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grew up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우리는 같이 자랐고 같은 학교를 다녔다.
We grew up together, we went to same school together.

I was born and raised here. ( 저는 이곳 토박이입니다. )
= I've lived my entire life here.
= I was born and grew up here.

Her little feet she had drawn close up to her,
but she grew colder and colder, and to go home
she did not venture, for she had not sold any
matches and could not bring a farthing of money:
from her father she would certainly get blows,
and at home it was cold too, for above her
she had only the roof, through which the wind
whistled, even though the largest cracks
were stopped up with straw and rags.
그녀의 작은 발을 몸 가까이 끌어 당겼지만,
점점 더 추워졌습니다. 그렇지만 집에 갈 수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녀는 성냥을 하나도 못 팔았기 때문에
돈을 조금도 집에 가져갈 수가 없었고, 돈을 못 가져
가면 그녀의 아버지는 틀림 없이 그녀를 때릴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집에 가도 추운 건 마찬가지였습니다.
갈라진 틈 중 가장 큰 부분을 지푸라기와 넝마로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쌩하는 바람소리가 지붕을
관통해서 들어왔습니다.

The Korean economy is based on exports. Last year, the nation's
exports grew a hefty 24.1 percent on a volume basis and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of 9 percent. But shipments were up only 14.1 percent
in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compared to the 21.1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In July, Korea's exports dropped 3.6 percent from the
previous month, the first net decline in three and a half years.
한국의 경제는 수출주도형이다. 작년도, 한국의 수출증가는 총량기준으로
무려 24.1%나 되어 9%의 경제성장에 기여했던 것이다. 그러나 금년도 2/4
분기의 수출량 증가는, 작년도의 21.1%에 비해, 겨우 14.1%에 그치고 있다.
7월의 한국의 수출은 6월보다 3.6%줄어 3년 6개월만에 첫 순수 감소를 기
록하였다.
hefty : 무거운, 중량있는, 억센

grow up 성인이 되다.
Of children grew up according to early indications, we shoukd have
nothing but geniuses. - Goethe
만약 어린이들이 초기의 징후대로 성장한다면, 이 세상엔 천재만 있게
될 것이다.

Since I grew up in the countryside, I played war with my friends on the mountain side, and went fishing in the river.
전 시골에서 자랐기 때문에 산에서 친구들과 전쟁놀이도 하고, 강에서 고기도 잡고 그랬어요.

Because financially it ain't as rewarding.
금전적으로 그다지 큰 보상이 있는 건 아니잖습니까.
Yes, but you know something, that I, you know, thought my whole life about the, you know, career and money
맞아요. 하지만 아시다시피 저는 지금까지 제 인생에서 경력과 돈만 생각하며 살아왔습니다.
and, you know, you come over here as a foreigner. And I grew up with no money whatsoever.
외국인으로 이곳 미국에 왔잖아요. 그리고 전 정말 돈 한 푼 없이 자랐습니다.
* come over 해외에서 오다, 이주해 오다
* whatsoever ((부정문, 의문문에서)) 조금의 ...도 (없는), ...은 전혀 (없는): whatever의 강조형

Some young children were talking about what they wanted to be when they grew up.
Jimmy said he wanted to be a *philanthropist.
When the other kids asked him to explain, he replied, “I heard they're the guys who have all the money.”
Jimmy was only partially right.
According to the dictionary, a philanthropist is “one who loves and seeks to benefit mankind.”
Simply having a lot of money, then, doesn't make one a philanthropist.
In fact, a poor person who “loves and seeks to benefit mankind” out of his limited resources
is more of a philanthropist than a person of great wealth who is a miser.
몇몇 어린 아이들이 그들이 자라면 무엇이 되고 싶은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지미는 자선가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다른 아이들이 그에게 설명해 달라고 요구하자, 그는 “그들이 모든 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들었어.”라고 응답했다.
지미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옳다.
사전에 의하면, 자선가는 “인류를 사랑하고 인류를 이롭게 하려는 사람”이다.
그러면, 단순히 많은 돈을 갖고 있는 것만으로는 자선가가 될 수 없다.
사실상, 제한된 자원으로 “인류를 사랑하고 인류를 이롭게 하려는” 가난한 사람이 구두쇠인 왕부자 보다도 더 자선가이다.

