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has become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He has become a successful businessman. - 그는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어요.

The city has become more crowded over the years. - 그 도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붐비게 되었어요.

become of; (=happen to) ~되다
Do you know what has become of him?

lose one's head; (=become very excited) 흥분하다, 이성을 잃다
He has lost his head over her.

settle down; (=fix one's home somewhere permanently, become tranquil) 정착하다, (흥분이) 가라앉다.
The cowboys settled down in the West.
The excitement has settled down.

나도 이제 한 물 갔어.
I'm a goner!
I've become a has-been now.

그녀는 행복해졌다.
She has become happy.

become of (=happen to) : ∼이 (어떻게) 되다
What has become of him? (그는 어떻게 되었는가?)

come to pass (=happen, come about) : 일어나다
I don't know how the accident came to pass.
(나는 그 사고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모른다.)
come true (=really happen, become fact) : 실현되다
Everything he predicted has come true.
(그가 예언했던 모든 것이 실현되었다.)

sit for (=take an exam for) : 시험을 치르다
He has become eligible to sit for the examination. (그는 시험을 치를 자격이 되었다.)

Mr.Ik-soo Chun has retired from the board of directoes to
become the president of Micro Computer Company, one of our
affiliates.
전익수 전임사장은 이사회를 사퇴하셔서 저희 계열회사인
Micro Computer회사에 사장으로 취임하셨습니다.

It has become very hard to get raw materials, and we have no alternative but to decline your order.
당사는 원료의 구입이 현재로서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귀사의 주문을 거절할 수 밖에 없습니다.

Mr. Smith has retired from the board of directors to become the president of Jason Co., one of our affiliates.
Smith 사장은 이사회를 사퇴하여 저희 계열 회사인 Jason Co.의 사장으로 취임하셨습니다.

Only recently has it become possible to separate the components of fragrant
substances and to determine their chemical composition.
최근에서야 비로소 향이 나는 물질의 성분을 규명하는 것과 그들의 화학적 구성을
밝혀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The big corporation has become the dominant form of economic organization in
Western industrial society.
큰 주식회사가 서방산업사회에서 주도적형태의 경제 조직이 되었다.

First designated in 1970, Earth Day has become an annual
international event dedicated to raising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such issues with pollution.
1970년 처음으로 제정된 지구의 날은, 공해와 같은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이용되는 연례 국제 이벤트가 되었다.

(2) 그가 이전의 그에서 벗어나서 오늘의 그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온전히 그의 꾸준한 노력 덕분이었다.
1) 벗어나다: get away from; get out of
2) 꾸준한 노력: untiring [or ceaseless; persisting] effort
3) ~의 덕분이다: owe ~ to; owe it to ~ that; It is due to {or through] ~ that …
→ 「오늘의 ~」는 「이전의 (옛날의) ~」와 같은 종류의 표현이며 평소에 관심을 기울여서 주의하면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 오늘의 나는 오로지 부모님 덕분입니다.
I owe what I am today to my parent. =I owe my parents what I am today.
- 오늘의 그는 옛날의 그와는 다르다. He is not what he was.
- 근면 덕분에 오늘의 톰이 있는 것입니다. Diligence made Tom what he is today.
=Tom has made himself what he is today by diligence.
ANS 1) It is through [or by] his untiring effort that he has succeeded in becoming what he is now, getting out of what he was.
ANS 2) He owes it entirely to his persisting effort that he was able to emerge from what he had been and become what he is today.

(4) 자동 문서 작성기가 완성된 덕분에 한글을 활자로 쉽게 칠 수 있게 되었다.
→ Enable A to부정사는, 특히 무생물 주어와 같이 사용된다. Make it possible for A to 부정사도 마찬가지이다.
→ 「~할 수 있게 되었다」는 have become able to부정사인데 이는 현재형과 같이 사용하여 can now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word-processors has made it possible for us to type Korean easily.
ANS) The development of word-processors has enabled us to type Korean easily.

[比較] sullen, glum, morose, surly, sulky
sullen은 침울하고 생각에 잠겨 말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보통 화가 난 것, 기분이 좋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The sullen prisoners marched along./ In a morning, I am always sullen./ Sullenness doesn't imply silence, but an ill-natured silence.
glum은 기분이 좋지 않다든가 성미가 나빠서가 아니라, 낙담하거나 의기소침에서 오는 침묵을 강조한다.
He is glum about world affairs./ He listened with a glum expression.
morose는 심술궂고(sour), 비사교적으로 glum한 것을 뜻한다.
He took a morose view of the future./ She has tempted him to drink again because he is so morose when he is sober that she cannot endure living with him.(그는 술을 마시지 않으면 뚱해 있어서, 그 여자는 참고 같이 살 수가 없기 때문에 그를 꾀어서 다시 술을 마시게 했다.)
surly는 sullen, morose에 퉁명스러움(brusqueness)과 거칠음(gruffness)이 덧붙은 것을 뜻한다.
Mr. Kim replied instantly, in a surly, nasal tone.
sulky는 어린애처럼 걸핏하면 성내고 불만에 차서 sullen한 것을 뜻한다.
a sulky child/ Dogs sometimes become sulky because they are jealous.

[比較] use, employ, utilize, exploit, work
use는 일반적인 말로 한 사물을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나 도움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use a pencil(telephone)/ Use your eyes, child! It's right there in front of you!
사람에 관해서 쓰이는 경우에는 사람을 수동적인 물건으로 보는 데서 흔히 치욕적인 의미를 갖고 있고 이기적이고 흉한 뜻을 암시한다.
He's only using you./ He used his brother to advance himself.
따라서 I could use your help this afternoon.이라고 하는 것이 I could use you this afternoon.이라고 하는 것보다 재치 있는 표현이지만, 친한 사이에는 후자는 전자를 단축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또 흔히 ‘소비하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use eggs in cooking/ All the butter has been used.
또한 used는 미국 상업 용어에서 secondhand(헌), worn(낡은)에 대한 완곡어로 쓰인다.
used books/ Used cars and trucks were being marketed in this fashion.
employ는 use보다는 약간 품위가 있는 말로, 놀고 있는 것과 쓰이지 않는 것을 말하고, 사람에 관해서 쓰이는 경우에는 일과 급료를 주는 것을 가리킨다.
She had employed her leisure in reading every book that came in her way./ employ a vacant lot as a playground/ He employs five mechanics.
use와 employ는 흔히 바뀌어 쓰일 수 있지만 뜻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연장과 수단의 뜻이 강할 때에는 use가 즐겨 쓰이고, 종사·선택·이용 따위의 뜻이 강할 때에는 employ가 즐겨 쓰인다.
A writer uses words effectively who knows what ones he should employ in a given context.
utilize는 실용적으로 또는 이익이 되게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엄밀한 뜻에서는 더 좋은 것이 없는 경우에 무엇을 실용적으로 또는 유익하게 쓰는 것을 가리킨다.
Well, you'll just have to utilize what's there.
exploit는 ‘이용하다, 착취하다’의 뜻으로 실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He exploited the concession to the last penny.(그는 이권을 모두 이용해 먹었다.)
특히 사람에 대해서 쓰이는 경우에는 언제나 자기 목적을 위해서 이기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y have exploited that child mercilessly.
work는 타동사로 엄밀한 뜻은 ‘(물건에) 노력을 들이다’(expend labor upon)이다.
He worked the soil.(그는 땅을 갈았다.)/ If the clay is worked in the hands it will soon become soft and malleable.
확대된 용법에서는 흔히 욕하는 의미로서의 exploit, utilize에 대한 동의어로 쓰인다.
She's been working him for forty years.

[比較] weak, feeble, frail, fragile, infirm, decrepit, weakly
weak는 가장 폭 넓은 말로 기본적으로는 나이가 극히 어리다든가 병이 있다든가 해서 체력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의지나 정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She has weak ankles./ a character too weak to resist temptation/ a weak government/weak tea
feeble은 weak와 거의 같은 뜻이지만 그 약한 것이 슬프다든가 가엾다든가 하는 암시가 강하게 들어있다. 주로 사람이나 언동에 적용되며, 보통 육체적·정신적·도덕적인 힘이 뚜렷하게 결여되어 있거나 손상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a feeble old man/ He is too feeble to feed himself.
사물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희미한·힘없는·정당하지 않은’의 뜻을 가진다.
a feeble light[sound]
frail은 체력에 관해서는 힘이 없는 것보다도 타고난 체질이 섬세하거나 체구가 허약한 것을 암시한다.
her frail body
형체를 가진 물건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파손되기 쉬움을 나타낸다.
shoot the rapids in a frail canoe
무형물인 경우에는 반대 세력이나 그것을 파괴하려는 것에 대항할 능력이 없는 것을 가리키고, 사람의 의지나 도덕성에 적용될 때는 weak보다 저항력이 더욱 없는 것을 암시한다.
her frail conscience
fragile은 흔히 frail대신 사용되지만, 한층 섬세하고 부서지기 쉬운 것을 암시한다.
Physically fragile, she was spiritually tough.
infirm은 보통 힘, 특히 체력의 상실과 그에 따른 불안정, 불건전을 가리킨다. 사람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병(노령)을, 사람의 성질이나 의도에 관해서는 우유부단함을 가리킨다.
his infirm, old grandfather
decrepit는 사람에게도 쓰이고 물건에도 쓰여 노령으로 또는 오랜 사용으로 낡고 헐어빠진 것을 가리킨다.
decrepit and barely able to walk/ a decrepit sofa
weakly는 장기간의 병적상태, 만성적인 불건강을 가리킨다.
A weakly child may become a strong man.

