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proceede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proceeding 〔prous´i:diŋ〕 행동, 조치, 조처, 소송절차, 의사록, 회보

proceeding 수속, 진행, 추진

proceeding 소송 행위, 소송 절차; 진행, 속행

She proceeded to tell a funny story and we all laughed.
그녀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진행하자 우리 모두는 웃었다.

The work is proceeding according to the plan. 그 일은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습니다.

dispassionate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냉정한, 공정한 (calm, impartial)
In a dispassionate analysis of the problem, he carefully examined the causes of
the conflict and proceeded to suggest suitable remedies.

In a dispassionate analysis of the problem, he carefully examined the causes of the conflict and proceeded to suggest suitable remedies.
그 문제의 공정한 분석에 있어 그는 조심스럽게 모순의 원인을 조사했고 나아가서 적절한 대책을 제안했다.

The story goes that Alfred once took refuge in the cottage of a poor
peasant. The good wife was left in ignorance of his identity and therefore had
little time for this seemingly idle fellow. For Alfred spent his time gazing
into the fire and dreaming of further plans to defeat the Danes. Called upon
some errand, the good wife drew his attention to some cakes which were baking in
front of the fire, and told him that he must watch them carefully during her
absence. Alas! So preoccupied was the English king that the good wife found, on
her return, nothing but a few remains of her cakes. Whereupon, the angry woman
seized the royal hair and proceeded to scold him severely. So runs the story.
Whether it is truth or legend we cannot confirm.
전해 내려오는 얘기에 의하면 앨프리드 대왕이 한때 가난한 농부의
집에서 은신했다고 한다. 선량한 농부의 아내는 그의 신분을 모르고있어서
겉으로 보기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이 사람을 위해 거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 왜냐하면 앨프리드는 자신의 시간을 난로불을 바라보면서 덴마크군을
물리칠 추가계획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보냈기 때문이었다. 어떤 볼일이
생기자, 이 선량한 아내는 난로불 앞에서 굽고있는 빵 몇개에 그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자기가 없는 동안에 주의해서 살펴보아야 한다고 그에게 말했다.
오호통재라! 이 영국왕은 너무도 자신의 생각에 몰두해서 그 선량한 아내가
돌아와 보니 그 빵은 거의 다 타버리고 몇 조각 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그러자, 화가 난 그 여인은 왕의 머리채를 붙잡고 그를 호되게 꾸짖었다.
얘기의 내용은 이렇다. 이것이 사실인지 전설인지는 확인할 수 가 없다.

Forthwith, he proceeded to launch into a lecture on local meteorology.
당장, 그는 이 지역의 기상에 관한 강의를 시작했다.

*proceed 진행하다 go forward; go on:
재판이 진행 중이다.
The trial is proceeding.

병사들은 경계하면서 국경을 향해 나아갔다.
The soldiers proceeded to the frontier with caution.

[百] 직무집행명령소송 (職務執行命令訴訟) mandamus proceeding

[百] 맨데이머스프로시딩 mandamus proceeding

proceeding 진행

Except at rare intervals of intellectual ferment, education in the past has been radically infected with inert ideas.
아주 드물게 있었던 지적 활성 시기를 제외하면, 과거의 교육은 근본적으로 불활성 사상에 감염되어 왔다.
That is the reason why uneducated clever women, who have seen much of the world, are in middle life so much the most cultured part of the community.
그런 이유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세상 물정을 많이 알고 있는 똑똑한 여성들이 중년기에 사회에서 그 정도로 가장 교양 있는 사람들 중에 속하게 된다.
They have been saved from this horrible burden of inert ideas.
그 여성들은 불활성 사상이라는 무서운 짐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다.
Every intellectual revolution which has ever stirred humanity into greatness has been a passionate protest against inert ideas.
여태껏 인류를 위대하게 만드는데 자극 역할을 해 온 지적혁명은 모두가 불활성 사상에 대한 뜨거운 저항이었다.
Then, alas, with pathetic ignorance of human psychology, it has proceeded by some educational scheme to bind humanity afresh with inert ideas of its own fashioning.
그런데 슬프게도 인간은 인간 심리의 가련한 무지로 인한 어떤 교육계획으로 그 인간 스스로가 만들어 놓은 불활성 사상에 또 다시 인류를 새로이 얽어매는 과정을 밟아 왔다.