As many factories started to be built and cities grew, there were more and more jobs in city areas.
As more people moved to cities for the jobs, they needed places to live in.
Soon houses gave way to apartment buildings.
Also, to provide goods and services for so many people, new businesses grew up in the cities.
These new businesses also needed space, and unused land was hard to find.
When most of the land was taken up, builders started to build in the only direction left―up! This is why skyscrapers were first built in the cities.
많은 공장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심지에는 점점 더 많은 직업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찾아서 도시로 이동하면서 그들이 살 장소가 필요했다.
곧 일반 주택들은 아파트 건물에다 자리를 내어 주게 되었다.
또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위한 상품과 용역을 공급하기 위해 도시에서 새로운 사업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사업 역시 공간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용되지 않은 땅을 찾기가 어려웠다.
대부분의 땅이 점유되었을 때 건축가들은 남아있는 유일한 방향, 다시 말해 위쪽으로 건물을 짓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초고층 빌딩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지어졌다.

Sociologists say that people prefer the food that they grew up with.
As a cultural group, we learn to like what is available to us.
This is why in Africa some people eat termites, in Asia some people eat dog meat, and in Europe some people eat blood sausages.
Sometimes we need to change our eating habits.
If we move or travel to a new place with a different culture, our favorite meat, fruit, and vegetables may not be available to us.
As a result, we have to eat fo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ood we are used to.
Slowly, this strange food becomes familiar to us and our tastes change.
사회학자들은 사람이 자랄 때 먹었던 음식을 더 좋아한다고 말을 한다.
문화적인 집단으로서 우리는, 우리에게 통용되는 것을 좋아하도록 배운다.
이것이 Africa의 일부 사람들이 흰개미를 먹고 아시아의 일부 사람들이 개고기를 들고, 유럽의 어떤 사람들은 핏물 배인 소시지를 먹는 이유가 된다.
가끔 우리는, 우리의 식생활 습관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만일 우리가 다른 문화를 가진 낯선 장소로 가거나 여행을 한다면 우리가 좋아하는 고기, 과일이나 야채들이 입맛에 맞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 결과 우리에게 익숙한 음식과는 다른 음식을 먹어야한다.
서서히 이런 생소한 음식은 우리에게 친숙해지고, 우리의 입맛도 변한다.

The countryside where I grew up is very isolated.
You can drive along the seaside road for miles without seeing another car.
In all directions you look at, it looks like a breathtaking vista.
The view is especially dramatic, with giant dark cliffs rising out of the water.
Such a remote environment is a perfect place to relax.
It brings out the artist in me.
I often take my paints and a canvas and try to capture the exciting feel of the shoreline.
내가 자란 시골은 매우 외딴 곳이다.
당신은 차 한 대도 보지 못한 채 수 마일을 해변 도로를 따라 운전할 수 있다.
당신은 어디를 보든 숨 막힐 정도의 절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곳의 경치는 물위로 솟아오른 커다란 검은 절벽과 어울려 더욱 환상적이다.
이렇게 외떨어진 곳은 휴식을 취하기에 완벽한 곳이다.
이는 내 안에 자리하고 있는 예술가 기질을 불러일으킨다.
난 종종 물감과 캔버스를 꺼내 해안가 절경이 주는 흥분된 감정을 그림에 담아내려 노력하곤 한다.

