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ome sense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When Gregg Navarez graduated from high school in Los Angeles, he borrowed $125 from a friend.
He planned to use the money to start his own cleaning business.
Some people thought that Gregg would never be able to repay the loan.
But they were wrong.
Within only three years, Gregg's business was flourishing.
By the time he was 21, he was making up to $6,000 a month.
Gregg's success story was a result of hard work and good business sense.
Gregg Navarez는 Los Angeles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때, 친구로부터 125달러를 빌렸다.
그는 그 돈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청소 사업을 시작할 계획을 세웠다.
몇몇 사람들은 Gregg가 빌린 돈이나마 갚을 수 있을까 하고 의심했다.
그러나 그들의 생각은 잘못이었다.
단 3년 만에 Gregg의 사업은 번성했다.
21살이 되었을 때 그는 월수 6,000달러까지 벌게 되었다.
Gregg의 성공담은 탁월한 사업 감각과 근면의 결과였다.
Sleepwalking and sleep-talking seem to be different sleep disorders.
Sleepwalkers are capable of walking down stairs or out of doors, all the while remaining fast asleep.
Sleep-talkers, in contrast, stay still, but they effortlessly carry on long conversations.
To be sure, what they say doesn't make any sense.
Yet despite the differences,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leep disorders.
During their walking or talking hours, neither sleepwalkers nor sleep-talkers remember what happened the night before.
Also, both disorders appear to be passed down from parents to children.
하지만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수면 장애 간에 약간의 유사점이 있다.
자면서 걸어 다니기와 자면서 말하기는 별개의 수면장애인 듯싶다.
자면서 걸어 다니는 사람은 내내 잠든 채로 계단을 내려가거나 문 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반면에 자면서 말하는 사람은 움직이지는 않지만 힘들이지 않고 긴 대화를 할 수 있다.
그들이 말하는 것은 분명히 별다른 의미가 없다.
걷거나 말하는 동안 이 사람들은 전 날 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수면장애는 둘 다 유전되는 것 같다.
A deep mistrus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expressed by many in our society
today. Were it to prevail, this sense of suspicion and frustration could result not only
in our failure to solve our present crises, some of them the result of past misuses of
technology, but also in our future inability to deal with problems we may not even be in
a position to predict.
과학과 과학기술에 대한 깊은 불신을 오늘날 우리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나타내고있다. 만일 널리 퍼진다면, 이러한 의혹과 좌절감 때문에
우리는 현재 우리의 위기-이 가운데 일부는 과거에 과학기술을 잘못 사용한
데서 빚어진 결과인데-를 해결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또한 장래에 우리가
현재로서는 예상조차 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Humans, computers and animals could be said in some sense to think. Yet the
thought processes of each of these would be different:each would have its own strengths
and its own weaknesses. The merit of a particular combination of strengths and
weaknesses would depend on the job to be done.
사람과 컴퓨터, 동물은 어떤 의미에서 생각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하나 하나의 사고과정은 다를 것이다. 이들은 각각
독특한 강점과 약점들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들 강점과 약점을 어떻게
결합하는 것이 좋은지는 처리해야 될 일에 좌우될 것이다.
Some writers who do not think clearly are inclined to suppose that their
thoughts have a significance greater than at first appears. It is
flattering to believe that they are too profound to be expressed so
clearly that all who run may read, and very naturally it does not
occur to such writers that the fault is with their own minds, which
have not the faculty of precise reflection. It is very easy to persuade
oneself that a phrase that one does not quite understand may mean a
great deal more than one realizes. Fools can always be found to discover
a hidden sense in them.
명확하게 생각하지 않는 작가들은 그들의 사상이 언뜻 보기보다 깊은 의미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의 생각이 너무 심오해서 아무나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명료하게 표현할 수 없다고 믿는 것은 과찬이며 당연히 그러한
작가들은 정확한 사고 능력을 갖지 못한 그들 자신의 정신력에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구절이 생각보다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합리화하기는 쉽다. 이들의 글 속에서 감추어진 의미를 찾아내려는
바보들은 언제나 있다.
