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과학적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agedate 〔´eidзd`eit〕 (발굴물등의)연대를 과학적으로 결정하다

critical path analysis (method) 크리티컬 패스 분석법(프로젝트의 계획.관리를 과학적으로 하는 방법)

denotative 〔din´out∂tiv〕 외연적인, 객관적인, 과학적

elegance 우미, 우아, 단아, 고상함, 과학적인 정밀성, 우아한 말씨

naturalism 〔n´æt∫∂r∂l´izm〕 자연주의(현실 또는 자연의 객관적 진실 묘사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주의(본능에 따라 행동하는), (철)자연주의(자연을 중시하고, 모든 현상을 과학적 법칙으로 설명하는), (신학)자연론(종교적 진리는 자연에 대한 연구에서 얻

operationalism 〔`aз∂r´ei∫∂n∂l`izm〕 조작 주의(구체적 조작에 의해 정의 될 때 과학적 개념은 객관화된다는 설)

operations research 기업 경영상의 과학적 조사 연구, 작전 연구

parapsychology 〔p´ær∂saik´al∂dзi〕 초 심리학, 심령 현상의 과학적 연구 분야

pupa 〔pj´u:p∂〕 번데기(chrysalis의 과학적 명칭). pupal a.

research 〔ris´e:rt∫〕 (학술)연구, 과학적 탐구, 학술조사, (신중한)수색, 탐구, 조사, 연구 능력, 연구심, 연구하다, 조사하다, ~able

scientific 〔s`ai∂nt´ifik〕 과학의, 과학적인, 학술상의, 정확한, 기량이 있는, 숙련된

holistic 전체론적인; 전체론적 의학의 *전체론적 의학이란 과학적 의학의 주류에서 벗어난 자연 치료법 등을 가리킨다.

scientific 과학의, 과학적인; 체계적인, 정확한

New scientific discoveries are being made everyday. 새로운 과학적 발견이 매일 이루어지고 있다.

a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universe 우주에 대한 과학적 설명

Ultimately, the problems are not scientific but moral. 근본적으로 그 문제들은 과학적인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것이다.

Many wri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were inspired by the educational
and scientific ideas of the Enlightenment, seeing the potential of
literature to reach a wide readership.
18세기의 많은 작가들은 계몽주의의 교육적이고 과학적인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았고, 많은 독자층에게 도달할 수 있는 문학의 잠재력을 보게되었다.

It is estimated that a scientific principle has a life expectancy of
approximately a decade before it is drastically revised or replaced
by newer information.
하나의 과학적인 원리는, 그것이 새로운 정보에 의해서 철저히 변경되거나
대체되기 전에, 약 10년의 평균 수명을 가진다.

Lillian Gilbreth was one of the leading engineers of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scientific management.
Lillian Gilbreth 는 과학적인 관리분야에서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이고, 20세기의
뛰어난 기술자중의 하나였다.

Business supports a great deal of the scientific and cultural research
carried on in universities and independent laboratories in the United States.
기업들은, 미국의 대학이나 독립된 실험실에서 수행되는 과학적 문화적 연구들중의
많은 부분을 지원한다.

Thomas Jefferson served as president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an
organization that encouraged a wide range of scientific and intellectual
research.
Thomas Jefferson 은 미국철학협회 의장으로 일했었는데, 그것은 광범위한 과학적
그리고 지적인 연구를 격려하는 기구였다.

Some experts believe that the route to effective organizational
leadership depends on its being more, less than, scientific.
어떤 전문가들은, 효과적인 조직의 리더쉽으로 가는 길은 그것이 덜 과학적인 것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고 더 과학적인 것에 의존한다고 믿는다.

* people meter
이것은 미국의 여론조사 기관인 Ac Neilson 사에 의해 개발된 TV시청률
조사수단이다. 과학적인 표본 추출방식에 의해 뽑힌 일정수의 가구의 TV
수상기에다 people meter를 갖다 장치하면 중앙의 main computer에 그 가
구들의 수상기 작동방식이나 채널변환등이 초단위로 자동기록이 되면서
그 기록을 통해서 시청률 통계를 내게 되는 것. people meter의 특징은
가족구성원이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버튼을 통해서 시청자의 성별, 연령
별, 직업별 집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20여년전부터
이 people meter 를 통해서 시청률조사를 실시해 왔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12월부터 이방법을 이용한 시청률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
에도 시청률조사에는 전화인터뷰나 일기식 조사방식, 낱낱이 사람에게 찾
아가는 방법 또 passive meter 이런 방법이 있다. 이에 반해서 라디오 청
취률조사는 이 people meter를 이용한 방법은 동원되지 않고 있고 라디오
청취률조사는 조사기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반면에 people meter
를 사용하는 TV시청률은 비교적 정확하고 공정하게 그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그다지 과학적인 사고를 못했지요.
She wasn't that scientifically minded.

An aphorism differs from an adage in that it is more philosophical or scientific.
경구는 보다 철학적이거나 과학적이라는 점에서 속담과는 다르다.

And the scientific method of fearless thought, exhaustively lucid statement, and exhaustively criticized planning, which has given him these as yet uncontrollable powers, gives him also the hope of controlling these powers.
과감한 생각의 과학적인 방법, 아주 분명한 말, 그리고 철저히 비판된 계획이 그에게 지금까지 억제할 수 없는 힘을 제공해 왔으나 앞으로 이 힘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도 주고 있다.