Irish McCauley, at five-foot-two, was the smallest and most picked-on
boot in our platoon at Parris Island. The day he was caught with his hands
in the pockets of his fatigues, the drill instructor made him fill the
pockets with dirt so he'd be sure to keep his hands out. Next morning at
reveille when the platoon snapped to attention, the usually stern DI
suddenly doubled up with laughter. Glancing down the ranks, I saw McCauley
with daffodils protruding from every pocket. "They grew overnight, sir," he
solemnly assured the DI.
아이리쉬 머콜리는, 키가 5피트 2인치로, 패리스 섬에 있는 우리
소대에서 키가 가장 작았고 가장 놀림을 많이 받는 해군(또는 해병대)
신병이었다. 그가 작업복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있다가 들킨 날, 훈련관은
그의 호주머니에 흙을 채워 넣어서 손을 밖에 내어 놓게 만들었다. 다음 날
아침 조회시 소대원이 재깍 차렷 자세를 취했을 때에 여느때 무서운 표정을
짓던 훈련관이 갑자기 허리를 굽히고 웃었다.
대열을 따라 흘낏 내려다 보았더니, 머콜리의 호주머니마다 수선화가
삐죽삐죽 튀어나와 있는 것을 나는 보았다. "밤새 자랐읍니다."라고 그가
엄숙하게 훈련관에게 말했다.

A central belief of the middle class in which I grew up was that the son
of a ditichdigger could become a college president, whereas the careless son of
the top family in town could easily make mistakes from which he would not
recover. These twin beliefs were not legendary;each year they were illustrated
by specific lives in our community, and are still being illustrated.
내가 자라난 중산층의 중심적인 믿음은 도랑을 파는 노동자의 아들은
대학 총장이 될 수 있는 반면에, 시내에서 제일 가는 가정의 부주의한 아들은
쉽게 실수를 저질러서 회복하지 못하리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두가지 믿음은
전설적인 것이 아니었다. 해마다 그러한 믿음은 우리 지역 사회의 특정한
사람들의 삶이 보여주었고, 지금도 보여주고 있다.

At 22, he sold a piece to The New Yorker, and he and the magazine grew up together.
22세에 그는 한 편을 뉴요커지에 팔았는데, 그와 이 잡지가 함께 성장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는 부모님 없이 성장했다.
To be frank with you, he grew up without his parents.

You'd never have passed up a wild night back at A&M.
예전에 A&M 다닐 때는 광란의 밤을 놓친 적이 없으면서…
Well I guess I grew up.
이제 철이 좀 들었지
Too bad. Check that out.
안됐군, 저기 좀 봐
Enjoy.
잘해 보라고
You must really love your job, man.
이봐, 자네 일을 정말 좋아하는 것 같아

What makes you say that?
왜 그렇게 생각하시죠?
Well, think about it --
한번 생각해 보세요
he grew up in the late 1800s. There were no appliances back then.
1800년대에 살던 사람이었는데 그땐 가전기구가 하나도 없었죠
His mother had to do everything by hand,
그 사람 어머니는 손으로 모든걸 다 해야했고
just backbreaking work from sunup to sundown,
동이 터서 해가 질때까지 뼈가 으스러지게 일해야 했죠
not to mention the countless other sacrifices she probably had to make to take care of her family.
물론 가족을 돌보기 위해 분명히 더 많은 희생이 있었다는건 말할 필요도 없고요

We all grew up with "Little Red Riding Hood,"
우리 모두 '빨간 모자'를 읽고 자랐어요
and we survived it, scary stuff and all,
무서운 거든 뭐든 다 견뎌냈고요
so I say to hell with political correctness.
그러니 그런 쓸데없는 생각들은 접고
Let our kids experience this classic like it was meant to be enjoyed.
아이들이 원래 쓰여진 그대로 즐기고 경험할 수 있게 해줬으면 해요
Let's kill the damn wolf, and just put on the best show we can.
나쁜 늑대는 죽여버리고 최고로 멋진 쇼를 보여주자고요
Thank you, Lynette, for that impassioned speech,
감동적인 연설 고마워요, 르넷
but I believe that ship has sailed.
하지만 일이 이미 진행된 것 같군요
No, it hasn't. We still have time to change the ending back.
아뇨, 아직 결말을 다시 바꿀 시간은 있어요
And, you know, Maisy, it is just a fairy tale.
이건 그냥 동화잖아요
I don't think it will upset the children.
애들한테 안좋을거라는 생각은 안들어요
Well, I think you're wrong.
안 그럴 것 같은데요