If you will ask some one who has at some time acted in a manner for which
he would be punished if it became known, you will find that when discovery
seemed imminent, the person in question repented of his crime. I do not
say that this would apply to the professional thief who expects a certain
amount of prison as a trade risk, but it applies to what may be called
the respectable offender, such as the bank manager who has embezzled in
a moment of stress, or the clergyman who has been tempted by passion into
some sexual irregularity. Such men can forget their crime when there seems
little chance of detection, but when they are found out or in grave danger
of being so, they wish they had been more virtuous, and this wish may give
them a lively sense of the enormity of their sin.
언젠가 알려지면 처벌을 받을 짓을 한 사람에게 물어보면, 문제의 그 사람은
발각이 임박했을 때 죄를 뉘우쳤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직업상의
위험 부담으로 어느 정도의 감옥살이를 예상하고 있는 전문적인 도둑에게는
해당되지 않지만, 경제적인 압박을 느낀 순간 돈을 횡령한 은행의 부장이나
열정에 못 이겨 성적으로 탈선한 성직자 같은 소위 점잖은 범법자들에게
해당된다. 그런 사람들은 적발될 가능성이 희박해 보일 때는 범죄를 잊을
수 있지만, 적발되었거나 그렇게 될 위험이 클 때, 좀더 덕을 쌓지 못했던
것을 후회하고, 이런 후회는 그들의 죄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실감하게 해준다.
There is nobody but has some sense of humor, and in this respect Lincoln
was the most outstanding. He made the best use of humor wherever he
needed it. One day he was stopped on a street by a man, who thrust a gun
in his face.
"What seems to be the matter?" asked Lincoln.
"I have sworn an oath that I will shoot an uglier man than I," was the
man's answer. Then Lincoln said, "Shoot me, then, for if I am an uglier
man than you, I don't want to live."
누구나 어느 정도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지만 이 분야에서 링컨이 가장
뛰어났다. 그는 필요할 때마다 유머를 최대한으로 이용했다. 어느 날
거리에서 한 남자가 링컨의 길을 막고 얼굴에 총을 갖다댔다.
"무슨 일인가?" 링컨이 물었다.
"나는 나보다 못생긴 사람을 쏘겠다고 맹세했다."는 것이 그의 대답이었다.
그러자 링컨이 말했다. "그렇다면 쏘시오. 내가 당신보다 못생겼다면 나도
살고 싶지 않으니까."
Human folly, alas, will continue to devastate the nations with war. Men
will continue to be born who are not fitted for life, and life will be
a burden to them.
So long as some are strong and some are weak, the weak will be driven to
the wall. So long as men are cursed with the sense of possession, and
that I presume is as long as they exist, they will wrest what they can
from those who are powerless to hold it. So long as they have the
instinct of self-assertion they will exercise it at the expense of
others' happiness. In short, so long as man is man he must be prepared
to face all the woes that he can bear.
딱하게도 인간의 어리석음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전쟁으로 황폐되고 있다.
생존에 적합하지 못한 사람들이 계속 태어나고 있는데 그들에게 인생은
고역이 될 것이다.
강한 사람도 있고 약한 사람도 있는 이상, 약한 사람들은 항상 코너에 몰릴
것이다. 인간이 소유욕을 가지고 있는 한, 강한 사람들은 지킬 힘이 없는
사람에게서 무엇이라도 빼앗을 것이다. 인간에게 자기를 주장하려는 본능이
있는 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행복을 희생시켜서 그것을 행사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 인간인 이상 온갖 슬픔을 감당할 준비를 해야 한다.
Some universities remain silent on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ay,
justifying their silence on the grounds that universities are neutral and
should not become involved. Such unwillingness to participate turns off
many students and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look to universities for
wise leadership. Campuses should serve as marketplaces for ideas. By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y, they should provide a genuine service,
even to many who believe that universities are academic in the worst
sense of the term.
일부 대학들은 오늘 날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침묵을 유지하고 있고
대학들은 중립적이며 그래서 직접 일에 관여해서는 안된다는 근거로 그들의
침묵을 정당화하고 하고 있다. 그렇게 참여를 꺼려하는 태도는 현명한
지도력을 대학에 기대하는 많은 학생들과 지역 사회 구성원들에게 외면당하게
한다. 대학 캠퍼스들은 아이디어 시장의 역할을 해야한다. 그들의 지역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은 대학이 그 말의 가장 최악의 의미로 학문적이다라고
믿는 많은 사람들에게도 진정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Man is unique among animals in two broad ways.