There have been several wars since 1945.
However, the United Nations has helped bring peace to some countries that were at war.
It has helped people who left their countries because of wars.
Also, it sends its workers to developing countries.
They work as planners to increase production in farming and industry.
They provide medical services, improve education programs, and spread scientific information.
They develop programs that provide jobs and better living conditions.
They help countries control their population growth.
1945년부터 몇 건의 전쟁이 있었다.
그렇지만 유엔은 전쟁 중인 몇 국가에 평화가 찾아오도록 도왔다.
유엔은 전쟁 때문에 조국을 떠난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또한, 개발도상국에 일꾼들을 보내기도 한다.
일꾼들은 농업과 산업 생산을 늘리기 위한 계획자로서 일을 한다.
그들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과학적 정보를 배포시킨다.
그들은 일자리와 더 나은 삶의 조건을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들은 국가들이 인구 성장을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In schools, we all learned that dinosaurs were slow and cold-blooded reptiles.
However, the opposite may be true.
New scientific evidence shows dinosaurs might have been warm-blooded animals that behaved more like mammals than reptiles.
Such a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following two facts.
One is the growth patterns of dinosaurs, which are more like those of warm-blooded mammals.
The other is that their body temperatures had to be higher than the air to hatch eggs.
학교에서 우리는 공룡들이 느릿한 냉혈 파충류라고 배웠다.
그러나 그 반대가 사실일 수도 있다.
새로운 과학적 증거에 의하면, 공룡은 온혈 동물로 파충류보다 포유류처럼 행동했었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 사실에서 추론될 수 있다.
하나는 공룡의 성장패턴으로, 이것은 온혈 포유류의 성장패턴과 같다.
다른 한 가지는 알을 부화하기 위해, 공룡의 체온이 공기보다 높아야 했다는 사실이다.

Talk of intelligent life on other planets was once the stuff of science fiction or idle speculation.
Recently, however, many astronomers have promoted the view that civilizations may be scattered among the stars like grains of sand.
The idea has inspired countless novels, movies, and television shows,
but has also led to a long and serious scientific search, using huge dish antennas that scan the sky for faint radio signals coming from intelligent aliens.
다른 행성들에 있는 지능이 있는 생명체에 대해 말하는 것은 한때 과학소설의 소재나 쓸모없는 추측거리였다.
하지만 최근에 '많은 천문학자들은 문명들이 모래알과 같은 별들 사이에 산재해있을지 모른다는 견해를 펼쳐왔다.
그 생각은 수많은 소설,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 영감을 제공해주었지만,
지능을 가진 외계인들로부터 나오는 희미한 무선 신호들을 받기 위해 하늘을 탐지하는 거대한 접시 안테나를 이용해 길고 진지한 과학적인 연구에 이르기도 했다.

In the Solomon Islands in the south pacific, some villagers practice a unique form of logging.
If a tree is too large to cut down with an ax, the natives cut it down by yelling at it.
Woodsmen with special powers creep up on a tree just at dawn and suddenly scream at it at the top of their lungs.
They continue this for thirty days.
The tree dies and falls over.
The theory is that the shouting kills the spirit of the tree.
According to the villagers, it always works.
남태평양 솔로몬 군도에 있는 몇 마을에서는 나무를 베는데 독특한 방법을 사용했다.
나무가 너무 커서 도끼로 자를 수 없을 때, 원주민은 소리를 질러 나무를 베어 쓰러뜨렸다.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는 나무꾼들이 새벽에 나무 위로 올라가서 갑자기 목청껏 소리를 지른다.
그들은 30일 동안 이러한 일을 계속한다.
나무는 죽어 쓰러진다.
그 이론은 소리를 지르는 것이 나무의 영혼을 죽인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이 방법은 언제나 효과가 있었다.
Ah, those poor naive innocents.
Such strangely charming habits of the jungle.
Screaming at trees, indeed.
How primitive.
Too bad they don't have the advantages of modern technology and the scientific mind.
아 정말 순진무구한 사람들.
참으로 희한한 주문을 거는 밀림의 관습.
정말로 나무에 소리나 질러 대다니.
얼마나 원시적인가.
현대 기술의 이점과 과학적 사고를 가지지 못하다니 정말 안됐다.

New scientific research confirms that the prime time in life for learning a second language is from birth through age 10 or 12.
Newsweek calls it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languages.
In Europe, kids commonly learn a second language at the same time as their first.
Why? Because it will never be as easy again.
The secret is to start early.
Now, the world famous British Broadcasting System brings Europe's long success with language learning to America.
The acclaimed BBS Language Course for Children uses the award-winning video character Muzy, compelling stories and delightful songs to bring language to life.
This could be the most important gift you ever give your child.
새로운 과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인생에서 제2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황금 시기는 태어나서부터 10살 내지 12살까지라고 합니다.
Newsweek지에 따르면 그 시기를 언어를 배우는 “기회의 창”이라고 합니다.
유럽아이들은 흔히 모국어와 동시에 제2언어를 배웁니다.
왜 그럴까요? 다시는 그만큼 쉬운 시기가 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결은 일찍 시작하라는 것입니다.
이제, 세계적 명성의 BBS가 유럽에서 오랫동안 성공을 거두었던 언어학습이 미국에서도 가능해졌습니다.
절찬을 받은 BBS Language Course for Children은 수상실적이 있어 이미 아이들에게 유명해진 비디오 주인공 Muzy를 활용하여 이야기와 재미있는 노래를 통하여 언어학습에 활력을 줍니다.
이것은 당신이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물입니다.