I wouldn't have called you, but I can't get ahold of the translator.
너까지 부르고 싶진 않았는데 통역해 줄 사람이 없잖아
Can you just ask her what's wrong?
뭐가 문젠지 그냥 물어봐주면 안 될까?
No.
안 돼
Why not?
왜?
Because I grew up in Beverly Hills.
왜냐하면 난 베버리힐스에서 자랐고
The only Chinese I know is from a Mr. Chow's menu.
아는 유일한 중국어는 미스터 초우 메뉴뿐이고
Besides, I'm korean.
그리고 난 한국인이거든

No. You went to Dartmouth.
싫어 넌 다트머스에 다녔어
Your mother is Ellis Grey.
너희 엄마는 엘리스 그레이고
You grew up -- look at this house!
넌.. 이 집 좀 봐!

I grew up in a trailer park. I went to state school.
난 트레일러 촌에서 자라서 주립 학교를 다녔어
I put myself through med school by posing in my underwear.
속옷만 입고 포즈를 취한 덕에 의대에 입학할 수 있었어
You know, I walk into the O.R., and everyone hopes I'm the nurse.
내가 수술실에 들어가면 다들 내가 간호사이길 원해

I grew up in a trailer park.
난 트레일러 파크에서 컸어
I waited tables, which was supposed to put me through college,
대학을 마치려고 식당 서빙도 했고
but my mother was always calling these psychics all the time.
그런데 엄마는 항상 심령술사에게 전화를 하곤 했어
And the bills started piling up, so I had to use my money to pay them.
전화 요금이 쌓이기 시작했고 갚기 위해선 내 돈을 써야 했어
When I turned 18, I left and never went back.
내가 18살이 되었을 땐 집을 나와서 다신 돌아가지 않았지
But this guy has been saying things to me --
그런데 그 환자가 말하는 거야..
things he couldn't possibly know anything about.
그가 알리가 없는 것들을..
So... I just wonder.
그래서.. 그냥 궁금해졌어

I grew up down the street from here. I play in a band. I went to u-dub. I get it.
전 여기서 자라서 밴드 활동을 했고 와이오밍 대학을 나와서 이해해요
But my father doesn't.
하지만 제 아버지는 달라요
He says no, it's no.
아버지가 아니라고 하면 아닌 거예요

Mom?
엄마?
Mommy? Meredith...
- 엄마? - 메러디스
you grew up. I did.
- 다 컸구나 - 그랬죠

- But you see their point, right? - Whose point?
- 하지만 요점은 아시겠죠? - 무슨 요점이요?
The people who build ladders.
사다리를 만든다구요
- How about we get... - I'm sorry, okay?
- 그럼 이러면 어떨까요? - 내가 잘못했어, 알았지?
- I'm sorry. Just dump out of it. - Will, can I jump in?
- 잘못했어, 제발 버리고 가자 - 윌 제가 끼어들어도 될까요?
- She cannot jump in. - Jump on in, Gwen.
- 이년아, 어딜 끼어들어 - 끼어드세요, 그웬
- I think we're creating an environment... - Ugh!
제 생각엔 이제 더이상 자기 마음을
where pageant contestants are afraid to speak their minds
진실되게 털어놓을 수 없는 미인대회가 된 것 같아요
when it comes to important questions and whatnot,
특히 중요한 문제를 다룰때는 말이죠
and that's not the America I grew up in.
이건 절대 제가 자라온 미국이 아니에요

You're 20 years old. It is the America you grew up in.
이제 20 살이죠? 그게 당신이 자란 미국이 맞아요
- Not in Oklahoma. - Especially in Oklahoma.
- 오클라호마는 아닌 것 같아요 - 그 촌동네는 더 똑같죠
But we're gonna have to leave it there.
하지만 이 문제는 여기까지 하죠
When we come back, Deepwater Horizon
광고후에는 맥시코 만 깊숙히 침몰한
sinks to the bottom of the Gulf of Mexico.
딥워터 호라이즌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I envy it.
침몰하는게 부럽다
...with the White House now getting offers of assistance
현재 백악관은 각국 정부로 부터
from other countries to help plug the gushing well.
유정을 막을 수 있도록 원조를 하겠다는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Are you prepared to talk about your Republicanism?
네 공화당 성향에 대해서 이야기 할 준비 되어있어?
You say that like I've got polio.
꼭 내가 무슨 병에 걸린 사람같이 이야기하는데,
Are you prepared to talk about having polio?
그 병에 대해서 이야기 할 준비가 되어있냐구!
I grew up in a town outside of town outside Lincoln, Nebraska.
난 네브라스카, 링컨에서 멀리 떨어진 깡촌에서 자랐어
My hometown was a road.
길은 하나밖에 없었지

