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aorta 〔ei´o:rt∂〕 대동맥
The surprising discovery of a dinosaur's stony heart has revived this question: Were the giant reptiles cold-blooded, like snakes and crocodiles, or warm-blooded, like kangaroos and kittens―and us?
공룡의 화석 심장을 발굴함으로써 그 거대한 파충류는 뱀이나 악어 같은 냉혈동물인가 아니면 캥거루나 고양이 또는 우리 인간과 같은 온혈동물이었나 하는 의문이 되살아났다.
The newfound heart belongs to a 66-million-year-old herbivorous dinosaur.
새로 발견된 화석 심장은 약 6,600만년전의 초식성 공룡의 것으로 밝혀졌다.
Researchers announced that CT scans of the dinosaurs chest cavity showed the outlines of two ventricles and a single aorta, which revealed that dinosaurs are warm-blooded.
학자들은 그 공룡의 심장에 난 구멍을 살펴볼 때 두 개의 심실과 하나의 대동맥의 윤곽을 볼 수 있으며 그것은 공룡이 온혈동물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발표했다.
The heart acts as a central pump to send blood throughout the body.
Great arteries that leave the heart carry the blood to smaller and
smaller arteries throughout the body. The smallest vessels are just wide
enough for a single cell to pass through. Blood returns to the heart
through the veins. It flows from smaller veins to larger veins until it
enters the heart. Oxygen and foods pass from blood to the cells of the
body. And waste products, such as carbon dioxide, pass from the body
cells to blood vessels.
심장은 피를 전 몸에 보내주는 중앙 펌프역할을 한다. 심장을 나온 대동맥은
피를 점점 적어지는 동맥으로 운반한다. 가장 적은 동맥이라 할 지라도 한
세로가 지나갈 정도의 넓이는 충분히 된다. 피는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혈액은 조그만 정맥에서 더 큰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산소와 음식은 혈액을 통해 온몸에 공급된다. 이산화 탄소 같은
노폐물은 몸 세포에서 혈관으로 통해 나간다.
Dr. Burke.
닥터 버크
- Hello! - Okay.
- 이봐! - 알았어요
Dr. Burke, um, I know you're busy, but our John Doe needs an aortic repair.
닥터 버크. 바쁘신 건 아는데 신원미상 환자가 대동맥 수술이 필요하거든요
The guy from this morning?
Isn't he legally dead?
오늘 아침에 온 그 환자? 법적으론 죽은 거 아니야?
Well, yeah -- he's kinda still around.
뭐, 그렇긴 한데 아직 의식이 있는 거 같기도 하거든요
Coronary artery bypass grafts
관상동맥 우회술
and aortic aneurysms.
그리고 흉외 대동맥류도
God, I used to love aortic aneurysms.
정말이지 흉외 대동맥류를 좋아했는데
(meredith) surgeons are control freaks.
외과의는 절제의 달인들이다
With a scalpel in your hand...
손에 메스를 쥐면..
oh, crap. You feel unstoppable.
- 젠장.. - 제지 불가능이 된다
There's no fear, there's no pain.
공포도 없고 고통도 없다
You're 10 feet tall and bulletproof.
10피트 위에 서 있을 뿐 아니라 방탄의 상태가 된다
I removed a small clot from the pericardium.
심낭막에서 작은 혈액응괴를 제거했어요
No obvious cardiac injuries. Any change in the vitals?
- 심장손상은 아니에요 - 바이탈에 변화라도 있어?
B.P.'S still too low to register on the monitor. We need to cross-clamp the aorta.
- 혈압은 모니터에 약하게 나타나요 - 대동맥을 교차겸자해야 돼
Stick your hand in and bluntly dissect down until you feel two tube-like structures.
구조물같은 두 개의 관을 느낄 때까지 손을 넣고 조심히 찾아봐
The esophagus will be more medial and anterior.
식도는 중간이나 앞 쪽에 있을 거야
Um, I feel one tube that's easily collapsible,
쉽게 구부러지는 관 하나가 느껴져요
and the other's, uh, more muscular and spongy.
다른 하나는 좀 더 단단하고 다공성이에요
I can feel the spine just underneath it. Yes! You're touching the aorta.
- 아래 쪽으로 척추가 느껴져요 - 그거야! 대동맥을 만진 거야
Who?
누굴요?
Which would you move?
누굴 뺄 건데요?
With her aortic injuries, her chances of survival
여자의 대동맥 상처를 보면 우리가 무엇을 하든 간에
are extremely slim no matter what we do.
생존 가능성이 아주 작아
But if we move her, we have a real shot at saving him.
하지만 그 여자를 빼내면 남자를 살릴 좋은 기회가 있지
Well, I could argue since her injuries are more extensive, we should move him.
여자의 상처가 더 심하니까 남자를 빼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Give her the best shot we can.
그 여자에게 주력하는 거지
We need that ambulance.
- 구급차가 와야 하는데
Fast. He could be dissecting.
- 빨리, 절개를 해야 해
We need to get him to the O.R.--
- 수술실로 데려가야지..
Before his aorta ruptures.
- 대동맥이 파열되기 전에요
What are you talking about? Who are you people?
무슨 얘길 하는 거죠? 당신들 누구예요?
We have a dissecting thoracic aorta.
We need a C.T. Cleared and an O.R. Ready.
박리성 흉부 대동맥이 있고 C.T와 수술실이 바로 준비됐음 해요
Start another large bore I.V.,
Continue high-flow 02,
transport sirens and lights to seattle grace.