Mary Goddard first got into printing at the age of twenty-four when her
brother opened a printing shop in Providence, Rhode Island, in 1762.
When he proceeded to get into trouble with his partners and creditors,
it was Mary Goddard and her mother who were left to run the shop. In
1765 they began publishing the Providence Gazette, a weekly newspaper.
Similar problems seemed to follow her brother as he opened businesses in
Philadelphia and again in Baltimore.
Mary Goddard 는, 그녀의 오빠가 1762년에 Rhode Island 주의 Providence
라는 도시에서 인쇄소를 개업했을 때 24세의 나이로 처음 출판계에 들어왔다.
그가 일을 진행하면서 동업자나 채권자들 때문에 곤란에 처했을 때 가게를
운영하도록 남겨진(가게의 운영을 맡게 된) 사람은 Mary Goddard 와
어머니였다. 1765년에 그들은 Providence Gazette 라는 주간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오빠가 Philadelphia 에서 그리고 다시 Baltimore 에서
사업을 시작했을 때 그에게는 비슷한 문제가 다시 따라오는 것 같았다.

Harvesting proceeded in two stages. In August the Mandans picked a
smaller amount of the crop before it had matured fully. This green corn
was boiled, dried, and shelled, with some of the maize slated for
immediate consumption and the rest stored in animal-skin bags.
추수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8월에 Mandan 사람들은 그것이 완전히
성숙해지기전에 더 적은 양의 곡물을 거둬들였다. 이 녹색의 옥수수는
끓여지고, 건조되고, 껍질이 벗겨졌는데, 그 옥수수들 중의 일부는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예정되었고 나머지는 동물가죽 백에 보관되었다.

Print Examiner lifted a thumb print off the mini-recorder
지문검사관이 첫 번째 피해자의 욕조 근처에 있던 소형 녹음기에서
near the tub of our "first" victim.
엄지손가락 지문을 떴는데
The print came back, this...
그 지문의 주인은… 이거였어
The killer purchased one of these rubber hands,
범인이 이 고무손 중 하나를 사서
laced the fingertips with cooking spray,
손가락 끝에 요리용 스프레이를 뿌리고
and proceeded to plant false prints all around the crime scene.
그 엉뚱한 지문을 사건현장 여기저기에 묻혀놓은 거지
This guy is good. Who's prints are these?
범인이 참 똑똑하네요 이건 누구의 지문인데요?
Some guy who works out of a warehouse, makes Halloween paraphernalia.
창고에서 일하면서 할로윈 용품을 만드는 사람이야
Scary masks, air-brushed tombstones, rubber hands.
괴물 가면, 페인트 칠한 묘비 고무손 같은 것들
Turns out he used his own hand for the mold.
거푸집을 만드는 데에 자신의 손을 사용한 거였어

오케이코리아 조정환 대표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명확한 룰이 없다보니까 사업을 진행할 때 큰 제약으로 다가온다"며 "비단 파생상품에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산업에서 행해지고 있는 전반적으로 비정상적인 행태들을 위해서라도 법적인 규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Cho Jeong-hwan, CEO of OK Korea, said, "Since there are no clear rules related to cryptocurrency, it is a big constraint when proceeding with business," adding, "Legal regulations are urgently needed not only for derivatives but also for the overall abnormal behavior carried out in the cryptocurrency industry."

이 외에도 다른 증권사들이 주관업무를 맡았지만 상장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던 라파스와 한국유니온제약 등 어려운 딜로 평가되던 회사들의 상장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In addition, the listing of companies that were considered difficult deals such as Rapha's and Union Korea Pharmaceutical, which had suffered a setback on the threshold of listing even if other securities firms took charge of the projects, also successfully proceeded.