- You should have this. - Give me a second.
- 이걸 해야만해 - 잠깐만 기다려봐
Try: for much of my life my father was a Teamster truck driver.
이건 어때? "제 평생 아버지는 트럭운전사였습니다"
My brothers and sisters were in unions.
"제 형제누이도 조합원이었고"
- I was in a union. - We grew up in a blue-collar town.
- '저도 조합원이었습니다' - '우린 노동자계층에서 자랐습니다'
We liv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우린 지금 미국에서 살고 있습니다'

When you were little, what did you wanna do when you grew up?
어렸을때 커서 무슨 일을 하고 싶었죠?
Exactly what I'm doing.
바로 지금 제가 하는 일이요
I wanted to do exactly what you're doing, too.
저도 당신이 지금하는 바로 그 일이 꿈이었어요
There's no such thing as a little girl
나중에 어른이 되면 가십컬럼니스트가 되는걸
who dreams of being a gossip columnist one day.
꿈꾸는 여자아이는 없어요

A record drop in imports helped South Korea reap a 1.6
billion dollar trade surplus in January, boosting hopes for
an early end to its financial crisis, trade officials said
Monday. Customs-cleared exports were up 1.4 percent
year-on-year at 9.16 billion dollars in January, the trade
ministry said. Imports fell a record 39.6 percent
year-on-year to 7.56 billion dollars.
한국의 수입이 사상 초유의 수준으로 줄어듦으로 인해 1월
무역 수지가 16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로 인해 금융 위기를 조속한
시일 내에 끝낼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더해 주고 있다고 정부의
한 관리가 (지난) 월요일에 발표했다. 정부(통상산업부)의 발표에
따르면 통관 기준으로 수출은 1월 한달 동안 전년 대비 1.4%
증가한 총 91억 6천만 달러에 달했다. 수입은 동기간에 비해
39.6% 줄어든 75억 6천만 달러에 그쳤다.
-
무역 수지나 경제 동향을 보도하는 기사는 대체적으로 몇 가지
수순을 밟는데 첫째는 현황, 두번 째는 과거 실적 대비, 그리고
뒤이어 그 원인 및 전망의 순서로 이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상기
예문은 그 중 첫번째에 해당하는 현황 설명의 부분으로서 이런
경우의 진행은 반드시 전년 대비 즉, 지난해의 동기간(the same
period)의 실적과 비교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따로 떼어서 외워 두어야 할 부분이
있는데 이는 바로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record drop in imports 기록적인 수입감소를 기록하다
record는 우리말의 "기록적인"에 해당하는 표현입니다.
reap a OOO dollar trade surplus
customs-cleared exports 통관기준의 수출액
수출입 금액은 통관을 했느냐 안 했느냐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이러한 기준을 명시해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customs-cleared exports (또는 imports)는 보도에서 반드시
접하게 되는 것이므로 주의 깊게 보아 두시기 바랍니다.
were up OOO% 또는 ~ were down OOO%
상기 예문에는 year-on-year와 같이 쓰였지만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라고도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imports fell OOO% to OOO dollars또는 import grew a OOO% to
OOO dollars
이러한 것들은 거의 기계적으로 단어만 몇 가지 바뀌어 나올 뿐
그 틀에서 거의 변함 없이 그대로 등장하는 것들입니다. 한번만
신경 써서 외워 두시면 되는 것들입니다.
이와 같이 현황 설명에 추가로 붙게 되는 것은 다음에서와 같이
이것이 첫번째냐 두번째냐와 같은 기록 경신에 대한 사항입니다.
예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예문) It was the third consecutive month that South Korea
posted a trade surplus, following a 200 million dollar
surplus in November and a 2.3 billion dollar surplus in
December.
(해석) 이는 한국이 지난 해 11월 2억 달러 및 12월에 23억
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적으로 기록한 무역수지 흑자이다 (또는
직역을 하자면 흑자를 기록한지 3개월 째 되는 달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the third consecutive month 로서
우리말에서 몇 개월 연속 또는 몇 년 연속 등과 같이 말을 할 때
해당되는 표현입니다. 주의를 드리고 싶은 부분은 첫째 정관사