After the fall of the medieval world view, we in the west suddenly became aware that we lived in a totally unknown universe.
중세의 세계관이 무너진 다음 서방 세계에 살던 우리은 갑자기 미스터리에 싸인 우주속에서 우리가 살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s universe we knew we had to somehow separate fact from superstition.
우리는 우주의 본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우리는 어떻게 해서든 미신과 사실을 분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In this regard we scientists assumed a particular attitude known as scientific skepticism, which in effect demands solid evidence for any new assertion about how the world works.
그래서 우리 과학자들은 과학적 비판주의라는 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즉 세계가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주장이 나오면 그것에 대해 확고한 증거를 요구하게 된 것이다.
Before we would believe anything, we wanted evidence that could be seen and grabbed with the hands.
우리는 어떤 새로운 것을 믿기 전에 직접 우리 눈으로 보고 우리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증거를 요구하게 됐다.
Any idea that couldn't be proved in some physical way was systematically rejected.
그래서 물리적인 방식으로 입증될 수 없는 주장은 조직적으로 거부되었다.

A truly scientific social science will seek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social and individual interaction―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relations―so it can reach a more valid prediction and control of social phenomena and, at the same time, conserve the dignity and integrity of individual personality.
정말로 과학적인 사회과학은 사회관계의 본질과 역학이라는 사회와 개인의 상호 작용 과정을 이해하려한다.
그래서 그것은 사회 현상을 더욱 타당하게 예측을 하고 통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개인적 개성의 존엄함과 고결함을 보전한다.

The Swedish botanist Carolus Linnaeus began the modern 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스위스 식물학자 Carolus Linnaeus는 현대의 과학적 분류체계를 세웠다.
He divided plants and animals by their structures or parts, and he gave each species a different two-part name.
그는 동식물을 그들의 구조나 기관에 따라 2가지 다른 부류의 이름을 붙였다.
His system is easy for botanists, biologists, and zoologis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use in talking about the same plants and animals.
그의 체계는 전세계의 식물학자, 생물학자, 동물학자들이 같은 동식물에 대한 토론을 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다.

Linnaeus's system of scientific classification is important for two reasons.
Linnaeus의 과학적 분류 체계는 두가지 이유에서 중요하였다.
He was the first botanist to classify plants into groups by their parts.
그는 식물을 기관에 따른 군집으로 분류한 최초의 식물학자였다.
He looked at the different parts of the plants and put plants with the same parts into the same group.
그는 식물들의 각기 다른 기관을 관찰하고 같은 기관을 가진 식물들에게 같은 집단으로 두었다.
Second, he gave each plant two names: one name for genus and one name for species.
그 다음 그는 각각의 식물에 두 이름을 붙였다.
하나는 속이고 다른 하나는 종이다.
For example, the scientific name for the sunflower is Helianthus annuus.
예를 들어, 해바라기의 학명은 Helianthus annuus이다.
Helianthus is the genus name, and annuus is the species.
Helianthus는 속명이고 annuus는 종명이다.
The robin is a red bird.
Its scientific name is Turdus migratorius.
라빈(개똥지빠귀)는 붉을 새인데, 그것의 학명은 Turdus migratorius이다.
Turdus is the genus name, and migratorius is the species name.
Turdus는 속명이고 migrtorius는 종명이다.

* legend 대단히 유명한 사람 a famous person or act in a particular area of activity:
그는 과학적 발견으로 살아 생전에 대단히 유명한 인물이 되었다.
He is a legend in his own lifetime for his scientific discoveries.

He is one of the most famous yet mysterious celebrities of recent
times. Although he has been silent for more than five thousand years, he
has told us much about early European humans. He is the Iceman, the
intact mummy found sticking out of the ice by a German couple hiking in
the Alps in 1991. He was thought at first to be a modern victim of a
hiking accident, but scientific study has proved him to be from the
Copper Age.
그는 최근 가장 유명하면서도 신비에 싸인 명사 중 한 사람이다. 비록 5천년
이상 침묵했지만 그는 우리에게 초기 유럽인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는 얼음 인간으로, 1991년 알프스 도보 여행을 하던 독일인 부부 의해
발견된, 얼음 위로 툭 불거져 나온 손상되지 않은 미이라이다. 처음에는
하이킹 사고의 현대인 희생자라고 처음엔 여겨졌지만, 과학적 조사결과 청동기
시대의 인물로 판명‰榮

POS(Point of Sales . 판매시점 관리):판매장의 계산대를 전산화해
판매물품의 수량 가격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는 것.
ROAD RAGE: 대도시의 교통체증으로 받는 스트레스. 도로분노

The scientifically valid procedure in language learning involves listening first, to be following by speaking.
언어학습에 있어서 과학적으로 타당한 절차는 듣기를 먼저 그리고 말하기를 포함하고 있다.
Then comes reading, and finally the writing of the language.
그리고 나서 읽기가 오고 마지막으로 쓰기다.
This is just the order in which a child learns his mother tongue―first hearing, then speaking; and only after he has acquired considerable facility in understanding and speaking, does he learn to read and write.
이것은 어린이가 모국어를 학습하는 순서와 같다. 즉 제일 먼저 듣기, 그리고 말하기를 배우게 되며 듣기의 이해와 말하기를 상당히 쉽게 터득한 직후에 읽기와 쓰기를 배우는 것이다.
However, most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languages to adults have almost completely reversed this process―first comes reading, closely linked with writing.
그러나 성인들을 위한 대부분의 전통적인 언어교수법은 이 과정과는 상당히 상반되는 것이다. 즉 읽기가 먼저이며 쓰기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Then, after one is supposed to have acquired a knowledge of reading and writing, classes are offered in conversation.
읽기와 쓰기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 것으로 추정된 후에야 대화의 기회가 제공이 된다.