이 회사는 행사 소개 보도자료를 지난 8일 오전 언론사에 배포했다가 2시간 반 뒤 철회하면서 "급하게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마케팅 내용이 미확정됐다"고 설명했다.
The company distributed the event's introductory press release to the media on the morning of the 8th and withdrew it two and a half hours later, explaining that "some marketing details have not been finalized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in a hurry."

재판부는 "피고인은 중국 측 자본을 유치하지 못하면 중국 공장 완공이 어렵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었으면서도 중국 진출이 별문제 없이 진행되는 것처럼 7∼8개월 동안 여러 차례 인터뷰를 하거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고 지적했다.
"The defendant was fully aware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omplete the Chinese plant without attracting Chinese capital, but interviewed or distributed press releases several times for 7 to 8 months as if the entry into China was proceeding without any problems," the court noted.

회의는 자산별 안정적인 수익 창출 방안과 리스크관리, 회원들에 대한 복지서비스 개선 계획 등 세부적인 추진 전략을 각 팀장들이 발표하고, 외부 전문가의 조언, 질의응답 및 토론이 이뤄지는 순서로 진행됐다.
The meeting was held in which each team leader announced detailed development strategies, including stable revenue generation measures for each asset, risk management and plans to improve welfare services for members, and after that, the meeting proceeded in the order of advice from outside experts, questions and answers session and discussions.

손 회장이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중징계에 대한 행정소송을 하기로 한 데 이어 차기 행장 선임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우리금융은 금융당국의 중징계에 개의치 않고 제 갈 길을 가는 모습이다.
Woori Financial Group seems to be on its way regardless of the financial authorities' heavy punishment as Chairman Sohn has decided to file an administrative suit against the severe punishment of the derivative linked fund (DLF) scandal and proceeded with the process of appointing the next president.

그렇게 진행된 수술은 준비부터 과하고 평소보다 예민해 보이는 심혜진의 모습을 내비쳐 오명심을 의아하게 했다.
The operation that proceeded in this way made Oh Myung-shim puzzled by showing the appearance of Shim Hye-jin, who was overly prepared and more sensitive than usual.

구는 어릴 때부터 올바른 운동과 신체활동 방법에 대해 배우고, 이를 습관화 해 비만예방은 물론 건강한 체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와 손잡고 공공기관에서 직접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The Gu(district) said that public institutions proceeded to business, together with schools to learn about proper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and make students habits to prevent obesity and maintain healthy physical strength from an early age.

보건당국은 국내 최고령 환자인 29번 환자가 10여일간 의료진을 포함해 114명과 접촉한 것으로 보고 방역과 격리 조치를 진행하는 한편 확인되지 않은 추가 동선을 파악하고 있다.
The health authorities believe that patient 29, the oldest patient in Korea, has been in contact with 114 people, including medical staff, for about 10 days, and is proceeding with disinfection and quarantine measures, while identifying additional unconfirmed paths.

양원석 지트리비앤티 대표는 "현재 OKN-007의 두가지 임상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고 2020년 임상 2상 진입을 위해 총력을 다한다"며 "임상 2상 허가까지 이어지도록 철저한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Yang Won-seok, CEO of G-TreeBNT Co.Ltd., said, "Currently, two clinical trials of OKN-007 are proceeding smoothly, and we are doing our best to enter phase 2 clinical trials in 2020," adding, "We will make thorough preparations to lead to the approval of phase 2 clinical trials."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부분적 집단 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요양병원 등에 대한 전수 진단검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While Covid-19 confirmed cases are showing an overall decline, full diagnostic tests are proceeding smoothly for nursing hospitals and others where cluster infections are partially occurring.

이날 오후 3시 30분쯤 본격적으로 시작된 환자 이동은 차분한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며 119 구급차량과 자치구 보건소가 운영하는 구급차 등 총 15대가 투입했다.
The patient movement, which began in earnest at around 3:30 p.m. on the same day, proceeded in a calm atmosphere, and a total of 15 vehicles, including 119 ambulances and ambulances operated by the autonomous district health center, were deployed.