the가 쓰이고 있다는 점과 두번째 서수인 second, third, fourth
등이 나오고 있으며 뒤에 나오는 month 또는 year는 반드시
단수(singular)라는 점입니다. 이와 같이 따로 주의를 주지
않으면 나중에 영작을 할 때 분명히 a third consecutive month
또는 the third consecutive months와 같은 실수를 범하게
됩니다. 반드시 정관사+서수+단수의 형태로 등장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기록에 대한 설명이 끝나게 되면 나타나는 것은 바로
왜?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은 기록이 나오게 되었는가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향후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컨대 Exports
were led by semiconductors, petrochemicals, machinery and
automobiles (수출을 주도한 것은 반도체, 유화, 기계 및 자동차
부문이었다) 정도의 문장이 뒤를 잇게 됩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각 산업의 부문 즉, 반도체, 유화, 기계, 자동차와
더불어 조선(ship building) 철강 (steel), 섬유 (textile)과
같은 것들을 다시 한번 점검해 두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향후에 대한 전망입니다. 한 가지
예문을 들어 보면
(예문) Exports will grow steadily in the coming months,
despite underlying concern over Asia's currency problems, it
said.
(해석) 수출은 아시아의 통화 위기에 대한 기본적인 우려에도
불구하고 향후 수 개월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grow steadily, in the coming months를 비롯하여
upturn (하강하다가 상승), downturn (상승하다가 하강),
maintain current growth rate (현재 성장률 유지) 등과 같은
식의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추세 변화에 대한
설명은 몇 차례 말씀 드린 바 있어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다른 표현도 많겠지만 오늘 소개한 부분만이라도 확실하게
알아 두고 계시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부와 한국은행이 팔을 걷어부쳤다.
The government and the Bank of Korea rolled up their sleeves as financial market uncertainties grew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called Wuhan pneumonia.

이에 소상공인들의 불만이 커지자 정부는 27일 보완책을 마련해 다음달 1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As complaints from small business owners grew, the government decided to come up with supplementary measures on the 27th and implement them from the 1st of next month.

상대적으로 깨끗한 환경에서 자라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데다 예방접종도 받지 않은 연령대다.
The age group grew up in a relatively clean environment and have no antibodies formed and have not been vaccinated.

과거 부랑인 시설을 운영했던 복지재단들이 훗날 몸집을 키워 정신병원과 정신요양시설을 운영한 사례가 많은데 이들이 영남권에 집중돼 있었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many welfare foundations, which used to operate vagrant facilities in the past, grew up in size and operated mental hospitals and mental care facilities, which were concentrated in the Yeongnam region.

저신장 아동은 통상 1년에 4㎝ 미만 자라지만 '유트로핀'을 지원받은 아동은 연평균 8㎝, 최대 20㎝까지 성장했다고 LG는 설명했다.
LG explained that short stature children usually grow up by less than 4cm a year, but children who received the support of "utrophin" grew up to an average of 8cm and a maximum of 20cm per year.

일취월장 성장한 학원은 곧 인수비용을 다 갚았고,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시설 확장에 음악학원까지 인수하며 사업은 날로 번창했다.
The academy, which grew up by a single stroke, soon paid off all the acquisition costs. And as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d, the business flourished day by day, acquiring music academies and expanding its facilities.