In an effort to silence such critics and, more importantly, to satisfy the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hich requires a proof of how a certain medicine affects the body over the past few years, a quiet but historic campaign has been under way to subject traditional Asian treatments to rigorous scientific scrutiny.
미 식품의약국(F.D.A.)은 이러한 비평을 무마하려는 노력에서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약이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증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치료법이 활기차고 과학적인 조사를 받게 하기 위한 조용하면서도 역사적인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As advocates of traditional Asian medicine see it, the West's narrow scientific approach misses the point of such ancient practices, which attempt to treat the body as a complex whole instead of trying to heal a specific illness.
전통적인 한약의 옹호자들이 알고 있듯이, 서양의 좁은 영역의 과학적 접근법은 특별한 질병을 치유하지 않고 인체를 복잡한 유기체로서 치료하려고 시도하는 동양의 전통을 오래된 관습의 핵심을 놓치고 있다.
Traditional medicine doesn't analyze or attack the disease directly but instead it tries to return the body to balance, to its normal state.
전통적인 의학은 질병을 직접적으로 분석하거나 침범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신에 그것은 인체의 균형을 가져오려고 노력하며 정상적인 상태로 인체를 되돌리려고 한다.
The West's quest for precision leads scientists to disassemble complex formulas in the hope of isolating a single compound that could cure one specific disease.
정밀성을 추구하는 서구 과학자들은 한 가지 특정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복합물질을 추출해내려는 희망에서 복잡한 공식들을 분리시키고 있다.
Not only does this go against the grain of Eastern medical philosophy, it can also be dangerous.
이것은 동양의학 철학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도 있다.

The processes of agriculture, the food we eat, the clothes we wear, our social relations, were all at one time under the dominion of religion and its high priests.
농사짓는 과정, 우리가 먹는 음식, 우리가 입는 의복, 우리의 사회적 관계 등 모든 것이 한때는 종교와 고위 성직자들의 지배 아래 있었다.
Gradually they have passed out of its control and become subjects for scientific study.
이것들은 차츰 종교의 통제를 벗어나서 과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었다.

The lawmakers' move came at a time when the prosecution is probing Korean members of the movement, a sect that owns a human cloning company.
입법자들의 움직임은 법적 고소가 한 인간 복제 회사를 소유하고 있는 교파의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인들을 조사하고 있는 시점에까지 이르렀다.
The firm claimed that it succeeded in cloning the first human.
그 회사는 최근 첫 인간 복제에 성공하였다고 주장한 바 있다.
The claim, which has yet to be verified, sparked scientific and ethical disputes around the world.
아직 검증되지 않은 그 주장은 여러 과학적이고 윤리적인 논쟁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But new scientific research suggests that optimists may know something we can all learn from.
그러나 새로운 과학적 연구는 낙관론자들이 우리 모두가 배울 수 있는 어떤 것을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Optimists tend to be more successful in their life.
낙관론자들은 인생에서 더 성공하는 경향이 있다.

Researchers do these things to animals because they say it will make our lives better.
연구원들은 우리의 생활이 더 나아지도록 하기 위해 동물들에게 이런 일을 한다고 말한다.
But studies conducted by animal rights groups have shown that the scientific benefits of animal experimentation are very limited.
동물권리기관들에 의해 행해진 연구는 동물 실험으로 얻어지는 과학적인 이득은 매우 한정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wo conceptions of science embody two different valuations of scientific life and of the purpose of scientific inquiry.
과학에 대한 두 가지 개념(인식)은 과학적인 삶과 과학적 연구 목적에 대한 상이한 평가를 낳게 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conception, science is above all else an imaginative and exploratory activity, and the scientist is a person taking part in a great intellectual adventure.
첫 번째 개념(인식)에 따르면 과학은 다른 무엇보다도 풍부한 상상력과 탐구활동이 요구되는 것이고 과학자는 위대한 지적 모험에 참여하는 사람이다.
The alternative conception suggests that science is above all else a critical and analytical activity and the scientist is pre-eminently a person who requires evidence before he or she delivers an opinion, and when it comes to evidence is hard to please (Medawar, 1991).
그와 다른 (또 하나의) 개념(인식)에서 과학은 무엇보다 비판적이고 분석적인 활동이며 과학자는 유달리 의견을 내기 전에 증거를 원하고 증거를 찾아도 그리 기뻐하지 않는다고 본다.

Scientific knowledg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intellectual artefacts of human society by the fact that its contents are consensible.
과학적 지식은 인간 사회의 다른 지적인 산물과는 다른데 그 내용이 합의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This implies that each message should not be so obscure or ambiguous that the recipient is unable either to give it whole-hearted assent or to offer well-founded objections.
이것은 각 메시지가 불분명하거나 모호하지 않아 전달받는 사람이 전적인 동의나 사실에 입각한 반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goal of science, moreover, is to achieve the maximum degree of consensuality.
더욱이 과학의 목적은 최대한의 의견일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Ideally the general body of scientific knowledge should consist of facts and principles that are firmly established and accepted without serious doubt, by an overwhelming majority of competent, well-informed scientists.
이상적으로 전체적인 과학적 지식은 사실과 원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확실해서 능력 있고 박식한 절대다수의 과학자들이 심각하게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A consensible message is one which has the potentiality for eventually contributing to a consensus, and a consensual statement is one which has been fully tested and is universally agreed.
의견의 일치를 볼 수 있는 메시지는 궁극적으로 의견일치에 기여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합의된 진술은 충분히 검증되고 보편적으로 동의를 받는 것이다.
We may say, indeed, that consensibili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ny scientific communication, whereas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 whole body of science is undeniably consensual at a given moment (Ziman, 1978)
우리는 비록 당시엔 소량만이 동의를 받지만 전적인 동의가 어떤 과학적인 의사 소통에도 필요한 조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ubiquity of controversy is succinctly captured by Kuhn (1977) in his objection to the consensual approach:
Kuhn은 도처의 논쟁을 동의적 접근법의 반대편에서 간결하게 파악한다.
the emergence of new scientific ideas "requires a decision process which permits rational men to disagree, and such disagreement would generally be barred by the shared algorithm which philosophers have generally sought.
새로운 과학적 사고의 출현은 합리적인 인간이 반대하는 판단 과정을 필요로 하며 그러한 반대는 일반적으로 공유된 연산으로 막아지는데 그것은 철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If it were at hand, all conforming scientists would make the same decision at the same time."
이런 일이 금방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순응적인 과학자들은 동시에 똑같은 결정을 할 것이다.