Movie making has become to be called a declining
industry. (영화 제작은 사양산업이라고 할 수 있게 됐다.)

In what constitutes a rare scene in the Korean community, a
visually-handicapped college student attending class with his
guide dog has become a hot topic of conversation.
외국에선 심심찮게 볼 수 있는 그러나 한국에선 쉽사리 볼 수 없는
화제거리가 있다. 강의실에서 함께 수업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 대학생
과 그 안내견이 화제의 주인공.

Kim's election as the UNYA president has immediately become a
hot political issue as opposition parties raised suspicions about
his motives.
현철씨의 UNYA회장 취임 동기에 대해 야당이 즉각적으로 의문을 제
기하고 나섬으로써 정치쟁점으로 비화되고 있다.

Angrily, he denounces his Mannon father,
화가 나서 그는 자신의 맨논 아버지를 비난한다
who had become an alcoholic and later hanged himself,
그는 알콜중독자가 되었고 나중에 목을 매어 죽었다
and he savagely curses Ezra,
그리고 그는 에즈라를 맹렬히 저주한다
who had refused to help Brant's mother when she was destitute.
그의 어머니가 비참하게 가난해졌을 때 도와주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He has sworn to get his revenge.
그는 복수하기로 겸심했다.

Ezra tells Christine
에즈라는 크리스틴에게 말한다
that in the years of war he has become more aware of human pain and loneliness
전쟁 기간 중에 그는 인간의 고통과 고독에 관해 더 잘 알게 되었고
and wants to rewaken the love he knows he has destroyed.
그가 파괴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랑을 다시 일깨우고 싶다고.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untry has become a major importer
of foreign cigarettes, including those from America and Japan, and the
market share of foreign tobacco has now reached 10 percent.
이러한 환경에서, 한국은,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외국산 담배의 주요 수입
국이 되고 있으며 외국산 담배의 시장 점유율은 이제 10%에 도달하였다.

문제 > " 맥주가 김이 빠진것 같습니다. "
해설 > 거품난 맥주가 김이 빠지면 평평해지죠 ? 그래서
flat 을 이용하여 " The beer tastes flat. " 또는
" The beer has become tasteless. " 또는 dull 을 사
용해서 " The beer has become dull. "
보충 > " 밋밋하다 "라는 말이 있죠 ? 예를들어 얼음탄 콜라
가 시간이 지나 얼음이 모두 녹으면 콜라가 밋밋해지
겠죠 ? 이 표현을 " This Coke taste watered down. "
라고 합니다.

'록'이 관광지가 되었다고요?
The Rock has become a tourist attraction?

flair 재능 (talent)
She has an uncanny flair for discovering new artists before the public has
become aware of their existence.

simmer down
- become calm, quiet
He was very angry after the meeting but he has begun to simmer down a little now.

take on
- begin to handle, commit oneself to
Recently he has begun to take on too many things at work and has become very tired.

In recent years, the Internet has become very important.
최근 들어 인터넷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While people still have pen pals, these days communicating by e-mail has become more popular.
여전히 '펜팔 친구'가 있기는 하지만 요즘에는 이메일을 통해서 글을 주고 받는 것이 더 인기가 있다.

I know it's hard to understand, but in Korea having several fares at once has become a common occurrence.
이해하시기 힘들겠죠. 하지만, 한국에서는 합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You compare that to any other entertainment media form
다른 여타 오락 미디어물과 비교해 볼 때,
and it really categorizes video games now as reaching a point of critical mass of real sort of mainstream awareness
비디오 게임은 실제로 어느 정도 일반 대중의 인식을 얻기 시작한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that's generating them into the business that I think everybody in the video game industry has always thought it could become.
그로 인해, 비디오 게임 산업 종사자들이 언젠가는 그런 날이 오리라고 믿었던 대로, 주류 산업이 되고 있습니다.
* entertainment media form 오락 미디어물
* reach a point of critical mass 임계 질량에 도달하다; 바라는 결과를 낳다 cf. critical mass 임계 질량, (어떤 결과, 영향 등을 초래하는 데) 필요[충분]한 양
* mainstream awareness 일반 대중의 인식 cf. mainstream (사회, 경향 따위의) 주류, 주조, 대세

Environmentalist Wangari Maathai
has become the first African woman and the first Kenyan to collect the Nobel Peace Prize.
환경 운동가인 왕가리 마타이 여사는
아프리카 여성으로, 그리고 케냐인으로는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She was honored in Oslo, Friday.
그녀는 금요일 오슬로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Maathai founded a campaign that planted 25-million trees across Africa.
마타이 여사는 아프리카 전역에 2천5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그린벨트) 운동을 벌였습니다.
She has also led demonstrations against the corrupt sale and destruction of public forests.
그녀는 공유림에 대한 불법 거래와 훼손을 막는 시위를 주도하기도 했습니다.
Maathai says she encouraged tens of thousands of women to plant trees so that they could become more self-sufficient.
여사는 수 많은 여성들이 좀 더 자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나무 심기를 장려했다고 말합니다.
* be recognized for ...에 대해 인정받다

People magazine once named her one of their 50 most beautiful people in the world
<피플> 지는 한 때 그녀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 50인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했는데요.
but 33-year-old Chinese actress Bai Ling takes it all in stride.
올해 33세의 바이 링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습니다.
She says she has no secret regimen:
그녀는 특별한 비결은 없다고 말합니다.
just eat and sleep a lot, and no exercise. Really?
그저 많이 먹고 많이 자고 운동은 하지 않는다고요, 정말인가요?
* take A in one's stride A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A를 수월하게 뛰어넘다
ex. When you become a politician, you soon learn to take criticism in your stride.
(이제 정치가가 되면 곧 비판을 잘 넘길 수 있는 법을 배우게 된다.)
* regimen 식이 요법, 섭생

It's not surprising that after so many years in the Marine Corps, he has found it difficult to become acclimated to civilian life.
그렇게 여러 해 동안 해병대에 복무한 후 그가 민간인 생활에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among all racial and ethnic groups has become imperative in the life of this nation.
모든 인종집단들간의 상호존경과 이해가 이 나라의 생활에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The carnage caused on our streets and highways each year by careless driving has become a major national scandal.
매년 부주의한 운전 때문에 우리 도로와 고속도로에서 일어나는 살육은 중대한 국가적 수치거리가 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doing a service for other persons benefits the giver as much as the receiver.
When you do a good deed for someone else, you become a better person.
The positive effect that your good deed has upon you lasts long after it is forgotten by the recipient.
Good deeds need not be large.
The greatest gifts are gifts of your time and yourself.
A kind word or small courtesy will be remembered and appreciated.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를 하는 것이 받는 사람에게 만큼이나 주는 사람에게도 이익이 된 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신이 다른 누군가를 위해 좋은 일을 할 때 당신은 (그만큼) 더 좋은 사람이 된다.
당신의 선행이 당신에게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그 선행을 받는 사람이 그것을 잊은 훨씬 뒤에도 오랫동안 남는다는 점이다.
선행은 거창할 필요가 없다 .
가장 큰 선물은 당신의 시간을 들이고 당신 자신을 바치는 선물(일) 이다.
친절한 말 한 마디나 작은 예의는 기억될 것이고 감사를 받게 될 것이다.

One of the main purposes of having a hobby is to kill time.
The great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give us more free time to enjoy ourselves.
But people who don't know how to spend their weekends are under stress.
So having a hobby has become a “duty” in modern society.
But problems rise when people seek expensive hobbies to show off their wealth rather than because they have a personal interest in something.
This contributes to wors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ves and have-nots.
취미를 갖는 주요한 목적들 중의 하나는 시간 보내기이다.
과학과 기술의 위대한 발전은 자신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더 많은 자유를 주었다.
그러나 주말을 어떻게 보내야 할 지 모르는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래서 취미를 갖는다는 것은 현대사회에서는 의무가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어떤 일에 개인적인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들의 부를 자랑하기 위해 비싼 취미를 갖게 될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에 관계를 악화를 초래한다.

Jeff Lim, 66, a retailer from La Union province, northwest of Manila, has had trouble falling asleep for more than ten years.
Every night he lies awake in bed for a while, then gets up quietly so as not to disturb his wife and turns on the television.
“After watching TV for a while, I do become tired,” Lim says.
“Then I go back to bed and fall asleep.”
마닐라 북서쪽 La Union지방 출신의 소매 상인인 66세의 Jeff Lim은 10년 이상이나 잠을 자는 데 애를 먹고 있다.
매일 밤 그는 한동안 깨어 있는 상태로 침대에 누워 있다가, 그의 아내가 깨지 않도록 조용히 일어나 TV를 켠다.
“한동안 TV를 보면 피곤해 집니다.
그때 침대로 가서 잡니다.”라고 Lim은 말한다.

