicist measures a metal bar;
he can be quite sure that it will not stretch or shrink in length as long as natural conditions are the same.
Because of the predictable nature of their subject matter, natural sciences are often called “easy sciences.”
사회과학은 인간행동 영역을 연구한다.
인간의 행동 유형은 장소에 따라 그리고 집단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자연 과학은 좀 다르다.
화학자가 수소를 연구할 때, 하나의 수소 원자는
그것이 어디에서 발견되든 다른 수소원자와 거의 유사하며, 그것을 둘러싼 조건은 매우 정확하게 통제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것은 물리학자가 금속막대기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물리학자는 자연조건이 동일하다면 금속막대기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자연과학은 연구대상의 예측 가능한 속성 때문에 종종 “쉬운 과학”이라고 불린다.

Migration probably attracted the attention and aroused the imagination of humans.
Recorded observations on this date back nearly 3,000 years to the times of Hesiod, Homer, Herodotus, and Aristotle.
Aristotle, naturalist and philosopher of ancient Greece, was one of the first observers whose writings are known to discuss it.
He noted cranes traveled from the steppes of Scythia to the marshes at the headwaters of the Nile, and pelicans, geese, swans, doves, and many other birds likewise passed to warmer regions to spend the winter.
철새 등의 이동은 아마도 사람들의 주의를 끌었고 상상력을 자극했었을 것이다.
이것에 대한 기록된 관찰은 거의 Hesiod, Homer, Herodotus, 그리고 Aristotle의 시대인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의 자연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Aristotle은 그의 글에서 이것을 논한 최초의 관찰자 중의 한사람이었다.
그는 두루미가 Scythia의 대초원에서 Nile강의 상류의 늪지대로 이동하는 것을, 그리고 펠리칸, 기러기, 백조, 비둘기 등 많은 새들이 유사하게 겨울을 보내기 위해서 따뜻한 지역으로 지나가는 것을 주목했다.

Scientists may know a lot about the outside of the earth,
but they are still not sure about the inside.
For example, they understand how mountains are made and what a volcano is,
but they do not know when a volcano will send hot rock into the air.
Scientists also are not sure about how the earth was made.
They have many different ideas about this.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 questions for scientists who study the earth.
과학자들이 지구의 외부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 수 있을지 모르지만,
아직도 내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산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화산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화산이 언제 뜨거운 바위를 공중으로 내보내는지는 알지 못한다.
과학자들은 지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한다.
이점에 대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지구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게는 여전히 많은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I find that more and more people have an urge to pry into such difficult subjects as science, philosophy, religion and political theory.
More often than not, however, this urge soon dries up.
People find that the book which they open with high hopes of enlightenment turns out to be beyond their grasp.
Actually, any book intended for the general reader can be understood if you approach it in the right way.
What is the right approach?
The answer lies in one important rule of reading.
You should read a book through superficially before you try to master it.
전국을 두루 여행하다보면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이나, 철학, 종교, 경제, 정치이론 같은 어려운 주제에 파고들려고 하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종종 이런 욕망은 이내 시들어버린다.
사람들은 계몽에 대한 바람을 갖고 펼쳐본 책이 그들이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실,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책은 제대로 접근하면 이해할 수 있다.
적절한 접근법이란 무엇인가?
해답은 독서에 관한 중요한 규칙에 있다.
여러분은 책을 완전히 통달하기 전에 먼저 대략적으로 통독을 해야 한다.

These studies indicated that great artists, writers, musicians, and scientists tend to have peaks of creativity every 7.6 months, followed by a low period.
이 연구에 의하면, 훌륭한 미술가, 작가, 음악가, 그리고 과학자는 매 7.6개월마다 창의성이 고조기에 달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후 저조기가 따른다.
Moreover, the studies propose that high points of creativity come in a longer seven-year pattern.
또한 그 연구는 창의성의 최절정기는 보다 더 긴 7년의 주기로 온다고 제시했다.
Sigmund Freud believed that his best work came in seven-year cycles.
Sigmund Freud는 자신의 최고 작품이 7년 주기로 온다고 믿었다.
Possibly, we all have high points and low points in our creative cycles.
아마 우리 모두는 창의성 주기에서 고조기와 저조기를 가진다.
This may be the reason why we have "good days" or "bad days" at work, or do well or poorly on an exam.
이 때문에 우리는 직장에서 좋은 날과 그렇지 않을 날을 갖게되는 것이고, 시험에서 잘 치기도 하고 못 치기도 하는 것이다.