The IPCC is recognized as the most authoritative scientific and technical voice on climate change, and its assessment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negotiators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and its Kyoto Protocol.
IPCC는 기후 변화에 있어서 가장 권위 있는 과학적 기술적 목소리를 내는 단체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평가는 UNFCC와 교토 의정서의 협상가들에게 심오한 영향을 주었다.
The IPCC continues to provide governments with scientific, technical and socio-economic information relevant to evaluating the risks and developing a response to global climate change.
IPCC는 각 정부에 지구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개발하고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한 과학적 기술적 사회-경제적 정보를 계속 제공한다.

The IPCC is organized into three working groups plus a task force on national greenhouse gas (GHG) inventories.
IPCC는 세 개의 연구 조직과 온실가스 특별조사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Each of these four bodies has two co-chairmen (one from a developed and one from a developing country) and a technical support unit.
각각의 네 조직에는 두 명의 공동의장(1명은 선진국에서 1명은 개도국에서)과 기술적 지원단이 있다.
Working Group I assesses the scientific aspects of the climate system and climate change;
Working Group I은 기후 체제와 기후 변화의 과학적 측면을 평가한다.
Working Group II addresses the vulnerability of human and natural systems to climate change, the negative and positiv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and options for adapting to them;
Working Group II는 기후 변화로 인해 인간과 자연 체계가 취약한 부분, 기후 변화 긍·부정적 결과, 그것에 적응하는 선택방안을 다룬다.
and Working Group III assesses options for limi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otherwise mitigating climate change, as well as economic issues.
Working Group III는 온실 가스 방출을 제한하거나, 경제적 문제 뿐 아니라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 선택적 방법을 평가하게 된다.
Approximately 400 experts from some 120 countries are directly involved in drafting, revising and finalizing the IPCC reports and another 2,500 experts participate in the review process.
대략 120개국 400명의 전문가가 직접 참여하여 IPCC 보고서의 초안작성, 개정 그리고 마무리를 하며 다른 2,500명의 전문가가 검토 작업을 한다.
The IPCC authors are nominated by governments an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NGOs.
IPCC의 저술가들은 각 정부와 NGO를 포함한 국제 조직에서 천거한다.

The growing interest of consumers in the safety and nutritional quality
of the typical North American diet is a welcome development. However,
much of this interest has been sparked by sweeping claims that the food
supply is unsafe or inadequate in meeting nutritional needs. Although
most of these claims are not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 the
preponderance of written material advancing such claims makes it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separate fact from fiction.
전형적인 북미 음식의 안전성과 영양적 가치에 관한 소비자들의 증가하는
관심은 환영할만한 발전이다. 그러나 이 관심중의 많은 부분이. 그
음식(전형적인 음식)은 안전하지 않고 영양상의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부적합하다는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주장에 의해서 불붙여진 것이다. 이런
주장의 대부분이 과학적인 증거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지만, 그런 주장들을
제기하는 인쇄매체들의 우세함이 일반 대중들이 사실과 가상을 구별하는 것을
힘들게 만들고 있다.

In the nineteenth century many people accepted as scientifically valid not
only face-reading, or physiognomy, but also head-reading, or phrenology. The
bumps on a person's cranium, they thought, revealed his or her personality; so
did the shape of the mouth or the tilt of the nose. Today's thinking has it that
what hoes on in the brain does not depend on the face, and yet, just as
astrology continues to flourish in a scientific world, so too does "phys
/ phren," as the combination has come to be called, remain with us in the
1980's.
19세기에 많은 사람들은 관상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골상을 보는 것이 과학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두 개골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와있는 것은 그 사람의
인간 됨됨이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들은 생각했고, 입의 모양이나 코의 기울기도
마찬가지라고 여겼다. 오늘날 사람들은 두뇌 속에서 벌어지는 일(인격)이
얼굴에좌우된다고 생각하니 않지만, 점성술이 계속해서 한 과학의 세계에서
번창하듯이, 이른바, "관상-골상학"이 1980년대에도 우리에게 마찬가지로 남아있다.