Unfortunately, in the past 30 years the number of elephants has decreased markedly.
There are a few reasons for this.
Some have died in accidents.
Sri Lanka has many gem pits, and when baby elephants becom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hey sometimes fall into one of them.
Other elephants are wounded when they step

Computer crime has become a big problem of the world that is likely to continue far into the future.
Computer criminals are often quite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criminals.
According to some experts, these criminals seem to lock themselves away from other people and live in their own fantasy “microworlds.”
They are also generally quite young.
They break into others' computers in order to steal, add, or change information.
For many of them, this is a kind of game, a part of their fantasy life.
However, it is a dangerous “game,” and, as a result, many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are very concerned about computer security.
컴퓨터 범죄는 전 세계의 커다란 문제가 되었고 앞으로도 상당히 계속될 것 같다.
컴퓨터 범죄자들은 종종 다른 종류의 범죄자들과 아주 다르다.
몇몇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러한 범죄자들은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과 격리시키고 그들만의 가상의 “마이크로세계”에 사는 것 같다.
그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아주 젊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컴퓨터에 침입하여 정보를 훔치고, 덧붙이거나 바꾸어 놓는다.
그들 다수에게는, 이것은 일종의 게임이며, 가상 세계의 일부이다.
그러나 그것은 위험한 “게임”이며, 그 결과 많은 개인과 회사들이 컴퓨터 보안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다.

Due to the efficient bus system, commuting in Curitiba has become more convenient.
효율적인 지하철형 버스로 인해, Curitiba 시에서의 통근은 보다 편리하다.

With the global population expected to rise to 9 billion within 50 years, GM technology is giving hope to people around the world.
They think GM crops can offer bigger harvests, better quality, and less need for spraying poisons to kill insects.
Not surprisingly, the use of GM seeds has quickly become popular among farmers.
More than fifty percent of all crops planted in the U.S.
are from GM seeds, including tomatoes, corn, and potatoes.
세계 인구가 50년 내에 90억으로 증가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유전자 조작 기술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희망은 주고 있다.
그들은 유전자 조작 농산물이 더 큰 수확과 더 좋은 품질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해충을 죽이기 위해 살충제 뿌리는 것을 적게 필요로 한다고 생각한다.
당연히, 유전자 조작 씨앗의 사용은 농부들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게 되었다.
미국에 심어진 모든 농작물들의 50% 이상이 토마토와 옥수수와 감자들을 포함해서 유전자 조작 씨앗에서 온 것이다.
* GM(genetically modified): 유전자 조작의

ected, owned, or exhibited in the traditional sense.
Often preferring concepts over materials, modern artists use materials in the broadest sense.
As a result, they have gone beyo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ir works use everything from neon lights and computers to the artists' own bodies, as artistic mediums.
Artists and art works can therefore become identical, as in the case of Body Art.
On the other hand, they can be dista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n artist might phone workers in a museum, instructing them on how to make a work that he has not seen or touched himself.
현대 예술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수집되고 소유되고 전시될 수가 없는 창작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재료보다는 대개 발상을 선호하기 때문에, 현대의 예술가들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재료를 이용한다.
따라서 그들은 자연적인 환경을 넘어선다.
그들의 작품은 네온등과 컴퓨터로부터 예술가 자신의 신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예술적인 매개물로서 이용한다.
따라서 예술가들과 예술 작품은 Body Art의 예에서처럼 동일시될 수 있다.
반면에, 그것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예술가는 미술관에 있는 사람들에게 전화를 해서 자신이 보지도 않고 만져 보지도 않은 작품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지시한다.

In recent years, we've been dreaming very different dreams.
The stuff of these dreams is fantasy―swords and wizards, knights and ladies.
The business of fantasy has become a multibillion-dollar reality, and science fiction is starting to feel old-fashioned.
Our fascination with science fiction reflected a deep faith that technology would lead us to a cyber utopia, with robot servants serving food.
But in fact, a dark, pessimistic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the future is attracting more and more people.
And the evidence is the world's new concern with a nostalgic, magical vision of the past: swords, not lasers; magic, not electricity; villages, not cities; the past, not the future.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는 아주 다른 상상을 해 왔다.
이 상상은 검과 마법사, 기사와 여인들과 같은 판타지에 대한 내용이다.
판타지와 관련된 사업은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가져오는 현실이 되었고, 공상 과학은 구식이라는 느낌을 주기 시작하고 있다.
우리가 공상 과학에 매료된 것은, 로봇이 음식을 대접하는 사이버 유토피아를 기술이 가져올 것이라는 우리의 깊은 믿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기술과 미래에 대한 어둡고 비관적인 태도는 사실상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레이저가 아닌 칼, 전기가 아닌 마술, 도시가 아닌 마을, 미래가 아닌 과거 등 과거에 가졌던 신비로운 환상에 세상 사람들이 새롭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In 1986, the BBC developed the Domesday Project.
It was named after the Domesday Book which had been made to register the lands of the British in the 11th century.
The project's purpose was to store information on life in Britain in the 1980s in the form of digital data.
A lot of video clips, texts, maps, and pictures showing British people’s lives were stored in dozens of laser discs.
But now after 18 years, the data in the laser discs are unreadable.
By contrast, the original Domesday Book is in fine condition.
“The Domesday Project has become an example of the problem of digital data storage,” said a computer expert.
“We're lucky Shakespeare didn't write on an old PC.”
1986년에 BBC방송은 Domesday Project를 시작했다.
그것은 11세기에 영국에 있는 토지를 등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Domesday Book을 따라 이름 지어졌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1980년대의 영국의 생활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이었다.
영국인들의 생활을 보여주는 많은 양의 비디오클립과 저작물과 지도와 그림들이 수십 개의 레이저디스크에 저장되었다.
하지만 18년이 지난 지금, 레이저디스크 속의 데이터는 읽을 수가 없다.
이와는 달리, Domesday Book의 원본은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Domesday Project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의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습니다"라고 어느 컴퓨터 전문가는 말한다.
"셰익스피어가 구형 PC에 글을 쓰지 않아서 정말 다행입니다."

But what I really worry about is that the new language used by the youth on the Internet is becoming even more common than proper Korean.
The strange language has already made its way into the children’s diaries and homework.
When they become grown-ups, two different languages might be used in Korea.
They might think Korean used by older generations is an alien language.
It’s really scary just imagining it.
그러나 내가 정말로 걱정하는 것은 인터넷에서 젊은이들에 의해 사용되는 새로운 언어가 올바른 한국어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라는 것이다.
그 이상한 언어는 이미 아이들의 일기와 숙제에까지 침투했다.
그들이 어른이 되면 두 개의 다른 언어가 한국에서 사용될지도 모른다.
그들은 나이든 세대들이 사용하는 한국어가 하나의 외국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것은 생각만 해도 정말 끔찍한 일이다.

It is difficult to say just how urbanized the world has become.
With urban growth taking place rapidly, it is impossible even for experts to do more than provide estimates.
According to the UN data, almost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is now urban.
These data make the very different definitions of urban used by different countries.
Some countries count any settlement of 1,000 people or more as urban,
while others use 10,000 as the minimum for an urban settlement; and Japan uses 50,000 as the cut-off.
This, by the way, tells us that urbanization is a relative phenomenon.
In countries like Peru, a settlement of 2,000 represents a significant center.
However, a much larger concentration of people is required to count as “urban.”
세계가 얼마만큼 도시화되었는지 말하기는 어렵다.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전문가들조차 기껏해야 예상만 할 뿐이다.
UN의 자료에 의하면,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현재 도시에 살고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하면 도시의 정의가 각 나라마다 다르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주인구가 1,000명 혹은 그 이상이면 도시로 간주한다.
반면에 다른 국가들은 상주인구를 최소 10,000명으로 정하고 있다.
일본은 50,000명을 최소기준으로 삼는다.
이것은 도시화라는 개념이 상대적인 것임을 말해준다.
페루 같은 국가들에서는 상주인구가 2,000명이면 중요한 중심지이다.
그러나 도시로 간주되기 위해선 훨씬 더 많은 인구의 집중이 요구된다.

We have moved from going to a football game once a week to having sports on television twenty-four hours a day.
Billions of dollars go to the salaries of sports heroes each year.
Clearly, we are obsessed with sports and in particular, winning at sports.
The effect on our children is tremendous;
some children have no time with one or both parents who are locked to the television on a daily basis.
More important is the huge increase in parental concern about their children being on a winning team.
Winning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playing to do your best and have fun.
우리는 일주일에 한 번 축구경기를 보러 가는 것에서 하루 24시간 텔레비전에서 스포츠를 보는 것으로 옮겨갔다.
매년 수십 억 달러의 돈이 스포츠 영웅들의 봉급으로 나간다.
확실히 우리는 스포츠에, 특히 경기에 이기는 것에 집착하고 있다.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즉, 어떤 애들은 매일 텔레비전만 보는 부모와 보낼 시간을 전혀 갖지 못한다.
더 중요한 것은 자녀들이 이기는 팀에 속하는 데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엄청나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기는 것이 최선을 다하고 즐겁게 운동하는 것보다 더 중요해졌다.