큰 구경 혈관 내 주사와 고유량의 산소를 유지한 채 시애틀 그레이스로 이송하세요
Well, it took three hours, but the surgery went perfectly.
3시간이 걸렸지만 수술은 완벽하게 됐어요
All we have to do now is wait and see how he's doing when he wakes up.
깨어나면 어떨지 지켜보는 것만 남았습니다
Why did this happen?
왜 이런 일이 생긴 거죠?
Almost every patient with marfan's has an aorta that fails.
거의 모든 말환 환자들은 대동맥 이상을 갖고 있어요
It's just a matter of when.
단지 시간 문제죠
일산병원은 심장, 뇌, 대동맥, 정맥 등의 응급혈관질환 환자의 골든타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치료효과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Ilsan Hospital plans to effectively secure golden time for patients with emergency vascular diseases such as disease in heart, brain, aorta, and vein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근육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동맥이 넓어지면서 심장박동수가 증가한다.
The heart rate increases as the arteries from the muscle aorta widen.
래피드 신속 치료 시스템은 다른 의료기관에서 대동맥 관련 응급환자를 의뢰하면 대기하고 있던 대동맥혈관센터의 모든 팀원이 환자 자료를 공유해 이송되자마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다.
The Rapid Treatment System is that when another medical institution requests a aortic-related emergency patient, all team members of the aortic vessel center who were waiting share patient data and start treatment as soon as the patient is transferred.
연구팀은 환자 대동맥의 최대 혈압과 최소 혈압의 차이인 맥압을 이용해 대동맥 경직도를 판단했다.
The research team determined the stiffness of the aorta by using pulse pressur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blood pressure in the aorta of patients.
또 기립성저혈압을 가진 환자의 대동맥의 맥압 수치는 평균 78.4㎜Hg로, 기립성 저혈압이 없는 그룹의 평균 맥압 수치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ulse pressure level of the aorta of patients with orthostatic hypotension averaged 78.4㎜Hg, higher than the average pulse pressure level of groups without orthostatic hypotension.
대전성모병원이 최고난도 심혈관시술로 꼽히는 '경피적 대동맥 판막 삽입술(TAVI)' 승인기관에 지정됐다.
Daejeon St. Mary's Hospital has been designated as an approval agency for TAVI,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difficult cardiovascular procedure.
특히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환자의 3분의 1 정도가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심장 초음파검사 등으로 우연히 발견된다.
In particular, severe aortic valvular stenosis is discovered by accident by echocardiography because about one-third of patients do not have symptoms.
좌심실 첨부와 대동맥 사이에 이식돼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피를 퍼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It is transplanted between the left ventricle attachment and the aorta and works by pumping blood from the left ventricle to the aorta.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대동맥 및 말초센터 등에서 전문의가 24시간 상주하며 병원 도착 30분 안에 치료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운영한다.
A one-stop service that specialists are available 24 hours a day at the cardiovascular center, cerebrovascular center, aortic and peripheral centers, etc. and provide treatment within 30 minutes of arrival at the hospital is operated.
주로 복부 대동맥이나 다리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는 경우가 많다.
Usually, the abdominal aorta or the artery going to the leg is often narrowed.
세종병원 흉부외과 유재석 과장이 3D 내시경을 이용해 대동맥판막치환술을 시행하고 있다.
Yoo Jae-Seok, head of the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at Sejong Hospital, is performing aortic valve replacement using a 3D endoscope.
지금까지 심장 초음파검사 등으로 무증상 대동맥판막협착증을 발견해도 별다른 치료법이 없이 주의 깊게 관찰하다가 증상이 생기면 대동맥판막을 교체하는 수술이 권장됐다.
Until now, even if an asymptomatic aortic valvular stenosis was detected by echocardiography, surgery to replace the aortic valve has been recommended if symptoms develop after careful observation without any treatment.
대부분의 사람은 별 문제가 없지만 간혹 거꾸로 된 Y자 사이를 지나는 콩팥 정맥이 대동맥과 장동맥에 눌려 혈액이 잘 흐르지 못할 수 있다.
Most people don't have much of a problem, but sometimes the renal veins passing between the inverted Y-shapes are pressed by the aorta and the intestinal arteries so blood couldn't flow well.
abdominal aorta (복부 대동맥)
bicuspid aortic valve (이첨 대동맥판막, 이첨 대동맥판)
chemoreceptor (화학수용기, 화학수용체)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수
용기. 예를 들어 후각수용기와 미각수용기, 경동맥동 또는 대동맥체와 같은 감각기. 이것은
혈류 중의 화학적 변화, 특히 산소성분의 감소에 예민하게 감수하여 반사적으로 호흡수와
혈압에 변동을 일으킨다.
coarctation of aorta (대동맥 축착, 대동맥 협착증, 대동맥 축착증)
Fallot's tetralogy (팔로 사징증) 폐동맥판구 협착, 심우측 비대 및 대동맥의 우방 전위가
병존하는 증후군.
mild subaortic stenosis (경도의 대동맥하부 협착증)
mild supravalvar aortic stenosis (경도의 대동맥상부 협착증)
tertialry syphilis (3기 매독) 1. 심맥관계 병변이 80~85%로 가장 흔하며, 주로 대동맥을 침
범하며 중막에 염증 및 상흔을 일으키고 대동맥 벽이 약해지면 동맥류가 발생한다. 대동맥
판막의 둘레가 넓어지면서 판막의 기능 장애가 일어나며 관상동맥 입구가 좁아지기도 한다.