◆ catch ; capture, trap, snare, entrap, ensnare
catch: 움직이고 있는 것, 또는 날고 있거나, 숨어있는 어떤 것을 획득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He caught the pick-pocket.
(그는 소매치기를 붙잡았다.)
I managed to catch the glass before it hit the ground.
(난 유리가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간신히 잡았다.)
capture: 저항과 어려움을 이기고 획득하는 것을 내포합니다.
The literary prize captured the worlds attention.
(그 문학상은 온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Two of the soldiers were killed and the rest were captured.
(군인 2명은 목숨을 잃었고, 나머지는 체포되다.)
trap, snare: 흔히 신체적인 획득을 말할 때 많이 쓰입니다.
She survived in the forest by eating berries and trapping small animals and birds.
(그녀는 산딸기를 먹고, 작은 동물과 새를 덫으로 잡아먹으면서 숲에서 살아남았다.)
Jack left the job after ten years because he was beginning to feel trapped.
(잭은 덫에 걸렸다고 생각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직장을 관두었다.)
We used to snare small birds such as sparrows and robins.
(우리는 참새나 개똥지빠귀 같은 작은 새들을 덫으로 잡곤 했다.)
She grew up in the days when a woman's main aim was to snare a (preferably rich) husband.
(그녀는 여자의 주요 목표가 (가능하면 돈이 많은)남편을 잡아채는 것이었던 시대에 자랐다.)
entrap, ensnare: 비유적인 표현에서 많이 쓰입니다.
I firmly believe my son has been entrapped by this cult.
(내 아들이 이교집단에 걸려든 게 틀림없다고 난 확실히 믿어.)
The story centres around a man who hires a detective to entrap his unfaithful wife.
(바람피는 아내를 잡기 위해 탐정을 고용한 한 남자의 얘기다.)
Spiders ensnare flies and other insects in their webs.
(거미들은 거미줄을 통해서 파리와 다른 곤충들을 잡는다.)
It was a sad fairy story about a prince who was ensnared by a beautiful but evil witch.
(이건 아름답지만 사악한 마녀에 의해 잡힌 왕자에 관한 슬픈 동화다.)

☞ 집으로 돌아온 알랜, 새라와 아이들은 집안이 온통 정글로 변해 버
린 것을 발견한다. 알랜은 이 속으로 들어가 바닥에다가 주만지 판을 펼친다....
Sarah: Shouldn't we play someplace else?
(다른 데서 게임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Alan : No, I grew up in this. It's out there that scares me.
(아니에요, 난 이 안에서 자랐어요. 내가 무서워하는 것은 저
기 밖이예요.)
Sarah: Okay. IT'S MY TURN.
(알았어요. 내 차례에요.)
Judy : Sarah?
(새라?)
Sarah: Hmmm?
(응?)
Judy : If you roll a twelve, you win.
(당신이 만약 12를 던지면, 이기는 거예요.)
Sarah: Okay, ready? Here I go.
(자, 준비 됐어? 굴린다.)
(새라는 주사위를 던지지만 3이 나온다.)
Alan : It's okay.
(괜찮아요.)
Sarah: "Every month at the quarter moon there I'll be a monsoon
in your lagoon."
("매달 초생달이 뜰 때면 당신의 늪에는 몬순이 있을 것이다.")
Monsoon. Well, AT LEAST WE'RE INSIDE.
(몬순이라. 글쎄, 적어도 우린 집안에 있어요.)
Alan : (비꼬듯이) Yeah, right.
(그렇기도 하겠다.)
(갑자기 장대같은 비가 퍼붓는다.)

나는 태구가 형제가 없이 자랐지만 독선적이지 않고 친구와 선생님,
그리고 부모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밝고, 조화로운 성격을 지녔다는
사실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태구의 그러한 미덕이
좋은 선생님, 급우, 그리고 교육환경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할 수 있길
바랍니다.
I am always pleased that although Tae-gu grew up as a single child,
he is not dogmatic, keeping good terms with his friends and teachers
as well as parents, not to mention his bright and harmonious character.
I firmly hope that such virtues of his will be able to shine out even
more with the help of good teachers, classmates, and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검색결과는 39 건이고 총 461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