서울성모병원측은 17일 오전 9시 27분께 시작한 박 전 대통령의 어깨 회전근개 파열 수술이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The Seoul St. Mary's Hospital said that the surgery for rupture of the shoulder rotator cuff of former President Park, which started at 9:27 am on the 17th, proceeded smoothly.

구로구는 "관내 콜센터와 교회에서 감염 사례가 있었다"며 "이를 교훈 삼아 확진자 발생 시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 대해 선제적 대응으로 두 차례 표본 검사를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Guro-gu said on the 16th, "There were cases of infection in the call center and church located in the jurisdiction," and, "We learned the lesson from those incidences and proceeded with two times of sample testing in terms of our proactively addressing the potential danger of mass infection lying in the convalescent hospitals and nursing homes."

humoral (액소성, 체액, 체액성) 어떠한 신체 체액과 관련되거나 또는 신체 체액으로부터 발
생하는. of, relating to, proceeding from, or involving a bodily humour - now often used
of endocrine factors as opposed to neural or somatic.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IA is to administer the antidumping (AD) and
countervailing duty (CVD) laws to ensure that domestic industries are not injured by
unfair foreign competition in the U.S. market. This introduction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AD and CVD laws, and an overview of the methodologies and
procedures used by IA in the implementation of AD and CVD trade remedies. A brief
summary of the types of data collected by IA is presented as an illustration of the
functions of IA in a trade remedy proceeding.
수입행정실의 기본임무는 미국시장에서 외국의 불공정경쟁에 의해 국내
산업이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반덤핑(AD)과 상계관세(CVD)법을 관장하
는 것이다. 수입행정실의 개요에서는 AD와 CVD법을 간략히 소개하고
AD와 CVD에 의한 피해구제를 시행하는데 사용하는 방법과 절차를 개관
한다. 수입행정실이 취합한 통계의 종류는 피해구제절차에서 수입행정실
의 기능을 보여주는 실례라 할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standard sets of questionnaires issued by IA, the record in an
investigation or annual review contains numerous documents submitted by the
domestic and foreign interested parties to the proceeding. Domestic parties are
generally known as "petitioners" and foreign firms are known as "respondents."
The types of documents submitted by petitioners and respondents include:
submissions of factual information, comments on IA's methodology, legal
arguments, case briefs and rebuttal briefs.
수입행정실이 발급한 질의서 이외의 조사 또는 연례재심에 있어서
관련기록은 국내 및 해외 이해당사자가 조사절차시 제출한 많은 서류를
포함한다. 국내당사자는 일반적으로 “제소자(petitioners)”로, 외국기업은
“피제소자(respondents)”로 알려져 있다. 제소자와 피제소자가 제출하는
서류의 종류에는 사실정보자료(factual information), 수입행정실의 방법론
에 대한 견해, 법적주장, 사건요지 및 반론요지 등을 들 수 있다.

Throughout the proceedings, counsel to
the parties frequently request meetings with the analysts and the managers in IA to
discuss issues as they develop. Prior to the final determination, interested parties
may request that hearings be held on the arguments addressed in the briefs
submitted by the parties. Copies of all written communication, and records of all
telephone calls and meetings with parties to the investigation are placed upon the
record of the proceeding.
이해당사자의 법률고문은 조사절차를 통해 여러 의제를 협의하기 위해
수입행정실의 분석관과 관리자와의 회의를 빈번하게 요청한다. 최종판정
이전에 이해당사자들은 상대방에서 제출한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공청회를 개최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모든 서면자료, 전화
기록, 관계자와의 회의기록은 조사기록실에 비치해 놓고 있다.