인간은 두 가지 넓은 면에서 동물들 가운데 유일하다.
Man seems alone among animals to have the ability to use words and therefore to communicate his thoughts - and, indeed, to have thoughts that separate out individual experiences and enables him to list, to compare, and to remember these experiences.
동물들 중에서 인간만이 말을 사용하고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즉 각각의 경험들을 구분하고, 이 구분된 경험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비교하고, 기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 능력을 가졌다는 것이다.
And in some sense related to this power of thinking, man alone seems able to pass on to his young in the form of education certain ways of living - ways that we can loosely call culture.
그리고 이 사고력과 관련된 면에서, 인간만이 우리가 막연하게 문화라고 부르는 생활양식을 교육의 형태로 젊은 세대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As I grew older, and chose my own reading, I rushed to comic papers and penny dreadfuls.
내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내 나름대로의 읽을거리를 선택하게 되었을 때 나는 만화신문이나 싸구려 선정(모험) 소설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Some good people, when they saw me reading these in the train on my way to school, would shake their heads, and say they wondered my parents allowed it.
어떤 선한 사람은 등교하는 도중의 기차 안에서 내가 이러한 것을 읽고 있는 것을 보고, 머리를 가로 흔들면서, 나의 양친이 어째서 이러한 것을 허락할까 말하곤 하였다.
But my father, a man of great sympathy and good sense, took a wise and tolerant view.
그러나 많은 동정과 양식을 가진 사람인 나의 아버지는 현명하고 관대한 견해를 가진 분이었다.
He argued, if I had any sense, I should grow out of this type of reading: if I had not, it did not matter what I read, as I should be a fool anyway.
아버지는 이렇게 주장하였다. 즉, 만약 나에게 조금이라도 분별력이 있다면 성장하게 되어 자연히 그러한 독서는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만약 나에게 아무런 분별력도 없다면 아무래도 내가 똑똑한 지식은 되지 않은 것이므로 내가 무엇을 읽든 상관할 바 없다는 것이었다.
Besides, he argued, if he forbade me to read these things I should want to read them all the more, because they would have the charm of being illegal.
He was proved right on that point.
뿐만 아니라 아버지는 이렇게 주장하였다.
즉 아버지가 나에게 그러한 것을 읽는 것을 금한다면 내가 더욱 읽고 싶어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읽을 거리는 불법한 것이 갖게 되는 매력을 지니게 되기 때문이라고 내가 크면 읽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있어서 아버지가 옳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Accustomed though we are to speaking of the films made before 1927 as
"silent," the film has never been, in the full sense of the word,
silent. From the very beginning, music was regarded as an indispensable
accompaniment ; when the Lumiere films were shown at the first public
film exhibition in the Unites States in February 1896, they were
accompanied by piano improvisations on popular tunes. At first, the
music played bore no special relationship to the films ; an
accompaniment of any kind was sufficient. Within a very short time,
however, the incongruity of playing lively music to a solemn film became
apparent, and film pianists began to take some care in matching their
pieces to the mood of the film.
우리는 1927년 이전에 만들어진 영화들을 "silent(무성영화)"라고 부르는
데에 익숙하지만, 영화는 결코, 그 단어(silent)의 엄격한 의미에서 볼 때,
무성영화인 적은 없었다. 아주 시초부터, 음악은 빼 놓을 수 없는 동반자로
간주되었다 ; Lumiere 영화들이 1896년 2월 미국 최초의 대중영화 전시회에서
보였을 때, 그들은 당시 인기 있는 선율의 피아노 즉석반주를 동반했다.
초기에는 연주되는 음악이 영화와 특별한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 어떤
종류의 반주이든지 충분했다. 그러나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근엄한
영화에 발랄한 음악의 부조화가 두드러졌고 영화피아니스트들은 그들의 곡을
영화의 분위기에 맞추는데 신경을 쓰기 시작했다.
Allelomimetric behavior may be defined as behavior in which two or more
individual animals do the same thing, with some degree of mutual stimulation and
coordination.
상호모방적인 행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개별 동물들이 같은 일을 하되,
어느 정도 서로를 자극하며 조정하는 행동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It can only evolve in species with sense organs that are well enough developed
so that continuous sensory contact can be maintained.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은 감각기관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어서 계속적인 감각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동물들 뿐이다.