중추신경계 병변은 5~10%에서 발생되고, 신경 매독이라고 한다. 뇌막혈관, 매독, 척수 및 전
신 마비 중 한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나머지는 간이나 기타 부위에 고무종이 나타난다. 매
독성 고무종은 주로 간, 골, 고환 등 국소적인 비화농성 염증성 파괴를 보이는 특이한 고무
성 괴사이다. 2. 만기의 전신성 매독으로서, 피부, 뼈, 관절, 심장맥관계, 중추 신경계[신경매
독] 등을 포함한 많은 장기를 침습하는 것이 특징이다.
ventricle (실, 심실, 뇌실) 심장의 4강 하반분이 심실이고 혈액을 심장에서 내보내는 좌심실
과 우심실이 있다. 두 심실은 중격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좌심실은 대동맥구에서 대동맥으
로, 우심실은 폐동맥구에서 폐동맥으로 각각 이어진다. 우심실은 좌심실을 감싸듯이 위에서
전면을 걸쳐 위치하고, 좌심실은 후하부에 있다. 심실은 방실구에 위해 심방으로 이어져 있
다. 뇌의 몇 개의 강이나 심장의 하방강 등의 소강.
A52 만기 매독(Late syphilis)
-
A52.0+심혈관 매독(Cardiovascular syphilis)
심혈관 매독(Cardiovascular syphilis) NOS(I98.0*)
매독성 대동맥류(Syphilitic aneurysm of aorta)(I79.0*)
매독성 대동맥부전(Syphilitic aortic incompetence)(I39.1*)
매독성 대동맥염(Syphilitic aortitis)(I79.1*)
매독성 대뇌동맥염(Syphilitic cerebral arteritis)(I68.1*)
매독성 심내막염(Syphilitic endocarditis) NOS(I39.8*)
매독성 심근염(Syphilitic myocarditis)(I41.0*)
매독성 심낭염(Syphilitic pericarditis)(I32.0*)
매독성 폐동맥역류(Syphilitic pulmonary regurgitation)(I39.3*)
A52.1 증후성 신경 매독(Symptomatic neurosyphilis)
샤르코 관절병증(Charcot's arthropath)y+(M14.6*)
만기 매독성 청신경염(Late syphilitic acoustic neuritis)+(H94.0*)
만기 매독성 뇌염(Late syphilitic encephalitis)+(G05.0*)
만기 매독성 수막염(Late syphilitic meningitis)+(G01*)
만기 매독성 시신경위축(Late syphilitic optic atrophy)+(H48.0*)
만기 매독성 다발성신경병증(Late syphilitic polyneuropathy)+(G63.0*)
만기 매독성 구후시신경염(Late syphilitic retrobulbar neuritis)+(H48.1)*
매독성 파킨슨증(Syphilitic parkinsonism)+(G22*)
척수로(Tabes dorsalis)
A52.2 무증후성 신경매독(Asymptomatic neurosyphilis)
A52.3 상세불명의 신경매독(Neurosyphilis, unspecified)
중추신경계의 고무종(매독성)(Gumma (syphilis) of central nervous system) NOS
중추신경계의 매독(만기)(Syphilis (late) of central nervous system) NOS
중추신경계의 매독종(Syphiloma of central nervous system) NOS
A52.7 기타 증후성 만기 매독(Other symptomatic late syphilis)
매독성 사구체 질환(Glomerular disease in syphilis+)(N08.0*)
A52.0-3 에서 분류된 것을 제외한 모든 부위의 고무종(매독성)(Gumma (syphilitic))
A52.0-3 에서 분류된 것을 제외한 모든 부위의 만기 또는 제3기 매독(Late or tertiary syphilis)
만기 매독성 맥락망막염(Late syphilitic chorioretinitis)+(H32.0*)
만기 매독성 백반(Late syphilitic leukoderma)+(L99.8*)
만기 매독성 복막염(Late syphilitic peritonitis)+(K67.2*)
만기 매독성 상공막염(Late syphilitic episcleritis)+(H19.0*)
만기 매독성 안병증(Late syphilitic oculopathy) NEC+(H58.8*)
만기 매독성 여성골반 염증성 질환(Late syphilitic female pelvic inflammatory disease+74.2*)
만기 매독성 점액낭염(Late syphilitic bursitis+)(M73.1*)
뼈의 매독[상세불명의 명기](Syphilis [stage unspecified] of bone)+(M90.2*)
간의 매독[상세불명의 명기](Syphilis [stage unspecified] of liver)+(K77.0*)
폐의 매독[상세불명의 명기](Syphilis [stage unspecified] of lung)+(J99.8*)
근육의 매독[상세불명의 명기](Syphilis [stage unspecified] of muscle)+(M63.0*)
활막의 매독[상세불명의 명기](Syphilis [stage unspecified] of synovium)+(M68.0*)
A52.8 잠복성 만기 매독(Late syphilis, latent)
임상증상이 없고 혈청반응은 양성이나 척수액의 매독 반응은 음성으로 감염후 2년 이후의 (후
천) 매독.