As a new analyst, it would be helpful for you to do the following:
1. Visit the DOC's Trade Reference Room.
2.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DOC's Law and Main Libraries.
3. Visit the IA home page at www.ita.doc.gov/import-admtn\records
4. Establish contact with people you know at other agencies which interface with IA,
i.e., U.S. Customs, the ITC, and the U.S. Trade Representative. They may be able
to provide you with other contacts in their agency who will be of assistance to you
in your work here with Import Administration.
5. Become familiar with the source of AD and CVD law, including: the AD and CVD
statue (Title VII of the Tariff Act of 1930, as amended); the DOC regulations for
antidumping duties (19 CFR 351), the explanatory preamble to the proposed and
final regulations, 61 FR 7308 (Feb. 27, 1996) and 62 FR 2796 (May 19, 1997), the
Statement of Administrative Action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URAA, printed
in House Document 103-316, vol.1); the WTO Antidumping Agreement (reprinted
in H. Doc 103-316, vol. 1 at page 1453)..
6. Attend as many IA and ITA training sessions as possible.
7. Attend a case hearing at the the DOC and the ITC.
8. Attend as many case-related meetings as possible.
9. Assist on as many different dumping proceeding actions as you can.
10. Maintain a case work file and index.
11. Prepare a court record.
12. Visit the IA Central Records Unit in Rooms B-099 and 1870 and the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Office in Room 1870.
13. Go on a product-familiarization trip to a production facility.
14. Go on a verification trip.
15. Visit a U.S. Customs field office in a city where you are verifying to see how
Customs implements our directives for investigations and administrative reviews.
1. 상무부 무역자료실을 방문하라.
2. 상무부 법률 및 주요 도서관에 익숙하라.
3.수입행정실홈페이지(www.ita.gov/import-admtn\records)를 방문하라.
4. 수입행정실과 상호 연락하는 세관, 국제무역위원회, 미무역대표부와
같은 여타 기관의 직원들과 연락 및 접촉방법을 만들어라.
5. 반덤핑 및 상계관세 법령 (1930년 관세법 제7편), 미 연방규정 (19 CFR
351), 최초 및 최종규정에 대한 연방관보 해설전문(61 FR 7308,
96.2.27 및 62FR 2796, 97.5.19), 우루과이라운드 이행법안의 입법배경
이해를 위한 행정조치 지침(SAA, 하원자료 103-316 제1권), WTO
반덤핑협정(하원자료 103-316 제1권 1453페이지) 등 반덤핑 및 상계
관세 관련 법규에 익숙하라.
6.수입행정실 및 국제무역행정처의 훈련과정에 가급적 많이 참석하라.
7. 상무부 및 국제무역위원회의 사건 공청회에 참석하라.
8. 사건관련 회의에 가급적 많이 참석하라.
9. 상이한 덤핑관련 조치를 가급적 많이 지원해 보라.
10. 사건 작업철과 색인을 유지하라.
11. 법원 기록을 준비하라.
12. 수입행정실 중앙기록관리소 B-099 및 1870호실과 행정보호명령담당관실
1870호실을 방문하라.
13. 제품에 익숙해지기 위해 생산시설을 방문하라.
14. 현장검증 방문을 하라.
15. 조사 및 행정재심을 위한 상무부의 지시를 세관에서 어떻게 시행하는
지를 보기 위해 현장 검증하는 도시의 일선 세관을 방문하라.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
An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is the legal mechanism that controls the limited disclosur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The Department
authorizes the release of proprietary information under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only when
the representatives file a request in which they agree to the following four conditions: (a) to use
the information only in the antidumping proceeding, (b) to secure the information and protect it
from disclosure to any person not subject to an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c) to report any
violation of the terms of the protective order, and (d) to acknowledge that they may be subject to
sanctions if they violate the terms of the order. (Section 777(c) of the Act. See also Proprietary
Information and Proprietary Treatment.)
-
행정보호명령(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
행정보호명령이란 이해관계인에 대한 영업정보의 공개범위를 조절하는
법적 장치이다. 상무부는 이해관계인이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의 이행에
대한 동의와 함께 서면으로 신청한 경우에 한하여 행정보호명령하에
영업정보의 제공을 허가하게 된다.
(a) 반덤핑제소와 관련해서만 제공된 정보를 이용한다.
(b) 제공된 정보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며 행정보호명령에 의해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는 동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c) 행정보호명령과 관련한 위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보고한다.
(d) 행정보호명령과 관련한 위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제재를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숙지한다.(법 제772조(c)와 "비밀정보"와 "비밀취급"에
대한 용어설명내용 참조)