It is found primarily in vertebrates, in those species that are diurnal, and
usually in those that spend much of their lives in the air, in open water, or
on open plains.
이것을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주로 등뼈동물, 주간에 활동하는 동물, 그리고 대개
삶의 많은 부분은 공중이나, 개방되어 있는 물이나 훤히 열려있는 평야에서 보내는
동물들에게서다.
Is there anyone else who'd know what he was talking about?
그 말에 뭐 짚이는거 없니?
No. That's why we have to find him. It's the only way we'll know the truth.
아니, 그러니까 걜 찾아서 진실을 알아내야지
It just doesn't make any sense.
말도 안돼
Zach is such a sweet kid.
그렇게 착한 애가
I can't imagine him doing anything that terrible.
무슨 끔찍한 짓을 저질렀겠니
Well, he did break into your house.
너네 집에 무단침입도 했었잖아
I mean, the kid's obviously troubled in some way.
어쨌든 걘 좀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
그러나 현 정부가 서울 특히 강남과 일부 수도권 지역의 집값 잡기에 모든 정책적 자원을 집중했음에도 이 지역의 집값이 급등했다는 점에서 주금공의 평가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evaluation of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does not make sense in that housing prices in the region have soared, even though the current government has focused all its policy resources on curbing housing prices in Seoul, especially in Gangnam and some metropolitan areas.
퇴행성 관절염은 마모에 의해 생기는 질병으로 일부 일리가 있어 보이지만 운동을 중단하면 관절연골에 관절액이 스며들지 못해 관절의 영양공급에 문제가 생긴다.
Degenerative arthritis is a disease caused by wear, which seems to make some sense, but if you stop exercising, joint fluid cannot penetrate into the joint cartilage, causing problems in the nutrition supply of the joint.
Q. Latin stocks have been very strong for the last couple of weeks. Why
is that?
질문 : 중남미 주식이 지난 두 주동안 강세를 보인 이유는?
A. When the European and American bond markets began their strong rally,
that was a big positive for Latin equity markets. Also, during the
period this summer when the American stock market was correcting, there
were net inflows into international equity funds. Some of that money
went into Latin funds. Finally, there is a sense that the Latin
economies have bottomed out and are in a recovery phase.
답변 : 유럽과 미국의 채권 시장이 사자 중심의 강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중남미 주식시장에 큰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 시장이 지난 여름 혼조에
놓였을 때 국제 주식-펀드에 돈이 몰렸고 그 일부는 중남미로 유입됐다.
여기다 중남미 국가 경제가 불황을 벗어나 회복기에 접어 들었다는 사람들의
인식도 뺄 수 없는 주요 요인이다.
depersonalization (이인증) alteration in the perception of the self so that the usual sense
of one's own reality is lost, manifested in a sense of unreality or self-estrangement, in
changes of body image, or in a feeling that one does not control his own actions and
speech; seen in depersonalization disorder, schizophrenic disorder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ome do not draw a distinction between depersonalization and
derealization, using depersonalization to include both.
WHERE IT'S AT - Names for a common symbol
-
The @ symbol has been a central part of the Internet and its forerunners ever
since it was chosen to be a separator in e-mail addresses by Ray Tomlinson in
1972.
@ 기호는 1972년 Ray Tomlinson이 이메일 주소의 분리자로 선택하고나서 인터넷과
인터넷 선봉자들의 중심부분이 되어 왔다.
From puzzled comments which surface from time to time in various newsgroups,
it appears the biggest problem for many Net users is deciding what to call it.
그것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다양한 뉴스그룹에 때때로 올라오는
당황스러운 의견들로 시작해서 많은 인터넷사용자들의 가장 큰 문제로 떠올랐다.
This is perhaps unsurprising, as outside the narrow limits of bookkeeping,
invoicing and related areas few people use it regularly.
이것은 부기, 송장작성 및 관련분야에서 극히 일부의 사람들만 @를 계속 사용해오던
것이었기 때문에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Even fewer ever have to find a name for it, so it is just noted mentally
as something like "that letter a with the curly line round it".
@의 이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적었기 때문에 그냥 "a에 꼬부랑꼬리가 붙어
있는 글자" 따위로 대충 불러지기도 했다.