The postal system became an avenue for bio-terrorism.
Often fatal viruses sent in letters resulted in the deaths of innocent people.
Such attacks are just one reason why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permanently shutting down the Postal Service and moving to a purely electronic mail system.
But there are other good reasons for shutting down our old-fashioned system of physically transporting person-to-person letters.
Specifically, continuing to move paper mail around is wastefully inefficient.
Eliminating what has clearly become an old delivery system would put a stop to the millions of dollars the post office loses every year.
We would also conserve precious natural resources, such as trees and water, and eliminate the pollution caused by the manufacture of paper.
우편 제도는 생화학 테러의 통로가 되었다.
편지에 담겨 보내진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무고한 사람의 죽음을 초래하기도 했다.
그러한 공격은 우리가 우편 서비스를 영구히 중단하고 완전한 전자 메일 체계로 옮겨가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편지를 보내주는 이 낡은 체계를 중단해야 하는 또 다른 많은 이유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이로 된 편지를 여기저기로 보내는 것은 낭비적일 만큼 비효율적이다.
분명히, 낡은 배달 체제가 된 것을 없애는 것은 매년 우체국에서 수백만 달러가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우리는 나무나 물과 같은 귀중한 천연자원을 보호할 수 있고, 종이의 제조로 야기되는 오염을 없앨 수도 있다.

If you want to make good use of your time, you've got to know what's most important and then give it all you've got.
만약 당신이 시간을 잘 활용하고 싶다면 당신은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알아야 하고 그리고 그것에 당신이 가진 모든 것을 투자해야 한다.
That's another lesson I learned at Lehigh.
그것은 내가 Lehigh에서 배운 또 하나의 교훈이다.
I might have had five classes the next day, including an oral quiz where I didn't want to look stupid, so I had to prepare.
나는 다음날 구두 시험을 포함하여 5시간의 수업이 있었다.
구두시험에서 바보스럽게 보이고 싶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준비해야만 했다.
Anyone who wants to become a problem-solver in business has to learn fairly early how to establish priorities.
누구든 사업에서 문제 해결사가 되기를 원한다면 일에 우선 순위를 정하는 법을 아주 일찍 배워야만 한다.
Of course, the time frame is a little different.
물론, 시간의 틀은 다소 차이가 있다.
In college I had to figure out what I could accomplish in one evening.
In business the time frame is more like three months to three years.
대학 다닐 때는 하룻저녁에 해야할 것을 산정해야 하지만 사업에 있어서는 3개월에서 3년에 더욱 가깝다.

Software piracy is already the biggest barrier to U.S. software companies entering foreign markets.
소프트웨어 해적행위는 이미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이 외국 시장에 진입하는데 가장 큰 장애물이다.
One reason is that software is extremely easy and inexpensive to duplicate compared to the cost of developing and marketing the software.
한가지 이유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시장에 내놓는 비용에 비해서 소프트웨어를 복제하는 것은 극히 쉬우며 비용도 싸다.
The actual cost of duplicating a software program, which may have a retail value of $400 or more, can be as little as a dollar or two―the main component being the cost of the diskette.
소매가로 400불 이상 하는 어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복제하는 실질 비용은 1∼2달러에 과하다 ―(비용의) 주된 구성은 디스켓 값이다.
The cost of counterfeiting software is substantially less than the cost of duplicating watches, books, or blue jeans.
소프트웨어의 모조품을 만드는 비용은 실질적으로 시계나, 책, 혹은 청바지를 복제하는 것보다 더 적다.
Give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ue value of the original and the cost of the counterfeit is so great for software, international piracy has become big business.
소프트웨어의 경우 원판의 가격과 복제비용간의 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국제적 해적행위는 이미 큰 사업으로 자리잡았다.
Unfortunately, many foreign governments view software piracy as an industry in and of itself and look the other way.
불행하게도 많은 다른 나라 정부들은 소프트웨어 해적행위를 원래 하나의 산업으로 보고 있으며 (미국과는) 반대로 보고 있다.

The most important such change, however, was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그러나 그러한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18-9세기의 산업혁명이다.
Its profound effect on the pattern of social and economic life has shaped the modern world, formed the basis of economic progres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increasing wealth of nations.
경제·사회적 생활의 패턴에 끼친 산업혁명의 심오한 영향은 현대세계를 형성했으며, 경제발전의 기초를 형성했고, 그리고 국가의 부를 증가시키는 기반을 세웠다.
Social and economic life, which had changed relatively little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now began to change rapidly.
산업혁명이전에는 비교적 거의 변화가 없던 사회·경제적 생활은 지금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
Indeed, this process of rapid change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day.
실제 이러한 빠른 변화의 진보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It has become the norm in our own postindustrial society.
그것은 우리의 탈산업화 사회에 있어서 기준[표준]이 되었다.

In many countries, overcrowded cities face a major problem.
많은 나라에서, 과밀한 도시들은 주요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This has been mainly caused by the drift of large numbers of people from the rural areas.
이것은 주로 농촌 지역으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동한 것이 그 원인이다.
These people have become dissatisfied with the traditional life of farming, and have come to the cities hoping for better work and pay.
이 사람들은 전통적인 농장 생활에 불만족해서, 보다 나은 일과 임금을 바라면서 도시로 오게 되었다.
Unfortunately, however, poor conditions in the urban areas, such as lack of housing, worsening sanitation and unemployment, bring about an increase in poverty, disease and crime.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주택 부족, 공중 위생과 실업의 악화, 그리고 같은 도시 지역에서의 열악한 환경이 가난, 질병 그리고 범죄의 증가를 일으키고 있다.

It is clear, therefore, that the destruction of the Amazon rain forest must stop.
따라서 아마존 열대 우림의 훼손은 중단되어야 하는 것은 명백하다.
The harm that this destruction is causing is far greater than any benefits it might bring.
이러한 훼손이 가져오는 손해는 그것이 가져오는 어떠한 이익보다도 훨씬 더 크다.
All the nations of the world must become involved in this problem, for the entire planet depends on the Amazon forest to a great extent.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이 문제에 참여해야한다.
왜냐하면 지구 전체가 상당히 아마존 산림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This involvement must not be one-sided.
이러한 참여는 일방적이어서는 안된다.
We must not expect Brazil alone to bear the responsibility or pay the cost.
우리는 Brazil혼자서 책임을 지고 비용을 지불할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Ecology is an issue that has no national boundaries.
생태환경은 국경이 없는 문제다.
We shall all have to make sacrifices, including contributions of money, work, and time.
Only by making such a commitment to our planet can we guarantee a safe and healthful environment for our children.
우리는 모두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돈, 노력, 시간의 기여를 포함하여.
단지 우리의 지구에 그러한 의무를 다할 때만이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blic has become aware of many common, dangerous dumping practices.
일반사람들은 많은 일상적이고 위험한 쓰레기 문제들을 알게 되었다.
These practices, some of which have been going on for years, have increased as the population has grown.
몇 년동안 일어나고 있는 문제의 일부인 쓰레기 문제는 인구 증가 때문에 증가해왔다.
Recent publicity has drawn public attention to one form of environmental pollution―the dumping of hazardous chemical wastes.
최근의 홍보는 환경 오염의 한 형태 ― 위험한 화학 페기물 버림―에 대중의 관심을 끌어 왔다.

My life has become a continuing treacherous nightmare.
내 생활은 계속해서 믿음을 저버리는 악몽이 되었다.
I starve myself for a week and lose between 10 and 12 pounds.
나는 자신을 1주일 굶겨서 10내지 12파운드를 줄인다.
Then I go crazy and eat everything in sight.
그리고 나서 나는 발광을 해서 눈에 보이는 것을 모조리 먹어 치운다.
Within 10 days I gain back all the weight I lost.
10일 이내에 나는 줄였던 몸무게를 모두 되찾게 된다.

Japan is skilled in the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goods and has
become a formidable competitor in established industries like memory chips and
home electronics. But Japan encourages corporate development / at the expense of
individual initiative.
일본은 질이 높은 상품의 대량생산에 능해서 기억소자와 가정용
전자제품과 같은 기존 산업계에서 물리치기 어려운 경쟁자가 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기업체의 발전을 고무하며 개인의 창의력을 희생하고 있다.

An estimated 25 million Americans have dvslexia, a condition that has been
detectable for years by a battery of tests. Dyslectics, who are often lefthanded
or ambidextrous, tend to reverse letters (b for d), twist words (was for saw),
confuse ```word order (please up hurry), subtract from left to right, or
have difficulty
with sequential thinking. Despite these problems, they may be intellectually
brilliant, with oral skills so keen they are able to bluff their way through
early grades. Dyslectics can become high achievers like Edison, Einstein,
General Patton, Nelson Rockefeller and Bruce Jenner. But they are often
misdiagnosed as retarded or emotionally disturbed.
2500만명으로 추산되는 미국인들이 읽기장애를 갖고 있는데, 이 증세는
수년 동안 여러가지 시험에 의해 알아낼 수 있었다. 읽기장애자들은, 흔히
왼손잡이거나 양손잡이들인데, 글자를 뒤집어서 읽거나(d를 b로), 단어를
거꾸로 읽거나(saw를 was로), 어순을 혼동하거나(please hurry up을
please up hurry로), (내리) 뺄셈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해나가거나,
차례차례 따져나가는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지적으로 뛰어나며, 말하는 재주가 너무도 민첩해서 적당히
거짓말을 해서 저학년을 거쳐나간다. 읽기장애자들은 높은 업적을 이룰 수가
있다-에디슨, 아인슈타인, 패튼 장군, 넬슨 라커펠러, 그리고 브루스
제너처럼. 그러나 이들은 흔히 정신적인 발육이 늦거나 정서적으로 불안한
아이로 잘못 진단(판정)을 받는다.