Proprietary Treatment
-
If a party requests proprietary treatment of information, and if the Department agrees that the
information is proprietary, the Department will protect the information from public disclosure. If
the Department does not agree that the information is proprietary, it will return the information
and not rely on it in the proceeding, unless the submitter agrees that it may be made public.
When requested, Department will disclose proprietary information only to United State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and United States Customs Service officials and, under limited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s,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Section 777(b) of the Act.
See also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
영업상 비밀취급(Proprietary Treatment)
-
만약 이해관계자가 제출정보를 비밀정보로 취급하여 달라고 요청하고
상무부가 이를 인정하는 경우 상무부는 동 정보가 공개되지 않도록 보호
할 것이다. 만약 상무부가 동 정보를 비밀로 취급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동 정보의 제출자가 공개에 동의하지 않는 한 상무부는 동 정
보를 반려하고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동정보를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Verification
-
To establish the adequacy and accuracy of information submitted in response to questionnaires
and other requests for information, the Department examines the records of the party that
provided the information and interviews company personnel who prepared the questionnaire
response and are familiar with the sources of the data in the response. This process is called
verification. The Department must verify information relied upon in making a final determination
in an investigation, or in an administrative review when revocation of an antidumping order is
properly requested. The Department also must verify information submitted in an administrative
review if an interested party so requests and no verification of the producer or exporter had been
conducted during the two immediately proceeding reviews of that producer or exporter, or if
good cause for verification is shown. (Section 782(i) of the Act.) Also section 351.307 of the
regulations.
-
검증(Verification)
-
답변서에 제출된 정보의 정확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정보에 대한 여타
요청사항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무부는 정보를 제출한 관계자의 기록을
조사함과 아울러 답변서를 제출하고 답변서에 기재된 자료를 잘 알고
있는 회사직원을 면접한다. 이 과정을 검증(verification)이라고 부른다.
상무성은 덤핑조사에서 최종결정 또는 덤핑방지관세의 철회요청으로
인한 행정적인 재심에 사용되는 정보를 검증해야 한다. 또한 상무부는
이해관계인의 요청이 있고 생산자와 수출자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행정재심에서 제출된 정보를 검증해야 한다. (법 제782조(i)와
규칙(19 CFR) 351.307 참조)

The last very important part of a draft petition involves the product description or scope.
You and your team members should carefully review the product description to ensure
that it covers what the petitioner wants to cover and that it will be as easily understood as
possible throughout the various segments of the antidumping proceeding (see section IV
of this chapter).
마지막으로 신청서 초안의 매우 중요한 부분은 물품의 명세 및 범위
이다. 팀멤버들은 물품의 명세가 당초 제소자가 원하는 바와 일치하고
반덤핑의 여러 조사과정에서 가능한 쉽게 이해될 수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During the 20-day pre-initiation period, we will not accept oral or written communication
from interested parties regarding a petition except inquiries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proceeding and the issue of industry support..
20일간의 검토기간에는 해당업계의 찬성여부 및 진행절차에 대한
문의 이외에는 신청에 관하여 이해관계인과 구두는 물론 서면상으로도
어떠한 협의도 하지 않는다.