A52.9 상세불명의 만기 매독(Late syphilis, unspecified)
I08 다발성 판막 질환(Multiple valve diseases)
-
포함:류마티스성으로 명시된 것 또는 명시되지 않는 것(whether specified as rheumatic or not)
제외:상세불명 판막의 심내막염(endocarditis, valve unspecified)(I38)
상세불명 판막의 류마티스성 심내막 질환(rheumatic diseases of endocardium, valve
unspecified)(I09.1)
I08.0 승모판과 대동맥판의 장애(Disorders of both mitral and aortic valves)
류마티스성으로 명시된 것 또는 명시되지 않은 승모판과 대동맥판 양쪽을 침범 (Involvement of
both mitral and aortic valves whether specified as rheumatic or not)
I08.1 승모판과 삼첨판의 장애(Disorders of both mitral and tricuspid valves)
I08.2 대동맥판과 삼첨판의 장애(Disorders of both aortic and tricuspid valves)
I08.3 승모판, 대동맥판 및 삼첨판의 합병성 장애(Combined disorders of mitral, aortic and tricuspid valves)
I08.8 기타 다발성 판막 질환(Other multiple valve diseases)
I08.9 상세불명의 다발성 판막 질환(Multiple valve disease, unspecified)
I34 비류마티스성 승모판 장애(Nonrheumatic mitral valve disorders)
-
제외 : 승모(판) 질환(mitral(valve)disease) (I05.9)
승모(판) 부전(mitral(valve)failure)(I05.8)
승모(판) 협착증(mitral(valve)stenosis)(I05.0)
상세불명의 원인이나 대동맥판막의 질환의 언급이 있을 때(when of unspecified cause but
with mention of diseases of aortic valve)(I08.0)
상세불명의 원인이나 승모판 협착증 또는 폐쇄의 언급이 있을 때(when of unspecified cause
but with mention of mitral stenosis or obstruction)(I05.0)
류마티스성으로 명시되었을 때(when specified as rheumatic)(I05.-)
I34.0 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valve) insufficiency)
류마티성을 제외한 원인이 명시되거나 NOS 승모(판)의 기능부전(NOS or of specified cause, except
rheumatic mitral(valve)incompetence)
류마티성을 제외한 원인이 명시되거나 NOS 승모(판)의 역류(NOS or of specified cause, except
rheumatic mitral(valve)regurgitation)
I34.1 승모(판) 탈출(Mitral (valve) prolapse))
근긴장 승모판 증후군(Floppy mitral valve syndrome)
제외 : 마르팡 증후군(Marfan's syndrome)(Q87.4)
I34.2 비류마티스성 승모(판) 협착증(Nonrheumatic mitral(valve) stenosis))
I34.8 기타 비류마티스성 승모판 장애(Other nonrheumatic mitral valve disorders)
I34.9 상세불명의 비류마티스성 승모판 장애(Nonrheumatic mitral valve disorder, unspecified)
I35 비류마티스성 대동맥판 장애(Nonrheumatic aortic valve disorders)
-
제외:비후성 대동맥하 협착(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I42.1)
상세불명의 원인이나 승모판 질환이라는 언급이 있을 때(when of unspecified cause but
with mention of diseases of mitral valve) (I08.0)
류마티성으로 명기되었을 때(when specified as rheumatic)(I06.-)
I35.0 대동맥(판) 협착증(Aortic(valve) stenosis)
I35.1 대동맥(판) 폐쇄부전증(Aortic(valve) insufficiency)
류마티스성을 제외한 원인이 명시되거나 달리 명시되지 않은 대동맥(판)의 기능부전(Aortic(valve)
incompetence NOS or of specified cause, except rheumatic)
류마티스성을 제외한 원인이 명시되거나 달리 명시되지 않은 대동맥(판)의 역류(Aortic(valve)
regurgitation NOS or of specified cause, except rheumatic)
I35.2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대동맥(판) 협착증 (Aortic(valve) stenosis with insufficiency)
I35.8 기타 대동맥판 장애(Other aortic valve disorders)
I35.9 상세불명의 대동맥판 장애(Aortic valve disorder, unspecified)
I39*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심내막염 및 심장 판막 장애(Endocarditis and heart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포함 : 칸디다 감염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candidal infection)(B37.6+)
임질구균성 감염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gonococcal infection)(A54.8
+)
리브만-삭스병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Libman-Sacks
disease)(M32.1+)
수막구균성 감염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meningococcal
infection)(A39.5+)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rheumatoid
arthritis)(M05.3+)
매독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syphilis)(A52.0+)
결핵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tuberculosis)(A18.8+)
장티푸스(에서의 심내막의 침습(endocardial involvement in typhoid fever)(A01.0+)
I39.0*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승모판 장애(Mitral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39.1*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대동맥판 장애(Aortic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39.2*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삼첨판 장애(Tricuspid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39.3*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폐동맥판 장애(Pulmonary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39.4*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다발성 판막 장애(Multiple valv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39.8*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상세불명 판막의 심내막염(Endocarditis, valve unspecified,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I42 심근병증(Cardiomyopathy)
-
제외 : 임신과 합병된 심근병증(cardiomyopathy complicating pregnancy)(O99.4)
산욕과 합병된 심근병증(cardiomyopathy complicating in the puerperium)(O90.3)
허혈성 심근병증(ischaemic cardiomyopathy) (I25.5)
I42.0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I42.1 폐쇄성 비대성 심근병증(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비대성 대동맥하 협착증(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I42.2 기타 비대성 심근병증(Othe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비폐쇄성 비대성 심근병증(Non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42.3 심내막심근 (호산구성) 질환(Endomyocardial(eosinophilic) disease)
심내막심근 (열대성) 섬유증(Endomyocardial(tropical) fibrosis)
뢰플러 심내막염(Loffler's endocarditis)
I42.4 심내막 섬유탄성증(Endocardial fibroelastosis)
선천성 심근병증(Congenital cardiomyopathy)
I42.5 기타 제한성 심근병증(Other restrictive cardiomyopathy)
I42.6 알콜성 심근병증(Alcoholic cardiomyopathy)
I42.7 약물 및 기타 외부작인에 의한 심근병증(Cardiomyopathy due to drugs and other external agents)
원인감별을 원한다면 추가로 외인분류번호(XX장)를 사용할 것.