Two personalities in one.
두 개의 인격이 한 몸에 있는 거죠
Is there any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this disorder?
그런 장애를 증명할 과학적 증거가 있나요?
Brain scans have documented
뇌 스캔을 통한 연구 결과
changes in the hippocampus of individuals shifting from one personality to another.
사람의 대뇌 해마에서 한 인격체가 다른 인격체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견됐습니다
But, would these two personalities be aware of each other?
하지만, 두 인격체가 서로의 존재를 알고 있을까요?
Well, usually the dominant personality is aware of everything.
대개 지배적 인격체는 모든 것을 인식한다네
The subjugated personality is only aware of itself.
지배당하는 인격체는 자기 자신만 인식을 하지
Tammy is the dominant personality.
태미가 지배적 인격체로군요
But Melissa killed Joseph Felton, Tammy's father.
하지만 멜리사가 조셉 펠튼을 죽였잖아요. 태미의 아버지요
Who was also Melissa's kidnapper.
멜리사를 납치한 사람이기도 하지

But you both knew there'd be a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human torch though, right?
인간 횃불에 관한 과학적 설명이 나와 있으리라는 건 알고들 있겠지?
Of course.
물론이죠
Did you find the wick?
심지는 찾았나?
The wick? / A what?
- 심지요? / - 심… 뭐요?
A piece of fabric that scorched, but not completely burned.
천 조각이 그을리긴 했지만 완전히 타진 않았어
Like possibly from the nightgown.
잠옷 조각이겠지
We found the same thing at the crime scene.
현장에서 같은 것을 발견했어요
It's called the wick effect. It's like an inside out candle,
이런 걸 "심지 효과"라고 하지 양초와 거의 다름 없어
the fabric acts like a wick and the body burns inward
천조각이 심지역할을 해서 몸이 안쪽으로 타게 돼
explaining the high temperatures which destroy the bone.
뼈까지 태워버릴 정도의 높은 온도가 설명되는 거지
The fabric ends up scorched, but not completely burned.
천 조각이 그을리긴 하지만 완전히 타지는 않지

We built great big things,
위대한 것들을 이뤘지
made ungodly technological advances,
엄청난 과학적 발전도 이뤘고
explored the universe, cured diseases,
우주를 탐사하고, 질병도 치료했어
and we cultivated the world's greatest artists
세계적인 예술가들도 길러냈고
and the world's greatest economy.
세계 최고의 경제도 이룩했어

DEAR ABBY: Dr. Eugene Schoenfeld *recently said in your
column that most *psychiatrists *deny that *chronic *fatigue
is a "real disease." I write to offer a different opinion,
shared by a growing number of *physicians who have studied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chronic *fatigue syndrome ―
which now numbers several thousand *research *articles.
▲ recently: not long ago; lately: 최근에
▲ psychiatrist: a doctor trained in psychiatry: 정신과 의사
▲ deny: to declare untrue; refuse to accept: 부인하다
▲ chronic: lasting a long time or recurring again: 만성적인
▲ fatigue: weariness from labor or use: 피로
▲ physician: a doctor: 의사
▲ literature: the production of written works having
excellence of expression and dealing with ideas of permanent
or universal interest: 문학
▲ research: systematic investigation to establish facts:
학술 연구
▲ article: a piece of writing about a particular subject:
기사, 논문
최근 당신 칼럼(7월 13일자 Dear Abby)에서 유진 숀펠드박사가
대부분 정신과 의사들이 만성 피로를 "실제적인 질병"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씀을 하셨더군요. 저는 좀 다른 견해를
말하려고 편지를 드립니다. 만성피로 증후군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하는 의사들이 증가하고 있어서 지금은 그에 관련된 연구
논문이 수천 편에 이릅니다.

기술적저작 Technical writing
사용설명서 서비스 Instruction writing services
메뉴얼제작 서비스 Manual writing services
학술적 또는 과학적논문저작 Academic or scientific article writing

이번 개정안은 정부가 이러한 건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과학적 분석과 실증 증거에 기초해 제도를 합리화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This amendment is significant in that the government actively accepted these proposals, commissioned research services, and rationalized the system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and empirical evidence.

펙스체이너스는 환자가 제공한 병원 평가 및 정보를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보호하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제공하여 과학적인 근거기반의 병원 서비스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Fex Chainers securely protects hospital evaluation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patients with a block-chain technology that cannot be forged and altered and provides quantified data to enable improvement of hospital service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문제는 이런 눈 영양제가 과학적으로 효과가 검증됐는지, 누가 먹어야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ccurate information on whether these eye supplements have been scientifically proven to be effective and what kind of people should take them to help.

그러면서 항암효과가 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펜벤다졸을 복용하면 안 된다는 경고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At the same time, it has issued a series of warnings that one should not take fenbendazole as its anticancer effect has not been scientifically confirmed.

귀의 특정 부위의 형태나 색의 변화가 그에 대응하는 인체 기관의 건강 상태를 반영한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It has not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at changes in the shape or color of certain parts of the ear reflect the corresponding health status of the human organs.

정 박사 연구팀은 한약제제의 치매 치료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치매질환의 대표 처방인 보중익기탕과 황련해독탕을 각각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모사 동물모델에 투여하고 증상을 관찰했다.
In order to scientifically prove the efficacy of the herbal medicine to treat dementia, Dr. Jeong's research team administered Bojoongikgi-tang and Hwangryunhaedok-tang, the representative prescriptions for dementia diseases, to an animal model simulating Alzheimer's disease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respectively, and observed symptoms.

이들은 한방진료실·국제진료센터 등을 둘러보고 한방치료의 원리와 효능, 과학적 성과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추나요법을 체험했다.
They toured oriental medical treatment rooms, international medical centers, etc., heard explanations about the principles, efficacy, and scientific achievemen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experienced Chuna manual therapy.

환경유해인자와의 과학적 상관성이 증명되지 않았더라도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환경성질환 범주도 확대된다.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diseases will also be expanded so that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even if scientific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 has not been proven.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주요 임상 경과와 중증도 평가, 진료 지침 개발, 퇴원 기준 마련 등 과정에서 생산되는 과학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질병관리본부와 의료기관에 최선의 치료자문을 수행한다.
The Infectious Diseases Central Clinical Committee systematically collects scientific achievements produce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major clinical progress and severity, developing medical guidelines, preparing discharge standards, and conducts best treatment advice to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medical institutions.