-
It use in business actually goes back to late medieval times.
그것이 비즈니스에서 실제로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중세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It was originally a contraction for the Latin word ad, meaning
"to, toward, at" and was used in accounts or invoices to introduce the price
of something ("3 yds of lace for my lady @ 1/4d a yard").
@는 원래 "-로, -쪽으로, -에"를 의미하는 라틴어 ad의 축약형이었고
어떤 물건의 가격을 표시하기 위해 회계나 송장에 쓰여졌었다.
In cursive writing, the upright stroke of the 'd' curved over to the left
and extended around the 'a'; eventually the lower part fused with the 'a'
to form one symbol.
필기체에서는 d의 수직획은 왼쪽으로 굽어져서 a를 감싸는데까지 나간다.
결국은 아랫부분은 한 자로 만들어지기 위해 a에 흡수되었다.
Even after Latin ceased to be commonly understood, the symbol remained in use
with the equivalent English sense of at.
라틴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시절이 끝나고도 그 기호는 영어의 at와 동등한
의미로 남아서 사용되었다.
-
Because business employed it, it was put on typewriter keyboards from
about 1880 onwards, though it is very noticeable that the designers of
several of the early machines didn't think it important enough to include
it (neither the Sholes keyboard of 1873 nor the early Caligraph one had it,
giving preference to the ampersand instead), and was carried over to the
standard computer character sets of EBCDIC and ASCII in the sixties.
비즈니스에서 @가 채용되었기 때문에 1880년경부터 타자기 자판에 추가되었다.
하지만 초기 타자기를 디자인하는 사람들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도
주목할 일이다.(1873년의 숄즈 자판과 초기 캘리그래프모델은 @자판 대신에
&를 두었었다.) 이것이 1960년대의 EBCDIC과 ASCII 문자세트에 반영되었다.
From there, it has spread out across the networked world, perforce even
into language groups such as Arabic, Tamil or Japanese which do not use
the Roman alphabet.
이후 네트웍이 발달하면서 그것은 전세계에 전파되어 로마자를 쓰지 않는
아라비아어, 타밀어, 일본어 등의 언어군에도 적용되었다.
-
A discussion on the LINGUIST discussion list about names for @ in various
languages produced an enormous response, from which most of the facts which
follow are drawn.
언어학자들의 토론거리로 @를 여러가지 언어에서 어떻게 부를 것인가가 등장하면서
많은 반응을 일으켰고 많은 사건이 일어났다.
Some have just transliterated the English name 'at' or 'commercial at'
into the local language.
어떤 사람들은 영어이름 at나 commercial at를 그나라말로 번역하기도 했다.
What is interesting is that nearly all the languages cited have developed
colloquial names for it which have food or animal references.
재미있는 것은 대부분의 언어에서 구어체 이름으로 음식이나 동물을 의미하는
단어가 붙여졌다는 것이다.
-
In German, it is frequently called Klammeraffe, 'spider monkey' (you can
imagine the monkey's tail), though this word also has a figurative sense
very similar to that of the English 'leech' ("He grips like a leech").
독일에서는 Klammeraffe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거미원숭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독자는 원숭이의 꼬리를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은
영어의 leech(거머리)(그는 거머리같이 잡았다)가 모양을 묘사하는 것과 비슷한
점이 있다.
Danish has grisehale, 'pig's tail' (as does Norwegian), but more commonly
calls it snabel a, 'a (with an) elephant's trunk', as does Swedish,
where it is the name recommended by the Swedish Language Board.
덴마크말에서 @를 지칭하는 것으로 돼지꼬리라는 의미의 grisehale(노르웨이어로도
마찬가지이다)이 쓰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snabel a(코끼리 코가 달린 a)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snabel a는 스웨덴의 스웨덴어위원회에서 추천된 스웨덴말
이기도 하다.
Dutch has apestaart or apestaartje, '(little) monkey's tail' (the 'je' is
a diminutive); this turns up in Friesian as apesturtsje and in Swedish
and Finnish in the form apinanhanta.
네덜란드말에서는 (작은)원숭이꼬리라는 의미의 apestaart 또는 apestaartje가
있다.(je는 약한 느낌을 주는 접미사) 이 말이 프리즐랜드어로는 apesturtsje가
되고 스웨덴어와 핀란드어로는 apinanhanta가 되었다.