I42.8 기타 심근병증(Other cardiomyopathies)
I42.9 상세불명의 심근병증(Cardiomyopathy, unspecified)
심근병증(Cardiomyopathy) (원발성, primary) (속발성, secondary) NOS
I71 대동맥류 및 박리(Aortic aneurysm and dissection)
-
I71.0 대동맥의 박리[모든 부분](Dissection of aorta[any part])
대동맥의 박리성 동맥류(파열된)[모든 부분](Dissecting aneurysm of aorta (ruptured)[any part])
I71.1 파열된 흉부 대동맥류(Thoracic aortic aneurysm, ruptured)
I71.2 파열의 기재가 없는 흉부 대동맥류(Thoracic aortic aneurysm, without mention of rupture)
I71.3 파열된 복부 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 ruptured)
I71.4 파열의 기재가 없는 복부 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 without mention of rupture)
I71.5 파열된 흉복부 대동맥류(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ruptured)
I71.6 파열의 기재가 없는 흉복부 대동맥류(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without mention of
rupture)
I71.8 파열된 상세불명 부위의 대동맥류(Aortic aneurysm of unspecified site, ruptured)
대동맥 파열(Rupture of aorta) NOS
I71.9 파열의 기재가 없는 상세불명 부위의 대동맥류(Aortic aneurysm of unspecified site, without mention
of rupture)
대동맥의 동맥류(Aneurysm(of aorta)
대동맥의 확장(Dilatation of aorta)
대동맥의 유리질 괴사(Hyaline necrosis of aorta)
I72 기타 동맥류(Other aneurysm)
-
포함 : 동맥류(aneurysm) (우회성, cirsoid) (가성, false)(파열된, ruptured)
제외 : 대동맥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aorta)(I71.-)
동정맥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arteriovenous) NOS(Q27.3)
후천성 동정맥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acquired arteriovenous)(I77.0)
대뇌(비파열된)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cerebral (nonruptured))(I67.1)
파열된 대뇌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ruptured cerebral)(I60.-)
관상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coronary)(I25.4)
심장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heart)(I25.3)
폐동맥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pulmonary artery)(I28.1)
망막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retinal)(H35.0)
정맥류에서의 동맥류(aneurysm of varicose)(I77.0)
I72.0 경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carotid artery)
I72.1 상지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artery of upper extremity)
I72.2 신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renal artery)
I72.3 장골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iliac artery)
I72.4 하지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artery of lower extremity)
I72.8 기타 명시된 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other specified arteries)
I72.9 상세불명 부위의 동맥류(Aneurysm of unspecified site)
I74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Arterial embolism and thrombosis)
-
포함 : 색전성 경색(embolic infarction))
혈전성 경색(thrombotic infarction)
색전성 폐색(embolic occlusion)
혈전성 폐색(thrombotic occlusion)
제외 : 뇌저 색전증 및 혈전증(basilar embolism and thrombosis)(I63.0-I63.2, I65.1)
경 색전증 및 혈전증(carotid embolism and thrombosis)(I63.0-I63.2, I65.2)
대뇌 색전증 및 혈전증(cerebral embolism and thrombosis)(I63.3-I63.5, I66.9)
유산, 자궁외 임신 또는 기태 임신과 합병된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complicating abortion or ectopic or molar pregnancy)(O00-O07, O08.2)
임신, 출산 및 산욕과 합병된 색전증 및 혈전증( embolism and thrombosis complicat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O88.-)
관상 색전증 및 혈전증(coronary embolism and thrombosis)(I21-I25)
장간막 색전증 및 혈전증(mesenteric embolism and thrombosis)(K55.0)
뇌전 색전증 및 혈전증(precerebral embolism and thrombosis)(I63.0-I63.2, I65.9)
폐 색전증 및 혈전증(pulmonary embolism and thrombosis)(I26.-)
신 색전증 및 혈전증(renal embolism and thrombosis)(N28.0)
망막 색전증 및 혈전증(retinal embolism and thrombosis)(H34.-)
추골 색전증 및 혈전증(vertebral embolism and thrombosis)(I63.0-I63.2, I65.0)
I74.0 복부대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abdominal aorta)
대동맥 분기 증후군(Aortic bifurcation syndrome)
레리시 증후군(Leriche's syndrome)
I74.1 대동맥의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other and
unspecified parts of aorta)
I74.2 상지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arteries of upper extremities)
I74.3 하지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arteries of lower extremities)
I74.4 상세불명의 사지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arteries of extremities,
unspecified)
말초동맥 색전증(Peripheral arterial embolism)
I74.5 장골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iliac artery)
I74.8 기타 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other arteries)
I74.9 상세불명 동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Embolism and thrombosis of unspecified artery)
I77 동맥 및 소동맥의 기타 장애(Other disorders of arteries and arterioles)
-
제외:교원(혈관)병(collagen(vascular) diseases)(M30-M36)
과민성 맥관염(hypersensitivity angiitis) (M31.0)
폐동맥(pumonary artery)(I28.-)
I77.0 후천성 동정맥루(瘻)(Arteriovenous fistula, acquired)
동정맥류(Aneurysmal varix)