A painter, let us say, who has been obscure throughout his youth, is
likely to become happier if his talent wins recognition.
예를 들어, 젊은 시절에 사뭇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던 화가가 자신의 재능이
인정을 받게 되면 그는 더 행복해질 가능성이 있다.

That anthropologist has become so familiar with the diversity of ways in
which different people behave in similar situations that he is not apt to be
surprised by even the most exotic customs.
인류학자는 다른 종족의 사람들이 비슷한 상황 속에서 행동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 너무도 익숙해져 있어서 가장 이상한 관습에도 놀라지
않는 경향이 있다.

Lawlessness in general has risen sharply in a nation unused to it, and
a small but flourishing Israeli "Mafia" has become an embarrassing new entry in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전반적인 무법상태가 여기(무법상태)에 익숙해져 있지 않는 이스라엘에 급격하게
증가했고 규모가 작지만 번창하는 이스라엘 "마피아단"이 국제조직 범죄계에
새로이 등장해서 사람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Life moves on, whether we act as cowards or as heroes. Life has no other
discipline to impose, if we would but realize it, than to accept life
unquestioningly. Everything we shut our eyes to, everything we run away
from, everything we deny, or despise, serves to defeat us in the end. What
seems nasty, painful, evil, can become a source of beauty, joy and strength,
if faced with open mind. Every moment is a golden one for him who has the
vision to recognize it as such.
우리가 겁쟁이로 행동하든 영웅으로 행동하든 인생은 흘러간다. 인생을 깨닫고
싶으면 인생을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 이외에 인생은 다른 규범을 강요하지
않는다. 우리가 외면하는 모든 것, 피해 달아나려는 모든 것, 부인하고 경멸하는
모든 것이 결국 우리를 패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치사하고, 고통스럽고, 사악해
보이는 것이 마음을 열고 맞이하면 아름다움과 즐거움과 힘의 근원이 될 수 있다.
추한 것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진 사람에게 모든 순간은 귀한 것이다.

*in some measure 약간, 어느 정도 to some extent or degree:
그는 부자는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성공했다.
He has not become rich, but he has had some measure of success.

The weather is like the government, always in the wrong.
In summer time we say it is stifling; in winter that it is killing;
in spring and autumn we find fault with it for being neither one thing
nor the other, and wish it would make up its mind.
If it is fine, we say the country is being ruined for want of rain;
if it does rain, we pray for fine weather.
If December passes without snow, we indignantly demand to know what
has become of our good old-fashioned winters, and talk as if we had
been cheated out of something we had bought and paid for; and when
it does snow, our language is a disgrace to a Christian nation.
We shall never be content until each man makes his own weather,
and keeps it to himself.
날씨는 정부처럼 항상 잘못되기 마련이다.
여름에는 숨이 막힐 것처럼 너무 덥고, 겨울에는 얼어죽을 만큼 너무 춥고,
봄과 가을에는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고 불평하며, 확실히 결정해주기를 바란다.
날씨가 맑으면 비가 오지 않아 농촌을 망친다고 하고, 비가 오면 맑기를 기도한다.
12월에 눈이 오지 않으면 좋았던 옛날 겨울이 어떻게 된 거냐고 화를 내고
마치 돈을 주고 산 것을 빼앗긴 듯이 말한다. 또 눈이 오면 심한 상소리를 한다.
모든 사람이 각자 자기가 원하는 날씨를 독점하게 될 때만 만족하게 될 것이다.

*become of 어떤 일이 생기다 happen to:
나는 그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른다.
I don't know what has become of him.

It is common in our day, as it has been in many other periods of the
world's history, to suppose that those among us who are wise have seen
through all the enthusiasms of earlier times and have become aware
that there is nothing left to live for.
The men who hold this view are genuinely unhappy, but they are proud of
their unhappiness, which they attribute to the nature of the universe
and consider to be the only rational attitude for an enlightened man.
세계 역사를 통해 많은 시대에서 그러했듯이 오늘날에도 우리들 가운데
현명한 사람들은 과거의 모든 열정들을 통찰하였고 이제 더 이상 삶의
목적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견해를 갖는 사람들은 정말 불행하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The root of the trouble springs from too much emphasis upon competitive
success as the main source of happiness. I do not deny that the feeling
of success makes it easier to enjoy life.
A painter, let us say, who has been obscure throughout his youth, is
likely to become happier if his talent wins recognition. Nor do I deny
that money, up to a certain point, is very capable of increasing
happiness; beyond that point, I do not think it does so. What I do
maintain is that success can only be one ingredient in happiness, and
is too dearly purchased if all the other ingredients have been
sacrificed to obtain it.
경쟁에 성공하는 것이 행복의 근원이라고 지나치게 강조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성취감이 인생을 보다 즐겁게 해준다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젊은 시절을 무명으로 지냈던 화가는 그의 재능이 인정을 받았을
때 더 행복해 질 것이다. 돈이 어느 정도까지는 행복을 높여준다는 것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정도를 넘어서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주장하려는 것은 성공이란 어디까지나 행복의 한 요소에 불과하며
성공을 위해 다른 모든 요소를 희생한다면 너무나 비싼 대가를 치르는 것이다.

They say it is lucky to find a four-leafed clover, but I rarely heard of
anybody finding one by actually looking for it.
Your chances of coming across one are slightly improved if you happen to
be an observant person, and you can become observant by training your
own faculties.
But however observant you may become, your hopes of finding a four-leafed
clover are still slim. It is an odd fact that many of the greatest
discoveries have been, in effect, stumbled upon―but usually by people
whose minds were in a condition to perceive them, who by training and
inclination were looking in the right direction.
However, the moment of revelation has seldom been coldly
calculated―in art, never.
네 잎 클로버를 찾으면 행운이 온다고 하는데 그것을 찾으려고 애쓰다가
발견했다는 사람의 이야기는 거의 듣지 못했다.
관찰력이 좋은 사람이라면 그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약간 높을 것이고, 훈련을
통해 관찰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관찰력이 좋아지더라도 네 잎 클로버를 발견할 가능성은 여전히
희박하다. 묘하게도 위대한 발견들은 사실상 우연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것을 발견한 사람들은 항상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었고 훈련과 취향을 통해
올바른 방향을 잡고 있었다.
그러나 발견의 순간이 냉정하게 계산된 경우는 드물며 예술의 경우는 전혀 없다.

Date : October 21, 1994
To : All Employees
From : J.S. Winford Calculators by Prendall Industries
As you are probably aware from reports in the press, Winford Calculators
has been taken over by Prendall industries and is now part of the
Prendall group of companies.
Details of the take-over and how it will affect employees will be sent
to everyone before the end of the week.
However, this memo is being circulated to reassure you of the following.
1. Salaries and wages will not be affected.
2. Management positions will not be affected, although Organization and
Management consultants will be looking at our methods of production with
a view to improving efficiency.
3. Reorganization will take place over the next year as Prendall intends
to expand Winford Calculators' production so that it will become a major
electronic component supplier to their own industries.
4. Winford Calculators will retain its own name and identity and fulfill
all contracts and obligations it was committed to prior to the take-over.
The Board of Directors and Union representatives of Winford Calculators
have already met with Mr. Prendall, who has given us the above undertakings
both verbally and in writing.
날짜 : 1994년 10월 21일
수신 : 전직원
발신 : J.S. 윈포드 이사
주제: 프렌달 기업의 윈포드 계산기기 회사 인수
신문 보도를 통해 알고 계시겠지만, 위포드 계산기기 회사는 프렌달 기업에 의해
인수되었으며, 이제 프렌달 계열 회사 중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자세한 인수 내용과 직원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이번 주말 안으로 여러분
각자에게 전달될 것입니다.
이 메모는 다음 사항들을 여러분께 확인시키기 위해 돌리는 것입니다.
1. 봉급과 임금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2. 조직과 경영 자문위원들이 능률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우리의 생산 방법을
검토할 것이지만, 관리직 인사 이동은 없을 것입니다.
3. 프렌달 계열사들에게 주요 전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윈포드 계산기기
회사의 생산을 확대시킬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내년에 기업 재조직이 있을
것입니다.
4. 윈포드 계산기기 회사는 고유 이름과 독립성을 유지할 것이며, 인수 전에
맺은 모든 계약과 의무를 이행할 것입니다. 윈포드 계산기기 이사회와 노조
대표들은 프렌달씨와 이미 회의를 가졌으며, 프렌달씨는 구두와 서면으로
위의 사항에 동의했습니다.