Finnish also has kiss"anh"anta, 'cat's tail' and, most wonderfully, miukumauku,
'the miaow sign'.
핀란드어로는 고양이꼬리의 의미로 kissanhanta라는 말을 쓰기도 하고 가장 특이한
이름으로 고양이울음소리인 miukumauku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
In Hungarian it is kukac, 'worm; maggot', in Russian 'little dog',
in Serbian majmun, 'monkey', with a similar term in Bulgarian.
헝가리말로는 kukac(벌레, 구더기), 러시아어로는 작은 개, 세르비아어로는
majmun(원숭이, 불가리아어도 비슷하다)이 쓰인다.
Both Spanish and Portuguese have arroba, which derives from a unit of weight.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는 중량단위에서 온 arroba가 있다.
In Thai, the name transliterates as 'the wiggling worm-like character'.
태국에서는 꼬물거리는 벌레 모양의 글자로 직역되는 이름을 쓴다.
Czechs often call it zavin'ac which is a rolled-up herring or rollmop;
the most-used Hebrew term is strudel, from the famous Viennese rolled-up
apple sweet.
체코에서는 동그랗게 만 청어, 청어요리의 의미인 zavinac으로 부르는 경우가 흔하고
히브리어로는 비인의 유명한 요리인 말린 애플스위트에서 온 strudel이 많이 쓰인다.
Another common Swedish name is kanelbulle, 'cinnamon bun', which is rolled up
in a similar way.
스웨덴에서 자주 쓰이는 이름으로 비슷한게 말린 '감빵'의 의미인 kanelbulle가 있다.
-
The most curious usage, because it seems to have spread furthest from its
origins, whatever they are, is snail.
말의 기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보이면서도 널리 퍼져있어 신기하게 보이는
용법으로 달팽이가 있다.
The French have called it escargot for a long time (though more formal
terms are arobase or a commercial), but the term is also common in Italian
(chiocciola), and has recently appeared in Hebrew(shablul),
Korean (dalphaengi) and Esperanto (heliko).
프랑스에서는 오랫동안 escargot로 불러왔고(arobase나 a commercial이 좀더
정식 표현이긴 하지만) 이탈리아어로 chiocciola, 최근의 히브리어에 shablul,
한국어의 달팽이(골뱅이가 더많이 쓰임:역자 주), 에스페란토어의 heliko 등이
똑같이 달팽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
In English the name of the sign seems to be most commonly given as at or,
more fully, commercial at, which is the official name given to i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haracter sets.
영어로는 at, 완전하게는 commercial at가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고
이것이 국제표준 문자세트에서의 공식명칭이다.
Other names include whirlpool (from its use in the joke computer language
INTERCAL) and fetch (from FORTH), but these are much less common.
다른 이름으로 whirlpool(소용돌이모양)(컴퓨터 은어로 사용된데서 유래한),
fetch(forth에서 유래한)가 있으나 훨씬 덜 사용된다.
A couple of the international names have come over into English:
snail is fairly frequently used; more surprisingly, so is snabel from Danish.
두개의 국제적인 이름이 영어로 넘어오고 있는데 snail이 꽤 자주 사용되고
놀랍게도 덴마크말인 snabel도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다.
-
Even so, as far as English is concerned at is likely to remain the standard
name for the symbol.
그래도 영어로는 아무래도 at가 @에 대한 이름의 표준으로 남아 있다.
But there is evidence that the sign itself is moving out from its Internet
heartland to printed publications.
그러나 @ 기호 자체가 인터넷 중심부에서 인쇄매체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로 해석될
증거가 있다.
Recently the British newspaper, the Guardian, began to advertise
a bookselling service by post, whose title (not e-mail address)
is "Books@The Guardian". Do I detect a trend?
최근 영국 신문 Guardian에서는 서적 우편판매서비스를 광고하기 시작했는데
그 서비스의 이름은 "Books@The Guardian"(이메일 주소가 아니다)이었다.
필자가 경향을 제대로 탐지했는 지 모르겠다.
-
At least we shall have no problem finding a name for the symbol.
적어도 @ 기호에 대한 이름을 찾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검색결과는 19 건이고 총 372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