후천성 동정맥류(Arteriovenous aneurysm, acquired)
제외:동정맥류(arteriovenous aneurysm) NOS(Q27.3)
대뇌(cerebral)(I67.5)
관상(coronary)(I25.4)
외상성(traumatic)-신체부위에 의한 혈관손상 참조
I77.1 동맥의 협착(Stricture of artery)
I77.2 동맥의 파열(Rupture of artery)
동맥의 미란(Erosion of artery)
동맥의 누공(Fistula of artery)
동맥의 궤양(Ulcer of artery)
제외:동맥의 외상성 파열(traumatic rupture of artery)-신체부위에 의한 혈관손상 참조
I77.3 동맥섬유근 이형성증(Arterial fibromuscular dysplasia)
I77.4 복강동맥 압박 증후군(Coeliac artery compression syndrome)
I77.5 동맥의 괴사(Necrosis of artery)
I77.6 상세불명의 동맥염(Arteritis, unspecified)
대동맥염(Aortitis) NOS
동맥내막염(Endarteritis) NOS
제외 : 대동맥궁[타카야수]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aortic arch[Takayasu] arteritis or endarteritis)
(M31.4)
대뇌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cerebral arteritis or endarteritis)) NEC(I67.7)
관상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coronary arteritis or endarteritis))(I25.8)
변형성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deformans arteritis or endarteritis))(I70.-)
거대세포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giant cell arteritis or endarteritis))(M31.5-M31.6)
폐색성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obliterans arteritis or endarteritis))(I70.-)
노인성 동맥염 또는 동맥내막염(senile arteritis or endarteritis))(I70.-)
I77.8 기타 명시된 동맥 및 소동맥의 장애(Other specified disorders of arteries and arterioles)
I77.9 상세불명의 동맥 및 소동맥의 장애(Disorder of arteries and arterioles, unspecified)
I79*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동맥, 소동맥 및 모세혈관의 질환(Disorders of arteries, arterioles and capillari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I79.0*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대동맥류(Aneurysm of aorta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매독성 대동맥류(Syphilitic aneurysm of aorta)(A52.0+)
I79.1*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대동맥염(Aortiti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매독성 대동맥염(Syphilitic aortitis)(A52.0+)
I79.2*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말초맥관병증(Peripheral angiopathy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당뇨병성 말초맥관병증(Diabetic peripheral angiopahty)(4단위 항목.5에 해당되는 E10-E14+)
I79.8*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동맥, 소동맥 및 모세혈관의 기타 장애(Other disorders of arteries, arterioles
and capillari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Q20 심방실 및 연결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s of cardiac chambers and connections)
-
제외:내장역위증을 동반한 우심증(dextrocardia with situs inversus) (Q89.3)
내장역위증을 동반한 경상심방 배치(mirror-image atrial arrangement with situs
inversus)(Q89.3)
Q20.0 총동맥줄기(Common arterial trunk)
지속성 동맥줄기(Persistent truncus arteriosus)
Q20.1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타우시그-빙 증후군(Taussig-Bing syndrome)
Q20.2 양대혈관 좌심실 기시증(Double outlet left ventricle)
Q20.3 불일치성 심실동맥 연결(Discordant ventriculoarterial connection)
대동맥의 우측 편재(Dextrotransposition of aorta)
대혈관의 (완전) 위치이상(Transposition of great vessels (complete))
Q20.4 양방단실 유입증(Double inlet ventricle)
공통 심실(Common ventricle)
이방삼강심(Cor triloculare biatriatum)
단일 심실(Single ventricle)
Q20.5 불일치성 심방심실 연결(Discordant atrioventricular connection)
수정혈관 위치이상(Corrected transposition)
좌측 편재(Laevotransposition)
심실 내반(Ventricular inversion)
Q20.6 심방 부속기의 이성(Isomerism of atrial appendages)
무비증 또는 다비증을 동반한 심방 부속기의 이성(Isomerism of atrial appendages with asplenia
or polysplenia)
Q20.8 기타 심방실 및 연결의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cardiac chambers and
connections)
Q20.9 상세불명의 심방실 및 연결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cardiac chambers and
connections, unspecified)
Q21 심장 중격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s of cardiac septa)
-
제외 : 후천성 심장 중격 결손증(acquired cardiac septal defect)(I51.0)
Q21.0 심실 중격 결손증(Ventricular septal defect)
Q21.1 심방 중격 결손증(Atrial septal defect)
관상 정맥동 결손증(Coronary sinus defect)
개방 또는 지속성 난원공(Patent or persistent foramen ovale)
개방 또는 지속성 제 2공 결손증(Ⅱ형)(Patent or persistent ostium secundum defect(tyep Ⅱ)
정맥동 결손증(Sinus venosus defect)
Q21.2 심방심실 중격 결손증(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총 심방심실 관(Common atrioventricular canal)
심내막융기 결손증(Endocardial cushion defect)
제 1공 심방 중격 결손증(Ⅰ형)(Ostium primum atrial septal defect(type Ⅰ))
Q21.3 팔로의 사징후(Tetralogy of Fallot)
폐동맥 협착 또는 폐쇄, 대동맥의 우측편재 및 cardiac septum, unspecified)
(심장) 중격 결손증(Septal(heart) defect) NOS
Q23 대동맥 및 승모판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s of aortic and mitral valves)
-
Q23.0 대동맥판막의 선천성 협착(Congenital stenosis of aortic valve)
선천성 대동맥 폐쇄(Congenital aortic atresia)
선천성 대동맥 협착(Congenital aortic stenosis)
제외:선천성 대동맥판막하의 협착(congenital subaortic stenosis)(Q24.4)
발육부전성 좌심 증후군의 경우(that in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Q23.4)