We have also had our troubles. The biggest of these has been the sharp
depreciation in the value of the U.S. dollar on which all our prices
are based. Every effort has been made to absorb this drop in revenue
through cost reduction measures. However, with the depreciation now
reaching 20%, it has become impossible to unilaterally absorb these
losses. Consequently, we have decided to raise our export prices 10%
across the board effective April 1.
저희 역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큰 것은 저희측의
유통화폐인 미달러화 가격의 급격한 하락입니다. 원가절감을 통해 수입감소를
막으려고 노력을 다했지만 하락폭이 20%에 달한 지금, 당사만이 이러한 손실
을 감당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4월 1일부터 수출가격을 일
률적으로 10%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every effort has been made [최선을 다했다]
absorb this drop [저하를 감당하다]
it has become impossible to unilaterally absorb [일방적으로 떠맡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across the board [전면적으로]

이 전사장은 이사회를 사퇴하셔서 저희 계열회사인 G.L. AD의 사장으로 취임하셨습니다.
Mr. Lee has retired from the board of directors to become the president
of G.L. AD, one of our affiliates.

그는 어떻게 되었습니까?
What has become of him?

Science and technology have changed a great deal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nineteenth country. The world has changed, too. It has become more
complex and increasingly specialized. There is much more to know in every
field. It is not only the scientist and the computer expert who need
special training now, but also the government official and the business
manager. Beside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has
made the competition for jobs much greater than it used to be. The one
best qualified, the expert, wins.
과학과 기술은 19세기 후반 이후 엄청 변화‰榮 세상도 역시 변했다.
세계는 더 복잡해지고 점차 전문화되었다. 모든 분야에서 알아야 할 것들이 더
많게 ‰榮 이제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과학자와 컴퓨터
전문가뿐만 아니라 정부 관리와 사업가들이다. 게다가, 대 졸자 수의 급증은
과거에 그랬던 것보다 훨씬 더 치열한 취업 경쟁을 야기했다. 최고의 자질을
소유자, 즉 전문가가 승리한다.

The automobile presents an exercise of power. Driving represents a
challenge to be overcome; there is a constant parade of tiny decisions
that await your action and that certify you as skilled and needed. It
makes perfect sense, therefore, that getting a driver's license has
become the rite of passage to the adult world, If you drive, you are
competent, responsible, and powerful - your own man.
자동차는 능력을 발휘하게 해준다. 운전은 극복할 도전을 의미한다. 즉
당신의 행동을 기다리고 당신이 능숙하고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해 주는
끊임없는 사소한 결정들이 줄지어 있다. 그러므로 운전 면허를 취득하는 것이
성인 세계로 통과하는 의식이 된 것은 완전히 이치에 닿는 말이다. 만약
당신이 운전을 한다면 당신은 유능하고 책임감이 있고, 강력한-즉 주체성이
있는 사람이다. (자기의 의사대로 움직이는 사람이다. )

Farming began about 12,000 years ago and it has developed very quickly in
the last 300 years. There are no signs that the speed of development will
slow down. Agriculture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hree main ways.
First, farming will become even more efficient by using new types of
technology. Many processes will be controlled by computers. Second, new
ways of growing, storing and selling crops will be developed which can be
used by poor people as well as rich people. Third, agricultural products
will be used in many ways.
농업은 약 12,000년 전에 시작되어 지난 300년동안 매우 빠르게 발달해
왔다. 발달의 속도가 둔화될 조짐이 전혀 없다. 농업은 3가지 주된 양상으로
지속적인 발달을 하게 될 것이다. 첫째, 농업은 새로운 종류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훨씬 더 능률화될 것이다. 많은 과정들이 컴퓨터로 관리될
것이다. 두 번째, 부자들 뿐만 아니라, 빈곤한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재배법, 저장법, 농작물 판매법들이 개발될 것이다. 세 번째로,
농산물들은 많은 방법으로 사용될 것이다.

In recent years, Colombia has not received much money from its
exports. Its major export crop is coffee but the demand for coffee in the
world has dropped. Also, other countries have begun to export more
coffee, so the price has fallen. Finally, the Colombian government has
encouraged the farmers to produce more food so that the country can
become self-sufficient in food ; as a result, the farmers have produced
less coffee. Because of these factors, Colombia now gets much less cash
from coffee exports than it did ten years ago.
최근에 콜롬비아는 수출로 많은 돈을 벌지 못했다. 콜롬비아 주요
수출농작물은 커피지만 세계의 커피 수요가 감소했다. 또, 다른 나라가 더
많은 커피를 수출하기 시작해 가격이 떨어졌다. 결굴 콜롬비아 정부는
농민에게 식량을 자급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도록 권장했다.
따라서 농민은 커피를 덜 생산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콜롬비아는 10년 전보다
커피 수출에서 현금을 훨씬 덜 벌고 있다.

No matter how many electronic wonders we invent, we will need to read.
Books may change form ; they may become plastic disks or video displays.
But the art of reading will be more essential than ever. We cannot afford
to lose the kind of sharp, clear thinking that reading requires. As one
educator has said, 'No matter how far we advance our technology, we'll
still need to know how to think and read.
아무리 많은 전자상의 경이로운 것을 발명하더라도, 우리는 독서해야만 한다.
책들은 형태가 바뀔지도 모른다. 플라스틱의 디스크나 비디오 화면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독서법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독서가 요구하는 그런 종류의 예리하고 명확한 사고를 잃을 여유가 없다. 어떤
한 교육자가 말했듯이, 우리가 아무리 기술을 향상시키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어떻게 사고해야 하고 독서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Norman Croucher lost both legs when he was nineteen years old. Then he
had an ambition to become a rock climber. He had to learn to walk first
without the aid of crutches. Once he had achieved this, he started
inventing his own method of rock climbing. Norman's tin legs were his
only supports. All the hard work of climbing had to be done with his
arms. Norman has climbed nearly all the famous peaks in Europe. His
example has encouraged both handicapped and healthy people to attempt the
impossible.
Norman Croucher는 19세 때 두 다리를 잃었다. 그런 다음에 그는 암벽
등반가가 될 것을 꿈꾸었다. 그는 처음에는 목발의 도움 없이 걷기를 배워야
했다. 일단 그가 이것에 성공하자 그는 자신의 암벽 타는 방법을 발명하기
시작했다. Norman의 양철다리가 그를 받쳐준 유일한 것이었다. 바위를 오르는
데 쓰는 모든 힘든 작업은 팔로 해야만 했다. Norman은 유럽에 있는 거의 모든
산봉우리에 올라갔다. 그의 본보기는 장애인과 정상인 모두에게 불가능한 일을
시도하게끔 고취했다.

As human activities have increased, the damage to the earth's environment
has become more serious. You can easily imagine a situation like this: a
small child playing in a tiny room doesn't cause much trouble. But, if
the child grows into a 20-year-old man, the room will suffer damage. The
small room represents our earth and the boy our human activity. The size
of our world has not changed, but the scale of human activities has
increased greatly. Clearly, the damage will get worse year by year.
인간 활동의 증가에 따라, 지구의 환경에 대한 피해가 더욱 심각해졌다.
다음과 같은 상황이 쉽게 상상될 것이다. 어린애가 작은 방에서 노는 것은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아이가 자라 20세가 되면, 그 방은 피해를
입게 된다. 조그만 방은 지구를 나타내고 아이는 인간의 활동을 나타낸다.
지구의 크기는 변하지 않았지만, 인간의 활동 규모는 크게 증가했다. 분명히,
피해는 해가 갈수록 점점 악화될 것이다.

My best school report was in the first grade from Mrs. Varulo. First,
she told my parents about my amazing physical energy: "Lisa never tires
of chasing and punching her classmates." Next, she praised my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e, questioning mind: "After every
instruction--even one as simple as 'Please take out your pencils'--Lisa
asks 'Why?'" Mrs. Varulo was so impressed with my vocabulary that she
commented, "I don't know where Lisa has picked up some of the words she
uses, certainly not in my classroom." Somehow she even knew I would
become a famous fiction-writer. "More than any other student I have ever
had," she wrote, "Lisa is a born liar."
나의 최고의 성적표는는 Mrs. Varulo로부터 받은 1학년 때 였다. 첫째로,
그녀는 나의 부모님께 놀라운 나의 체력에 대해 말했다 : "Lisa는 급우들을
좇아가서 때리는 데 결코 지치는 적이 업죠." 그 다음으로, 그녀는 나의 수업
참가와 능동적이고 질문하는 정신을 칭찬했다 : "매 지시 후마다, 심지어
'연필을 꺼내'라는 간단한 지시 후에도 Lisa는 '왜요'라고 묻죠. " Mrs.
Varulo는 내 어휘에 매우 감명을 받아서 "나는 Lisa가 사용하는 어떤 어휘들은
어디서 줏어 들었는지 모르지만 확실히 우리 교실에서는 아니죠."라고 말했다.
심지어 그녀는 내가 유명한 소설가가 될 것이라고 알았다. "내가 가르친 어느
학생보다 Lisa는 타고난 거짓말쟁이 예요."라고 그녀는 썼다.