After the fall of the medieval world view, we in the west suddenly became aware that we lived in a totally unknown universe.
중세의 세계관이 무너진 다음 서방 세계에 살던 우리은 갑자기 미스터리에 싸인 우주속에서 우리가 살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s universe we knew we had to somehow separate fact from superstition.
우리는 우주의 본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우리는 어떻게 해서든 미신과 사실을 분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In this regard we scientists assumed a particular attitude known as scientific skepticism, which in effect demands solid evidence for any new assertion about how the world works.
그래서 우리 과학자들은 과학적 비판주의라는 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즉 세계가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주장이 나오면 그것에 대해 확고한 증거를 요구하게 된 것이다.
Before we would believe anything, we wanted evidence that could be seen and grabbed with the hands.
우리는 어떤 새로운 것을 믿기 전에 직접 우리 눈으로 보고 우리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증거를 요구하게 됐다.
Any idea that couldn't be proved in some physical way was systematically rejected.
그래서 물리적인 방식으로 입증될 수 없는 주장은 조직적으로 거부되었다.

Whom, then, do I call educated, since I exclude the arts and sciences and specialties?
예술, 과학 및 전공분야를 배제하고 이야기 할 때, 누구를 교육받은 사람이라 할 수 있을까?
First, those who manage well the circumstances which they encounter day by day, and who possess a judgment which is accurate in meeting occasions as they arise and rarely misses the expedient course of action;
첫째, 매일 매일 만나게 되는 상황을 잘 처리하고, 생기는 일에 대처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판단을 가지고 있어서 적절한 조치를 좀처럼 놓치지 않는 사람.
next, those who are decent and honorable in their intercourse with all with whom they associate, tolerating easily and good-naturedly what is unpleasant or offensive in others and being themselves as agreeable and reasonable to their associates as it is possible to be;
다음은 교제하는 모든 사람과의 관계에서 예의가 바르고, 명예를 손상치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불쾌하고 비열한 점을 쉽사리 온화한 마음으로 잘 참아내고, 가능한 한 자신이 동료들에게 호감을 주고 분별이 있는 사람.
furthermore, those who hold their pleasure always under control and are not duly overcome by their misfortunes, bearing up under them bravely and in a manner worthy of our common nature;
또한, 자신의 쾌락을 항상 절제할 수 있고, 자신의 불행에 완전히 압도되지 않고 불행하에서 용감하고 보통사람에 어울리는 방식으로 견뎌내는 사람.
finally, and most important of all, those who are not spoiled by successes and do not desert their true selves and become arrogant, but hold their ground steadfastly as intelligent men, not rejoicing in the good things which have come to them through chance rather than in those which through their own nature and intelligence are theirs from their birth.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으로 버릇이 나빠지지 않고,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저버리지 않고, 오만하게 되기보다는 자신의 바탕을 지인(知人)으로서 꾸준히 지키며, 요행으로 자기에게 온 좋은 일에 기뻐하기보다는 태어날 때부터 자기 것인 자신의 성품과 지성을 통하여 자기에게 온 것에 희열을 느끼는 사람.
Those who have a character which is in accord, not with one of these things, but with all of them―these, I contend, are wise and complete men, possessed of all the virtues.
지금까지 언급한 것들 중 한가지가 아니라 이들 모두와 일치하는 성품을 가진 사람, 이러한 사람들을 나는 현명하고 모든 덕을 갖춘 완전한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Facts are to the scientist what words are to the poet.
사실과 과학자와의 관계는 말과 시인과의 관계와 같다.
The scientist has a love of facts, even isolated facts, similar to the poet's love of words.
시인이 말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자는 심지어 유리된 사실일지라도 사실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다.
But a collection of facts is not science any more than a dictionary is poetry.
그러나 사실의 집합이 과학이 아닌 것처럼 사전은 시가 아니다.
Around his facts the scientist weaves a logical pattern or theory which gives the facts meaning, order, and significance.
과학자는 사실을 중심으로 하여 그 사실에 의미, 질서, 의의(意義)를 부여하는 논리적 체계나 이론을 짜낸다.

In 1984, American scientists were working near the North Pole.
1984년에 미국의 과학자들이 북극 근처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다.
They found the body of a man frozen in the ice.
그들은 얼음 속에 냉동되어 있는 어떤 사람의 시체를 발견하였다.
This man went to the North Pole in 1846.
He died, and his friends buried him in the ice.
그 사람은 1846년에 북극에 가서 죽어 그의 친구들은 그를 얼음 속에 묻었다.
Today, his body looks the same.
It did not change at all in the ice.
오늘날에도 그의 주검은 얼음 속에서 전혀 변하지 않아 똑같이 보였다.