Q23.1 대동맥판막의 선천성 기능부전(Congenital insufficiency of aortic valve)
이첨판성 대동맥판막(Bicuspid aortic valve)
선천성 대동맥판막 기능부전(Congenital aortic insufficiency)
Q23.2 선천성 승모판 협착(Congenital mitral stenosis)
선천성 승모판 폐쇄(Congenital mitral atresia)
Q23.3 선천성 승모판 기능부전(Congenital mitral insufficiency)
Q23.4 발육부전성 좌심 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상행 대동맥의 저형성증 및 좌심실 발육 결손을 동반하는(승모판 협착 또는 폐쇄를 동반하는) 대동
맥 입구 또는 판막의 폐쇄 또는 현저한 발육부전증(Atresia, or marked hypoplasia of aortic orifice
or valve, with hypoplasia of ascending aorta and defective development of left ventricle (with
mitral valve stenosis or atresia))
Q23.8 기타 대동맥 및 승모판의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aortic and mitral valves)
Q23.9 상세불명의 대동맥 및 승모판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aortic and mitral valves,
unspecified)
Q24 심장의 기타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heart)
-
제외:심내막 섬유탄성증(endocardial fibroelastosis)(I42.4)
Q24.0 우심증(Dextrocardia)
제외:내장역위증을 동반한 우심증(dextrocardia with situs inversus)(Q89.3)
(무비증 또는 다비증을 동반한) 심방 부속기계의 이성(isomerism of atrial appendages (with
asplenia or polysplenia))(Q20.6)
내장역위증을 동반한 경상 심방 배치(mirror-image atrial arrangement with situs
inversus)(Q89.3)
Q24.1 좌심증(Laevocardia)
Q24.2 삼심방증(Cor triatriatum)
Q24.3 폐동맥 누두부 협착증(Pulmonary infundibular stenosis)
Q24.4 선천성 대동맥하 협착증(Congenital subaortic stenosis)
Q24.5 관상동맥 혈관의 기형(Malformation of coronary vessels)
선천성 관상동맥(동맥) 동맥류(Congenital coronary(artery) aneurysm)
Q24.6 선천성 심차단(Congenital heart block)
Q24.8 기타 명시된 심장의 선천성 기형(Other specified congenital malformations of heart)
좌심실의 선천성 게실(Congenital diverticulum of left ventricle)
심근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myocardium)
심막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pericardium)
심장의 위치이상(Malposition of heart)
울병(Uhl's disease)
Q24.9 상세불명의 심장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heart, unspecified)
심장의 선천성 이상(Congenital anomaly of heart) NOS
심장의 선천성 질환(Congenital disease of heart) NOS
Q25 대동맥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s of great arteries)
-
Q25.0 동맥관개방(Patent ductus arteriosus)
보탈로 관개방(Patent ductus Bottalo)
지속성 동맥관(Persistent ductus arteriosus)
Q25.1 대동맥 축착(Coarctation of aorta)
대동맥의 축착(Coarctation of aorta) (관전, preductal) (관후, postductal)
Q25.2 대동맥 폐쇄(Atresia of aorta)
Q25.3 대동맥 협착(Stenosis of aorta)
판상부 대동맥 협착(Supravalvular aortic stenosis)
제외:선천성 대동맥 협착(congenital aortic stenosis)(Q23.0)
Q25.4 대동맥의 기타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aorta)
대동맥의 결여(Absence of aorta)
대동맥의 형성부전(Aplasia of aorta)
대동맥의 선천성 동맥류(Congenital aneurysm of aorta)
대동맥의 선천성 확장(Congenital dilatation of aorta)
(파열된)발살바동의 동맥류(Aneurysm of sinus of Valsalva (ruptured))
이중 대동맥궁[대동맥의 혈관륜](Double aortic arch[vascular ring of aorta])
대동맥의 저형성증(Hypoplasia of aorta)
지속성 동맥궁 회전(Persistent convolutions of aortic arch)
지속성 우대동맥궁(Persistent right aortic arch)
제외:저형성증성 좌심 증후군의 대동맥 저형성증(hypoplasia of aorta in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Q23.4)
Q25.5 폐동맥 폐쇄(Atresia of pulmonary artery)
Q25.6 폐동맥 협착(Stenosis of pulmonary artery)
Q25.7 폐동맥의 기타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pulmonary artery)
이상 폐동맥(Aberrant pulmonary artery)
폐동맥의 무발생증(Agenesis of pulmonary artery)
폐동맥의 동맥류(Aneurysm of pulmonary artery)
폐동맥의 이상(Anomaly of pulmonary artery)
폐동맥의 저형성증(Hypoplasia of pulmonary artery)
폐 동정맥 동맥류(Pulmonary arteriovenous aneurysm)
Q25.8 기타 대동맥의 선천성 기형(Other congenital malformations of great arteries)
Q25.9 상세불명의 대동맥의 선천성 기형(Congenital malformation of great arteries, unspecified)
S25 흉곽의 혈관의 손상(Injury of blood vessels of thorax)
-
S25.0 흉부 대동맥의 손상(Injury of thoracic aorta)
대동맥(Aorta) NOS
S25.1 쇄골하 동맥 또는 무명동맥의 손상(Injury of innominate or subclavian artery)
S25.2 상대정맥의 손상(Injury of superior vena cava)
대정맥(Vena cava) NOS
S25.3 쇄골하 정맥 또는 무명정맥의 손상(Injury of innominate or subclavian vein)
S25.4 폐혈관의 손상(Injury of pulmonary blood vessels)
S25.5 늑간혈관의 손상(Injury of intercostal blood vessels)
S25.7 흉곽의 다발성 혈관 손상(Injury of multiple blood vessels of thorax)
S25.8 기타 흉곽의 혈관 손상(Injury of other blood vessels of thorax)
기정맥(奇靜脈)(Azygos vein)
유동맥(乳動脈) 또는 유정맥(Mammary artery or vein)
S25.9 상세불명의 흉곽의 혈관 손상(Injury of unspecified blood vessel of thorax)
S35 복부, 하배부 및 골반 부위에서의 혈관의 손상(Injury of blood vessels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
S35.0 복부 대동맥의 손상(Injury of abdominal aorta)
제외:대동맥(aorta) NOS(S25.0)
S35.1 하대정맥의 손상(Injury of inferior vena cava)
간정맥(Hepatic vein)
제외 : 대정맥(vena cava) NOS(S25.2)
S35.2 복강 또는 장간막 동맥의 손상(Injury of coeliac or mesenteric artery)
위 동맥(Gastric artery)
위십이지장 동맥(Gastroduodenal artery)
간동맥(Hepatic artery)
장간막동맥(Mesenteric artery) (하, inferior) (상, superior)