At one level, the computer is a tool.
한가지 레벨에서 컴퓨터는 도구이다.
It helps us write, keep track of our account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그것은 우리들이 글을 쓰고, 계좌를 추적하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하는 것을 돕는다.
Beyond this, the computer offers us new models of mind and a new medium on which to project our ideas and fantasies.
이외에도 컴퓨터는 우리들에게 우리의 생각과 환상을 투영해 주는 새로운 모형의 정신과 매개체를 제공해 준다.
Most recently, the computer has become even more than tool and mirror: We are able to step through the looking glass.
가장 최근에 컴퓨터는 도구나 거울 이상이 되어왔다.
우리들은 거울을 통과해서 걸을 수 있다.
We are learning to live in virtual worlds.
우리는 가상의 세계에서 사는 것을 배우고 있다.
We may find ourselves alone as we navigate virtual oceans, unravel virtual mysteries, and engineer virtual skyscrapers.
우리는 우리 자신들이 가상의 대양을 항해할 때, 가상의 미스테리를 해결할 때 그리고 가상의 고층건물을 설계할 때 혼자임을 발견할 수도 있다.
But increasingly, when we step through the looking glass, other people are there as well.
그러나 점점 우리가 거울을 통과해서 지나갈 때 다른 사람들이 또한 거기에 있다.

The Internet has put a fine point on people's fears that technology was gathering incredible amounts of information and misusing it.
과학기술이 상당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잘못 이용하고 있다는 사람들의 근심을 인터넷은 잘 지적하고 있다.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allows for simpler, speedier transactions, cheap home loans, competitive interest rate credit cards, low drug prescription prices, and discounted mail order catalog clothing sales, to name but a few.
몇 가지 예를 들자면,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은 단순하면서도 빠른 거래, 값싼 가계 대출, 낮은 이자율의 신용 카드, 싼 약 처방 가격, 그리고 의류 할인에 관한 우편 주문 목록과 같은 것을 고려해야 한다.
But in the new language of privacy, "always-on devices" and "pervasive computer" mean(that) a user is never disconnected from a network and communications devices become personal trackers.
하지만 사생활이라고 하는 신조어에서는 “항상 작동되는 장치(always-on)”와 “침투력 있는 컴퓨터(pervasive computer)”라는 것은 사용자가 항상 전산망과 연결이 되어있고 통신 장치들이 바로 개인의 추적자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Man has long existed on this earth as a single species.
인간은 오랫동안 지구상에 단일 종으로써 존재해 왔다.
Apparently throughout human wanderings separate groups of men have stayed long enough in a given area to produce the kind of subspecies called a race.
분명히, 인간의 방랑을 통해 분리된 인간의 무리들은 인종이라 불리는 일종의 아종(亞種)(subspecies)을 양산해 낼만큼 정해진 공간에서 오랫동안 머물러왔다.
Thus white, yellow, and Negro races developed, but they did not remain "pure," or, put in another way, man is and long has been a mongrel.
그렇게 해서 백인, 황인, 흑인이 형성됐지만, 이들 모두 “(별개의) 순수한 혈통”은 아니다.
즉, 달리 말해, 인류는 현재는 물론이고, 오래 전부터 잡종이었던 것이다.
Hardly does he get started breeding a variant that might become a new species when others come into the group, or else the group forces itself onto others, and the process is ended.
인간은 다른 그룹이 자기 그룹으로 들어오거나 반대로 자신의 그룹이 다른 그룹 내로 들어갈 때 생길 수 있는 새로운 변종을 번식시키기를 시작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더 이상의 변화(process)는 진행되지 않게 된다.

I say to my countrymen so long as you have a sense of honor and so long as you wish to remain the descendants and defenders of the noble traditions that have been handed to your for generations after generations;
내가 여러 동포들께 말씀 드리노니 여러분들이 명예심을 갖고 대대로 이어져 온 숭고한 전통의 수호자이자 자손들로 남아 있기를 원하는 한,
it is unconstitutional for you not to non-cooperate and unconstitutional for you to cooperate with a Government which has become so unjust as our Government has become.
우리의 현 정부처럼 매우 정의롭지 못하게 되어버린 정부에 협력거부를 하지 않는 일과 협력하는 일은 다같이 모두 위헌적인 행위인 것입니다.
I am not anti-English; I am not anti-British; I am not anti any Government; but I am anti-untruth ― anti-humbug and anti-injustice.
본인은 영국인을 싫어하지도 않고 반영주의자도 아니며, 어떠한 정부에도 반대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다만 저는 거짓과 속임수와 부정을 반대할 뿐입니다.
So long as the Government spells injustice, it may regard me as its enemy, implacable enemy.
정부 당국이 부정을 초래하는 한, 그들이 본인을 그들의 적으로, 화해할 수 없는 적으로 간주해도 좋습니다.

One doctor in the USA, Dr. Jack Kavorkian, has become well-known for his assisted suicides.
미국의 의사인 Jack Kavorkian는 그의 “assisted suicide"로 인하여 잘 알려졌다.
Since euthanasia is against the law in the USA, the doctor has been arrested and tried in court several times.
미국에서는 안락사가 법에 저촉되기 때문에 그 의사는 몇 번이나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But every time his home state of Michigan has brought him to court, the jury has acquitted him.
그러나 매번 그의 고향인 미시건 주에서 그를 재판에 데리고 나올 때마다 배심원단들은 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The jury always sided with the doctor, seeing him as providing a service of kindness rather than as committing a crime.
배심원단은 그가 범죄를 저지른다기 보다, 친절한 행위를 한 것으로 보았고, 항상 그의 편이었다.
Most people sympathize with a person who wants to end his or her own life.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삶을 끝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동정적이다.

Whether or not to legalize euthanasia is thorny issue for most people.
안락사를 합법화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는 모든 이에게 곤란한 문제이다.
It is clear that a lot of people will have to change their ways of thinking about death before it will become legal.
많은 사람들이 안락사가 합법화되기 전에 죽음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Perhaps euthanasia is an idea whose time has not yet come.
아마도 안락사는 아직 시기상조인지도 모르겠다.

Cheating in school isn't what it used to be.
학업에서 부정행위는 과거의 그것과 같지 않다.
The latest news is that it has gone hi-tech, and it has become easier to do than ever before.
최근의 뉴스에 따르면 부정행위가 첨단 기술화되었고 과거 그 어느 때보다 하기 쉬워졌다고 한다.

Korea has been lauded as a successful model in coping with the financial crisis, but to people in countries such as Nepal, Bangladesh and Pakistan, it has exported the image of a "horrible country."
한국은 경제위기를 훌륭하게 대처한 것으로 칭찬을 받고 있지만, 네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과 같은 나라 사람들에게는 한국이 “끔찍한 나라”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A Japanese writer said, "Koreans who had suffered have now become a people who oppress others."
한 일본 작가가 “한 때 고통을 받았었던 한국인들이 지금 다른 사람들을 억압하고 있다.”고 말했다.
Her book continues, "Korea is a country where foreigners find it difficult to live.
There are no residence rights and it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where a Chinatown failed.
Koreans are well aware of issues concerning green cards in the US and fingerprinting in Japan,
but completely ignorant about what foreigners go through in Korea."
그리고 다음과 같이 그녀의 책에 언급하였다.
“한국은 외국인이 살기에 어려운 나라이다.
거주권도 없고, 세계에서 차이나타운이 성공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이다.
한국인들은 미국의 green card(외국인에게 농업 노동을 인정하는 허가증)와 일본에서의 지문날인과 관련된 문제들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외국인들이 어떤 일을 경험하고 있는지는 완전히 모른다.”

The dulotic species of ants, however, are the supreme social parasites.
Consider, for example, the unusual behavior of ants belonging to the
genus Polyergus. All species of this ant have lost the ability to care
for themselves. The workers do not forage for food, feed their brood or
queen, or even clean their own nest. To compensate for these deficits,
Polyergus has become specialized at obtaining workers from the related
genus Formica to do these chores.
그러나 노예성(dulotic : 개미들 중에서 다른 종을 노예화시켜서 자기들에게
유리하도록 이용하는 종을 일컫는 생물학전문용어) 개미야말로 최고의 사회적
기생동물이다. 예를 들어, 폴리어거스(Polyergus) 속(종과 과의 중간분류
단계)에 속하는 개미의 특이한 행동을 고려해보자. 이 개미의 모든 종들은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을 상실했다. 일개미들이 음식을 찾아다니지도 않고,
그들의 새끼나 여왕개미를 먹여 살리지도 않고, 심지어 그들의 집을
청소하지도 않는다. 이 결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어거스(Polyergus)는
이러한 잡일들을 시키기 위해서 친척인 포미카(Formica)속의 개미들로부터
일꾼들을 얻어오는데 전문화되어있다.