연구 책임자 손미주 박사는 "이번 연구는 한방병의원에서 흔히 쓰이는 비염고의 과학적 근거 기반을 마련한데 그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Dr. Son Mi-Joo, the head of the research, sai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 scientific basis of Biyumgo, which is commonly used in oriental medicine clinics."

정신질환 치료를 받는 사람은 의료행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한 발상 자체가 과학적 근거가 없는 편견이라는 주장이다.
They argue that the idea that a person receiving treatment for mental disorders is likely to have problems with medical practices, is a prejudice without scientific basis.

이어 "성분의 착오가 있었다는 게 안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He added, "The impact of the error of ingredients on safety should be verified in an objective and scientific way."

미세먼지 프로젝트 사업단은 미세먼지의 과학적 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근본적인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범부처 단일 사업단으로 구성되어 작년에 출범한 바 있다.
The fine dust project team was launched last year, consisting of a single pan-ministerial group,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cientific management of fine dust and solve fundamental fine dust problems.

최근 가미 이사장은 "일본에는 독자적인 의견을 말하는 연구자를 찾기 힘들다"며 코로나19와 관련한 과학적·의학적 논쟁이 활발하지 못하다고 전했다.
Recently, Kami said, "It is hard to find in Japan, researchers who express their own opinions," adding that scientific and medical debates regarding COVID 19 are not active.

아동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의 프로그램들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우수사례 공유의 필요성을 언급할 예정이다.
Community-based programs for chil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will be scientifically evaluated and mentioned the need for sharing best practices.

전경만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교수는 "신종 코로나가 아닌 일반 폐렴에 걸려도 상태가 악화되면 폐섬유화가 진행될 수 있다"라며 "신종 코로나가 다른 폐렴에 비해 폐섬유화를 더 잘 일으킨다는 과학적 근거나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Even if you get regular pneumonia, not COVID-19, pulmonary fibrosis can proceed if your condition worsens," said Jeon Kyung-man, a respiratory physician professor at Samsung Medical Center. He also said, "There is no scientific basis or evidence that COVID-19 causes pulmonary fibrosis a lot more than other pneumonia."

또한 "환경변화에 따른 질병대책은 다각적이고 신속하게 그리고 과학적 근거중심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장기적 건강위해 등에 대응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내 전담조직 및 인력이 필요하다" 고 강조 하였다.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measures for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should be prepared based on diverse, prompt and scientific basis, and dedicated organizations and personnel in the KCDC are needed to respond to long-term health hazards."

대구시는 "이들의 재확진 경로는 좀 더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The City of Daegu said, "The transmission route of such re-confirmed cases needs more scientific verification."

페인랩은 "이씨는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근거가 부족한 치료법을 방송에서 효과가 있는 것처럼 과장했다"며 "물파스로 중풍을 예방할 수 있다면 신의료기술 평가를 신청하라"고 비판했다.
Pain Lab criticized, "Lee exaggerated the treatment that was not scientifically verified as being effective on TV," adding, "If you can prevent stroke with liquid painkiller, apply if for a new medical technology evaluation."

질본 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31일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치료방법이 부족한 상황에서 완치자의 회복기 혈장을 중증 환자의 치료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Kwon Joon-wook, deputy director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aid on the 31st, "We are preparing guidelines to use the plasma of the cured for the treatment of severe patients at a time when there is a lack of scientifically proven treatment methods so far."

``For this investigation, what we focused on were the claims they were
making that went far beyond any available science or claims that were
directly contrary to the available evidence, for example the children
claim,'' an FTC official said.
FTC의 한 관계자는 "FTC 조사는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주장이나 어린이에 대한 효과처럼 실제 증거에 역행하는 주장들인가를
가리는데에 역점이 주어졌다"고 말했다.

A study commissioned by Quigley and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last year found zinc lozenges were
ineffective in easing cold symptoms in a grou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지난해 퀴글리의 위탁으로 실시된 한 조사연구 결과 징크제가 특정그룹
어린이와 성인들의 감기 완화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company said the study had not followed the agreed-upon test
protocol and criticized the result as ``bad science.''
퀴글리는 당시 이 조사가 합의된 시험 절차를 무시해 조사결과를 과학적으로
신빙할 수 없다고 주장했었다.

scientific applications : 과학적 응용

cardiology (심장학) 심장의 해부, 정상 기능, 장애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causality (인과율) 다른 행동에 선행하여 이를 시작시키고, 그 행동의 방향, 성질, 힘에 영향
을 주는 한 사건이나 행동간의 관계. 과학적 연구에서 인과율은 관찰, 예측, 재현 가능해야
하므로 증명하기 어렵다.

empiric (경험적의, 경험주의가) 경험적의. 과학적인 방법이나 이론이 아닌 경험과 관찰에만
의존하는.