If a petition is withdrawn after the initiation of an investigation, a public interest
memorandum must be prepared indicating that the termination of the investigation is in
the public interest. Additionally, the ITC must be consulted and all parties must be
notified. A FR notice must be prepared and sent through the normal review channels.
The notice should includ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the reasons for the termination
and instructions regarding the termination of the suspension of liquidation if the
investigation has proceeded to that point.
조사개시 후에 신청이 철회될 경우, 조사의 종료가 공익상 타당하다는
공익 메모가 준비되어야 한다. 또한 국제무역위원회와 협의하여야하고
모든 이해관계인에게 통보되어야 한다. 연방관보공고를 준비하고 정상적
인 검토 단계를 밟아 보내야 한다. 공고에는 조사범위, 종결사유 및
조사가 진행되었을 경우 청산정지 종결지시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A companion to the official record is the public record, defined under 19 CFR
351.104(b). For our purposes, this record is known as the public file and is also kept by
the CRU. This file is located in a public area of the CRU and any portion of the public
record may be photocopied for any member of the public. This record provides the
general public with the story of the proceeding without compromising proprietary or
confidential information submitted in the course of it.
공식기록을 구성하는 또다른 한 부분으로 19CFR 351.104(b)에서 규정
된 공개기록이 있다. 분류목적상 이 기록은 공개자료철(public file)이라
하고 역시 중앙기록관리소에 보관된다. 이 자료는 중앙기록관리소의 공개
영역에 위치되어 있으며, 어느 부분도 일반인이 복사할 수 있다. 일반
대중은 이 기록을 통하여 기업의 영업비밀정보등을 제외하고는 반덤핑조
사등의 진행과정을 알 수 있게 된다.

The record must be maintain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egment of the proceeding that
is involved. This approach makes it more likely that the record will be complete. In this
context, the analyst should keep in mind the "Certifying the Record" responsibilities
described below and Court Record requirements of Chapter 19. The analyst will find it
far easier to certify the completeness of a file when documents are placed in it on an
on-going basis, rather than attempting to do so entirely after the final determination in an
investigation or administrative review.
기록은 관련되는 절차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유지 관리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은 기록을 더욱 완벽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런 맥락
에서 분석관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록 공인"의 의무와 제19장의 법정
기록의 필요조건 등을 명심해야 한다. 분석관은 일이 진행되는 대로 문서
를 자료철에 정리하는 것이 조사 또는 행정재심의 최종판정 후 한번에
정리하는 것보다 자료철의 완벽성을 보장하는데 더욱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Section 516(A)(b)(2) of the Act defines the record as consisting of:
(i) a copy of all information presented to or obtained by ... the administering
authority ... during the course of the administrative proceeding, including all
governmental memoranda pertaining to the case and the record of ex parte
meetings required to be kept by [statute]; and
(ii) a copy of the determination, all transcripts or records of conferences or
hearings, and all notices published in the Federal Register.
법 제516조(A)(b)(2)는 행정기록이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ⅰ) 당해 사건에 관한 모든 정부 메모와 법령에 의해 유지되도록 규정한
어느 한 당사자측과의 회의기록을 포함하여 행정절차과정중
행정당국에 제출되었거나, 얻어진 모든 정보자료의 사본
(ⅱ) 판정, 회의나 청문 등의 모든 사본 또는 기록, 연방관보에 게재된
모든 공고의 사본

Similarly, 19CFR 351.104(a) defines the record as:
-
...all factual information, written argument, or other material developed by,
presented to,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the Secretary during the course of the
proceeding that pertains to the proceeding, government memoranda pertaining to
the proceedings, memoranda of ex parte meetings, determinations, notices
published in the Federal Register, and transcripts of hearings....
-
Sections V and VI of this chapter list documents that are usually part of the record.
또한, 19CFR 351.104(a)는 행정기록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
…절차진행중 장관에게 제출된 또는 장관에 의해 밝혀졌거나 얻어진
모든 사실정보/서면주장/기타 자료, 진행절차에 관련된 정부 메모, 일방
당사자 회의 메모, 판정, 연방관보에 게재된 공고, 청문 등본 ……
-
본 장의 제5절과 제6절은 일반적으로 행정기록의 일부분이 되는 문서
목록을 싣고 있다.