A truly scientific social science will seek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social and individual interaction―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relations―so it can reach a more valid prediction and control of social phenomena and, at the same time, conserve the dignity and integrity of individual personality.
정말로 과학적인 사회과학은 사회관계의 본질과 역학이라는 사회와 개인의 상호 작용 과정을 이해하려한다.
그래서 그것은 사회 현상을 더욱 타당하게 예측을 하고 통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개인적 개성의 존엄함과 고결함을 보전한다.

In the twentieth century,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technology.
20세기에 과학 기술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Scientists have sent people out into space and even to the moon.
과학자들은 사람들을 우주 밖으로, 심지어는 달에도 보냈다.
Television, cars, and computers have changed our lives profoundly.
TV, 자동차들, 그리고 컴퓨터들이 우리의 생활을 크게 변화시켰다.
New medical treatments have offered hope and even life itself to severely ill people.
새로운 의료 치료법들이 심각한 병에 걸린 사람들에게 희망과 생명 그 자체까지도 부여해 주었다.
We have come a long way because of technology.
우리는 과학기술 때문에 많은 진보를 해 왔다.

To date, scientists cannot explain the exact cause of the common cold.
현재까지, 과학자들은 일반적인 감기의 원인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They know that it is caused by a virus, not bacteria.
과학자들은 감기가 박테리아가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걸린다는 것을 안다.
However, bacteria quickly move into the infected nasal passages.
그러나 박테리아는 감염된 비강 속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Scientists also know that the cold virus is very small (an electron microscope is needed to see it), very durable, and very difficult to identify.
과학자들은 또한 감기 바이러스가 매우 작고(전자 현미경으로 그것을 봐야할 정도로), 내성이 강하고,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안다.
In fact, there are probably over one hundred different types of cold viruses.
사실, 아마 백가지 이상의 다양한 감기 바이러스가 있을 것이다.
Scientists cannot identify one virus as more responsible for causing colds than other viruses.
과학자들은 다른 바이러스보다 감기를 유발시키는데 더 큰 책임이 있는[더 큰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정체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develop a vaccine to prevent colds.
따라서 감기 예방 백신을 개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If you are vaccinated against virus A, you are protected from virus A, but not from viruses X, Y, and Z.
만약 당신이 A형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X, Y, Z형 바이러스로부터는 보호받지 못한다.

An eclipse used to be a losing proposition: entire populations, surprised by the sudden darkness, would lose their cool; pregnant women feared that they would lose their babies; court astrologers who had failed to predict the celestial occurrence would lose their heads.
일식은 과거에는 '잃는' 일이었다.
갑작스러운 어둠에 놀란 사람들은 침착함을 잃어버렸고 임신한 여성은 아기를 잃을까 두려워했다.
하늘의 사건을 예측하지 못한 궁전의 점술사는 목숨을 잃었다.
And then scientists discovered that an angry sky god wasn't erasing the sun: eclipse could be forecast.
그후 과학자들은 성난 신이 태양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고 일식은 예측될 수 있게 되었다.

These wastes include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and other by-products of technology.
이러한 폐기물은 중금속과 다른 과학 기술의 부산물을 포함한다.
Such chemicals cause cancer, brain damage, and high infant mortality rates.
그러한 화학약품들은 암, 뇌손상, 높은 영아 사망률을 초래한다.
Dumping of the wastes is difficult to supervise.
쓰레기를 버리는 것을 통제하기 어렵다.
And, in fact, even careful dumping has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whole areas.
그리고 사실 조심스럽게 버리는 것초차도 전 지역을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All rulership has its original and its most legitimate source in man's wish to free himself from life's necessity, and men achieved such liberation by means of violence, by forcing others to bear the burden of life for them.
모든 통치권력의 출발은 삶의 궁핍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인간의 소망에 그 기원과 가장 합법적인 근원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폭력적 수단으로 자신들을 위해서 다른 사람들이 삶의 부담을 지도록 강요함으로써 그러한 자유를 달성했다.
This was the core of slavery, and it is only the rise of technology, and not the rise of modern political ideas, which has refuted the old and terrible truth that only violence and rule over others could make some men free.
이것이 노예제도의 핵심이다.
다른 사람들에 대한 폭력과 통치만이 어떤 사람들을 자유롭게 한다는 오래되고 끔찍한 진실을 반박한 것은 현대 정치 사상의 출현이 아니라 단지 과학기술의 발달이다.