☞ 만찬회장에서 베란다로 나온 에드와 캐서린은 하늘에 박힌 무수한
별을 보고 얘기를 주고 받는다.
Ed : My grandma used to tell me that stars are where
a woodpecker pecked holes in the sky.
(할머니께서는 제게 별은 딱따구리가 하늘에 구멍을 뚫어
놓은 곳이라고 말하곤 하셨어요.)
SHE WASN'T THAT SCIENTIFICALLY MINDED.
(그 분은 그다지 과학적인 사고를 못하셨지요.)
Catherine: When my father looked at the sky he, he didn't really
see stars.
(저희 아버지께서 하늘을 보셨을 때는, 사실 별은 보이지
않으셨어요.)
He said he saw great seas of fire and unclear furnaces.
He said it was like a very violent ballet, only it was
too small for anyone to see.
(그 분은 불과 핵 용광로로 이루어진 거대한 바다가 보인
다고 하셨어요. 아버지께서는 그게 마치 아주 격렬한 발레
같다고 하셨는데, 단지 누군가의 눈에 보이기에는 너무 작
다고 하셨죠.)
What is keeping James?
(제임스는 왜 이렇게 안 오지?)
Ed : I don't know.
(모르겠어요.)
Catherine: He discovered a comet.
(그 분은 혜성을 발견하셨어요.)
Ed : Jamse discovered a....
(제임스가 발견을 했다고...)
Catherine: No. My father. THEY NAMED IT AFTER HIM.
(아니예요. 제 아버지께서요. 그것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
서 붙였어요.)

기술적 환경(technological environment)
새로운 또는 개선된 제품 및 서비스를 가져오는 과학적 지식, 조사, 발명 및
혁신.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과학적 개념,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Interactive Approach on the 1st graders' Scientific Concept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자연관찰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cience Activities through the Nature Observation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Nature-Friendly Attitudes

ICT를 활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ve Instruction on the Middle School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and Achievement based on ICT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Scientific creativity and artistic creativity: case studies on creativity as growth of knowledge and validation of scientific creativity

영재아들의 과학적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설계 특성 분석 : 가설에 대한 배경지식과 확신정도에 따른 차이
An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esigns suggested by the gifted and talented for testing scientific hypertheses

유아 미술과 과학 통합활동이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and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탐구상황과 대상에 따른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 제안과정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of Generaty of Scientific Inquiry Problems According to the Inquiry Contexts and Subjects

과제변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의 유형과 수준 분석
Elementary students's scientific argumentation type and argumentation level analysis by subject variable

과학 관련 독서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ience-Related Reading Activities On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발견학습모형을 기반으로 한 ICT활용 중학교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science class of middle school applying ICT based on the discovery study model

생물학 가설생성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이 생성한 과학 지식과 과학적 감성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emotion and their science knowledge formed in Generation of biological hypotheses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quiry - oriented experimen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Small-Scale Chemistry를 활용한 실험 수업이 고등학교 화학Ⅰ교과에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experimental learning using the small scale chemistry on student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high school chemistry I

(2000/08/24/Thursday 자료출처 : dailyenglish.com)
Federal investigators denouncing those who continue to put forward
conspiracy theories in the midair explosion of TWA flight 800
back in 1996. Missile theory is still being talked up.
Investigators say it was an explosion in the plane's center fuel
tank that triggered the disaster. Cause still unknown.
Joseph Kaily is with the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 The search for the probable ignition location was pushed to
the limits of current technology. And accounting of the scientific
uncertainties was meticulously maintained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al, computational, and analytic processes. In the end,
the uncertainties were too great to permit the identification of
a probable location of ignition. 230 people died in that tragedy.
연방 조사단은1996년 TWA 800 편의 공중 폭발과 관련해 계속해서
음모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비난했습니다. 미사일 격추설에 대한
주장이 여전히 강합니다. 조사단에 따르면 사고는 비행기의 중앙
연료 탱크 폭발이었으며 그로 인해 참사가 일어난 것이라고 합니다.
발화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미 교통 안전국의 조셉
케일리입니다.
---발화장소로 추정되는 곳에 대한 조사는 현재 과학의 한계까지
왔습니다. 이번 실험, 평가, 그리고 분석하는 전과정 내내
과학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계산이 꼼꼼하게 이루어졌습니다.
결국, 불확실한 것이 너무 크기 때문에 유력한 발화장소를 입증하기 어려웠습니다.
당시의 사고로 230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scientific management: 과학적 경리법, 과학적 관리법

Americans have been rope-a-doped into believing that global warming is going to destroy our planet.
미국인들은 지구온난화가 지구를 파괴할 것이라는 믿음을 끈질기게 강요당해 왔다.
* rope-a-dope:로프에 등을 기댄 채 상대의 펀치를 피하는 권투 기술
Scientists who have been skeptical about manmade global warming have been called traitors or handmaidens of Big Oil. The Washington Post asserted on May 28, 2006, that there were only "a handful of skeptics" of manmade climate fears. Bill Blakemore on Aug. 30, 2006, said, "After extensive searches, ABC News has found no such [scientific] debate on global warming." On July 23, 2007, CNN's Miles O'Brien said, "The scientific debate is over." Earlier he said that scientific skeptics of manmade catastrophic global warming "are bought and paid for by the fossil fuel industry, usually."
지구온난화를 인간이 가져왔다는 주장에 회의적인 과학자들은 반역자 혹은 석유 대기업의 시녀란 소리를 들었다. 워싱턴 포스트는 2006년 5월 28일자에서 인간이 초래한 기후에 대한 공포에 대해 "회의적인 사람은 극소수"라고 주장했다. 빌 블레이크모어는 2006년 8월30일 "집중적인 조사 후 ABC뉴스는 지구온난화에 관한 그런 (과학적) 논쟁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말했다. CNN의 마일스 오브라이언은 2007년 7월23일 "과학적 토론은 끝났다"고 말했다. 그는 인위적인 지구온난화 재앙에 과학적으로 회의를 품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화석연료 산업에 매수되었거나 돈을 받고 있다"고 그보다 앞서 말했다.


검색결과는 102 건이고 총 541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