비장동맥(Splenic artery)
S35.3 문맥 및 비장정맥의 손상(Injury of portal or splenic vein)
장간막정맥(Mesenteric artery) (하, inferior) (상, superior)
S35.4 신장혈관의 손상(Injury of renal blood vessels)
신동맥 또는 정맥(Renal artery or vein)
S35.5 장골혈관의 손상(Injury of iliac blood vessels)
하복동맥 또는 정맥(Hypogastric artery or vein)
장골동맥 또는 정맥(Iliac artery or vein)
자궁동맥 또는 정맥(Uterine artery or vein)
S35.7 복부, 하배부 및 골반 부위에서의 다발성 혈관 손상(Injury of multiple blood vessels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S35.8 기타 복부, 하배부 및 골반 부위에서의 혈관의 손상(Injury of other blood vessels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난소동맥 또는 정맥(Ovarian artery or vein)
S35.9 상세불명의 복부, 하배부 및 골반 부위에서의 혈관 손상(Injury of unspecified blood vessels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T82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의 합병증(Complications of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
제외:기관 및 조직의 이식 부전 및 거부(failure and rejection of transplanted organs and
tissues)(T86.-)
T82.0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heart valve prosthesis)
분해(기계적)(Breakdown (mechanical))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전위(Displacement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누출(Leakage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위치이상(Malposition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폐쇄(기계적)(Obstruction(mechanical)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천공(Perforation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돌출(Protrusion due to heart valve prosthesis)
T82.1 심장 전자장치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cardiac electronic device)
전극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electrodes)
심박조율기 (전지)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pulse generator
(battery))
T82.2 관상동맥 회로 및 판막 이식편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coronary artery bypass
and valve grafts)
관상동맥 회로 및 판막 이식편에 의한 T82.0 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coronary artery bypass and valve grafts)
T82.3 기타 혈관이식편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other vascular grafts)
대동맥(분기) 이식편(대치)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aortic(bifurcation)graft(replacement))
동맥 (회로) 이식편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arterial
graft(bypass))(경, carotid)(대퇴, femoral)
T82.4 혈관성 투석도자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vascular dialysis catheter)
혈관성 투석도자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vascular dialysis catheter)
제외 : 복강내 투석도자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intra-peritoneal dialysis
catheter)(T85.6)
T82.5 기타 심혈관 장치 및 삽입기구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other cardiac and
vascular devices and implants)
외과적으로 형성된 동정맥 누공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surgically created arteriovenous fistula)
외과적으로 형성된 동정맥 단락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surgically created arteriovenous shunt)
인공심장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artificial heart)
풍선(반사박동)장치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ballon
(counterpulsation)device)
주입 도자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infusion catheter)
삿갓 장치에 의한 T82.0에 나열된 병태(conditions listed in T82.0 due to umbrella device)
제외:경막상 및 경막하 침출도자의 기계적 합병증(mechanical complication of epidural
and subdural infusion catheter)(T85.6)
T82.6 심장판막 인공 삽입물에 의한 감염 및 염증반응(Infection and inflammatory reaction due to cardiac
valve prosthesis)
T82.7 심혈관 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감염 및 염증반응(Infection and inflammatory reaction due
to other cardiac and vascular devices, implants and grafts)
T82.8 기타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의 합병증(Other complications of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합병증(Complication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NEC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색전증(Embolism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섬유화(Fibrosis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출혈(Haemorrhage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동통(Pain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협착(Stenosis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에 의한 혈전증(Thrombosis due to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T82.9 심혈관 보형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의 상세불명의 합병증(Unspecified complication of cardiac and
vascular prosthetic devices, implants and grafts)
bloodstream
-n.
1 (인체의) 혈류(량).
2 (혈류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3 (비유) 주류, 대동맥.
검색결과는 52 건이고 총 652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