The Swedish botanist Carolus Linnaeus began the modern 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스위스 식물학자 Carolus Linnaeus는 현대의 과학적 분류체계를 세웠다.
He divided plants and animals by their structures or parts, and he gave each species a different two-part name.
그는 동식물을 그들의 구조나 기관에 따라 2가지 다른 부류의 이름을 붙였다.
His system is easy for botanists, biologists, and zoologis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use in talking about the same plants and animals.
그의 체계는 전세계의 식물학자, 생물학자, 동물학자들이 같은 동식물에 대한 토론을 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다.

Linnaeus's system of scientific classification is important for two reasons.
Linnaeus의 과학적 분류 체계는 두가지 이유에서 중요하였다.
He was the first botanist to classify plants into groups by their parts.
그는 식물을 기관에 따른 군집으로 분류한 최초의 식물학자였다.
He looked at the different parts of the plants and put plants with the same parts into the same group.
그는 식물들의 각기 다른 기관을 관찰하고 같은 기관을 가진 식물들에게 같은 집단으로 두었다.
Second, he gave each plant two names: one name for genus and one name for species.
그 다음 그는 각각의 식물에 두 이름을 붙였다.
하나는 속이고 다른 하나는 종이다.
For example, the scientific name for the sunflower is Helianthus annuus.
예를 들어, 해바라기의 학명은 Helianthus annuus이다.
Helianthus is the genus name, and annuus is the species.
Helianthus는 속명이고 annuus는 종명이다.
The robin is a red bird.
Its scientific name is Turdus migratorius.
라빈(개똥지빠귀)는 붉을 새인데, 그것의 학명은 Turdus migratorius이다.
Turdus is the genus name, and migratorius is the species name.
Turdus는 속명이고 migrtorius는 종명이다.

Many are surprised to learn that this place is nearly twice the size of the United States.
많은 사람들은 이 곳이 미국 크기의 약 2배에 달한다는 것을 알고서는 놀라게 된다.
This place is the coldest area in the world.
이 곳은 세계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다.
On the average it is about 30 degrees colder than the North Pole.
평균적으로 이 곳은 북극보다 약 30도 가량 온도가 낮다.
Ice is the great feature of this place.
얼음은 이 지역의 큰 특징이다.
More than 4.5 million square miles of ice sheet cover the area.
450만 평방마일 이상의 빙판이 이 지역을 덮고 있다.
Great rivers of ice, called glaciers, push down the mountains.
빙하라고 불리는 거대한 얼음의 흐름은 산들을 밀어 내린다.
This place is the storehouse of about 85 percent of the total world supply of ice.
이 곳은 세계의 얼음 공급 총량의 약 85%의 저장고이다.
The icecap is very thick, averaging nearly 8,000 feet.
만년설은 매우 두꺼워서, 평균적으로 8,000피트에 달한다.
At one spot, scientists have found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to the rock underneath the ice to be more than 13,000 feet.
한 지점에서는 과학자들이 표면에서 얼음층 밑의 바위까지의 거리가 13,000피트 이상이 되는 것을 발견했다.
If this great volume of ice were to melt, the volume of the world oceans would increase, and sea level would rise.
만약 이 엄청난 량의 얼음이 녹는다면 전세계 해양의 부피는 증가할 것이고, 해수면은 상승하게 될 것이다.
Extreme atmospheric changes would have to take place for this to happen.
이러한 일이 일어나려면 극단적인 대기 변화가 일어나야 할 것이다.

Oxidation is, of course, vital to life itself; our bodies add oxygen to
food in a kind of flameless combustion to extract vital energy. But
oxidation is not always beneficial, according to the least scientific
theory.
산화는, 물론, 생명 자체에 필요불가결하다. 왜냐하면 우리의 신체는
일종의 불꽃이 없는 연소 속에서 산소를 음식물에 가해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화가 언제나 이롭지는 않다고 최근의 과학 이론은
주장하고있다.

Goethe the poet is far better known than Goethe the scientist.
괴테는 과학자로서보다는 시인으로서 훨씬 더 잘 알려져 있다.

Each year, thousands of Americans die from fires. In too many of the
cases, death occurs because so much skin is burned away that vital body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226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