You are aware that the enzyme hunters have been replaced by a new breed
of hunters who are tracking genes ― the blueprints for each of the
enzymes ― and are discovering the defective genes that cause inherited
diseases ― diabetes, cystic fibrosis. These gene hunters, or genetic
engineers, use recombinant DNA technology to identify and clone genes
and introduce them into bacterial cells and plants to create factories
for the massive production of hormones and vaccines for medicine and for
better crops for agriculture. Biotechnology has become a
multibillion-dollar industry.
당신은 그 효소 탐구가들이 유전자 ― 각각 효소의 청사진 ― 를 추적하는
그리고 당뇨병, 포자섬유증 같은 유전병을 발생시키는 결함 있는 유전자들을
찾아내고 있는, 새로운 종류의 탐구가들에 의해서 대치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유전자 탐구가, 다른 말로 유전자 엔지니어들은 유전자를 밝혀내서
무성생식하기 위해서 재조합 DNA 기술을 사용한다. 그리고 의학을 위해서
그리고 농업의 더 나은 생산성을 위해서 홀몬과 백신의 대량생산을 위한
공장을 만들어내도록 유전자들을 박테리아세포와 식물에 도입(주입)시킨다.
생화학은 수십억 달러의 산업이 되었다.

Active plant defense mechanisms are comparable to the immune system of
vertebrate animals, although the cellular and molecular bas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Both, however, are triggered in reaction to
intrusion, implying that the host has some means of recognizing the
presence of a foreign organism. The most dramatic example of an
inducible plant defense reaction is the hypersensitive response. In the
hypersensitive response, cells undergo rapid necrosis ― that is, they
become diseased and die ― after being penetrated by a parasite ; the
parasite itself subsequently ceases to grow and is therefore restricted
to one or a few cells around the entry site. Several theories have been
put forward to explain the bases of hypersensitive resistance.
활동적 식물 방어 메카니즘은, 비록 그 세포학적인 근거와 분자학적인 근거는
다르지만, 척추동물의 면역체계에 견줄만하다. 그러나 둘 다, 침입에 대한
반응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주인이 외부유기체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유발적 식물 방어 반응의 가장
극적인(대단한) 예는 과민반응이다. 과민반응에서는 세포들이 급격한
괴사(죽음)을 겪는다, 즉 그들은 기생충에 의해 침투당한 후에 병들어서
죽어버린다. 그래서 기생충자신도 그 뒤를 이어 성장을 멈추게 되고 침입한
장소의 주위에서 하나 또는 단지 몇 개의 세포로만 국한된다. 과민반응저항의
기초(근거)를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 이론이 제시되어왔다.

It is hardly an exaggeration to say that economics has moved into the
very center of public concern, and economy has become the abiding
interest, if not the obsession, of all modern societies. There are few
words as final as the word ‘uneconomic.’ If an activity is called
uneconomic, its right to exist is not merely questioned but
energetically denied.
경제학이 대중의 관심사가 되었고, 경제가 강박관념까지는 아닐지라도 모든
현대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거리가 되었다고 말해도 과장은 아니다.
‘비경제적인’이라는 말만큼 결정적인 단어도 거의 없다. 만약 어떤 행위가
비경제적이라고 불린다면, 그것이 존재할 권리가 의문시될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거부된다.

The Sun today is a yellow dwarf star. It is fueled by thermonuclear
reactions near its center that convert hydrogen to helium. The Sun has
existed in its present state for about 4 billion, 600 million years and
is thousands of times larger than the Earth. By studying other stars,
astronomers can predict what the rest of the Sun's life will be like.
About 5 billion years from now, the core of the Sun will shrink and
become hotter. The surface temperature will fall. The higher temperature
of the center will increase the rate of thermo- nuclear reactions. The
outer regions of the Sun will expand approximately 35 million miles,
about the distance to Mercury, which is the closest planet to the Sun.
The Sun will then be a red giant star.
오늘날 태양은 황색 왜성이다. 태양은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시키는 중심
부근의 열핵반응에 의해 연료를 공급받는다. 태양은 약 46억년 동안 현재의
상태로 존재해 왔고, 크기는 지구보다 수천배 더 크다. 다른 별을 연구하는
것에 의해 천문학자들은 태양의 일생 중 나머지가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50억년 후에 태양의 중심이 수축하여 더 뜨거워 질
것이다. 표면 온도는 떨어진다. 중심의 더 높은 온도는 열핵반응의 비율을
증가시킬 것이다. 태양의 외부 지역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수성까지
거리인 약 3천 5백만 마일 정도 팽창할 것이다. 그 때 태양은 적색 거성이
된다.

Temperatures on the Earth will become too hot for life to exist. Once
the Sun has used up its thermo-nuclear energy as a red giant, it will
begin to shrink. After it shrinks to the size of the Earth, it will
become a white dwarf star. The Sun may throw off huge amounts of gases
in violent eruptions called nova explosions as it changes from a red
giant to a white dwarf. After billions of years as a white dwarf, the
Sun will have used up all its fuel and will have lost its heat. Such a
star is called a black dwarf. After the Sun has become a black dwarf,
the Earth will be dark and cold. If any atmosphere remains there, it
will have frozen onto the Earth's surface.
지구의 온도는 너무 뜨거워 생명이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일단 태양이 적색
거성으로 되어 열핵반응 에너지를 모두 소비하면 태양은 수축하기 시작한다.
태양이 수축하여 지구 정도 크기가 된 후, 태양은 백색 왜성이 된다. 태양은
적색 거성에서 백색 왜성으로 변함에 따라 신성 폭발이라 불리는 격렬한 분출
속에서 엄청난 양의 가스를 분출할 것이다. 백색 왜성으로서 수십 억년을
보낸 후에 태양은 모든 연료를 다 써버리고 그 열을 잃게 된다. 그런 별을
흑색 왜성이라 부른다. 태양이 흑색 왜성이 된 뒤에, 지구는 어둡고 춥게 될
것이다. 만약 공기가 남아 있다면 그것은 지구 표면에서 얼어붙을 것이다.

The hellgrammite, its body flattened to reduce drag,
뱀잠자리 유충은 몸이 납작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has bushy gills to extract oxygen from the current.
물에서 산소를 뽑을 수 있는 털모양의 아가미가 있습니다
Black fly larvae anchor themselves with the ring of hooks,
먹파리 유충은 갈고리로 몸을 고정시킵니다
but if these become unstuck,
하지만 갈고리가 풀려도
they're still held by a silicon safety line.
실리콘 안전선이 있어 떠내려가지는 않습니다

Structures like these in North America's Carlsbad Cavern
북미의 칼즈배드 동굴에 있는 이러한 구조물들이 생성되려면
can take many thousands of years to develop.
수천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But sometimes the formations in a cave stop growing altogether.
하지만 이러한 동굴 형성과정이 완전히 멈추는 경우도 있습니다
These flooded caves in Mexico have remained virtually unchanged for thousands of years.
멕시코에 있는 이 수중 동굴들은 수천년간 거의 변함없이 남아있습니다
Since the last Ice Age they've become cut off from the outside world.
이 동굴은 마지막 빙하기 이래 바깥 세상과 단절되어 있었지만
Yet their impact on life on the surface has been huge.
땅위 생명체에 미친 영향은 실로 막대합니다
500 years ago they supported one of the world's great civilisations
이 동굴로 인해 500여년 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문명이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
the Maya.
바로 마야 문명이죠

This is how grass can grow given unlimited sunshine and water
이 광경은 햇빛과 물이 무한정 할 때 풀이 얼마나 자랄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but on most tropical plains across our planet
하지만 대부분의 열대 초원의 경우
the wet season is followed by a dry one.
우기 뒤에는 건기가 옵니다
On the African savannas, grazers are marching in search of grass and water.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에서 초식동물들이 풀과 물을 찾아 이동하고 있습니다
Without rain, these plains can become dust bowls. Grass can now loose it's hold.
비가 없으면 초원은 먼지구덩이로 변하고 풀들도 견딜 수 없습니다
Elephants are in immediate danger.
코끼리들은 지금 매우 다급합니다
They must drink almost daily.
거의 매일 물을 마셔야 하니까요
Driven on by thirst, they march hundreds of miles across the parched plains.
이 녀석들은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황폐한 초원을 수백km나 달려 왔습니다
Relying on memory, the matriarchs lead their families to those special water holes
무리를 이끄는 암컷은 기억을 더듬어 작년에 자신의 가족을 구해주었던
that saved them in previous years.
물웅덩이로 인도합니다
This one still has water
이곳에는 아직 물이 있지만
but they must share what remains with desperately thirsty animals of all kinds.
갈증에 시달리는 모든 동물과 나누어 마셔야만 합니다
These are tense times.
긴장된 시간입니다
The elephants dominate the water hole
코끼리가 물 웅덩이를 지배하지만
but as night falls the balance of power will shift.
밤이 되면 힘의 균형이 달라집니다

With so much competition, jungles have become the home of the specialist.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정글은 전문가의 보금자리가 되었습니다
Now this animal, in the island of Borneo, is one of the most unusual.
보르네오 섬에 있는 이 동물은 그중 가장 독특한 생물입니다
It's a colugo, or flying lemur, though this is something of a misnomer
이녀석은 날여우원숭이라고 하는데 잘못 붙여진 이름입니다
as it doesn't actually fly and it certainly isn't a lemur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104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