c. Information is part of the record regardless of the form in which it is
presented or obtained. Examples include:
- petitions
- questionnaire responses (including tapes, floppy discs and printouts)
- information received in the course of verification (including exhibits)
- telex, fax and cable communications
- information gained from published surveys, articles, studies, statistical
compilations or other analysis (if used, this information must be put in
the record by the analyst)
- correspondence from petitioners, respondents, interested parties and
others (e.g., Congress)
- in reviews, information from previous segments of the proceeding
(e.g., the original investigation or a previous review) if used in the
final results of the review
- requests for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s.
c. 정보자료를 얻거나 제출된 형식에 관계없이 아래와 같은 예는
행정기록에 해당된다.
- 신청서
- 질문서 답변내용(테이프, 플로피디스크, 컴퓨터 인쇄물 포함)
- 검증(증거물 포함)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
- 텔렉스, FAX, 통신문
- 발표된 조사, 논문, 연구, 통계집, 기타 분석 등으로부터 얻어진
정보자료(동 정보자료가 이용되면 분석관은 행정기록으로 등재
해야 한다.)
- 제소자, 피제소자, 이해관계인 및 기타(의회 등)로 부터의 통신물
- 재심사시 정보자료가 재심의 최종결과에 활용될 경우, 진행과정
의 전단계(최초 조사나 첫 재심)의 정보자료
- 행정보호명령 요구서

For investigations, the record of the administrative proceeding ordinarily
opens when the petition is filed or an investigation is self-initiated and closes
upon the signing of the Federal Register (FR) determination (i.e., notice of
final determination or notice of suspension of investigation). For
administrative reviews, the record opens with initiation and closes upon
issuance of the FR notice of final results.
조사에서의 행정진행사항 기록은 보통 신청서가 접수되거나 또는 직권
조사가 개시될 때에 시작되고, 연방관보의 판정(즉, 최종판정 공고 또는
조사중지공고)에 서명이 되면 끝난다. 행정재심사의 행정기록은 재심사
개시결정과 함께 시작되고 최종결과에 대한 연방관보공고가 공표되면
종결된다.

In order to properly conduct an antidumping duty investigation or administrative review,
we require certain information from businesses that is generally not released to the public.
Understandably, parties to the investigation or administrative review do not want to
release this information unless we provide safeguards that the data will be protected from
public disclosure. Proprietary classifica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o
the public, is used under controlled circumstances in our proceeding, and is available to
counsel for an opposing party only under an APO (see Chapter 3). Under 19 CFR
351.304, the following types of information are examples of information eligible for
proprietary classification:
- business or trade secrets concerning the nature of a product or production
process
- production costs
- distribution costs (but not channels of distribution)
- terms of sale (but not terms to the public)
- prices of individual sales, likely sales, or offers
- names and other specific identifiers of particular customers, suppliers, or
distributors
- names of particular persons from whom propr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반덤핑관세 조사나 행정재심사를 제대로 하기 위하여는 대개 일반에는
공개되지 않은 업계의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당연히 조사나 행정재심사
의 당사자들도 해당정보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안전장치가 제공되지
않으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영업비밀로 분류한다
는 것은 해당정보가 일반대중에는 공개되지 않고, 조사진행 과정에서도
통제상황하에 이용되고, 행정보호명령에 의거해서만 상대측 변호사가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장 참조) 19CFR 351.304에서 다음
유형의 정보가 영업비밀로 분류될 수 있다.
- 생산품의 특성이나 생산공정에 관련한 사업 또는 무역비밀
- 생산비용
- 유통비용 (유통경로는 아님)
- 판매조건 (일반대중에 대한 조건이 아님)
- 개별판매가격, 판매전망가격, 주문가격
- 특별고객, 공급자, 유통업자의 이름과 기타 특별 명세
- 영업비밀 정보를 얻은 특정인의 이름

B. Documents that Are Part of the Record of an Investigation if They Exist
B. 작성되면 조사관련 행정기록으로 분류되는 문서
1. All incoming and outgoing correspondence relating to the proceeding
1. 조사진행과 관련된 모든 출납서신
2. Memos to the file regarding telephone conversations and meetings
2. 전화통화와 회의에 관한 자료의 메모
3. Inter- and intra-agency memoranda relating to the proceeding
3. 조사진행과 관련된 기관내 및 기관간 메모
4. Interested party, party to the proceeding, and service lists
4. 이해관계인, 조사진행관련자, 서비스 목록
5. Publications, analysis, or other outside reports used in determinations
5. 간행물, 분석자료, 판정에서 이용된 기타 외부보고서
6. Cables and faxes containing information obtained domestically or from overseas
6. 국내외에서 수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문 및 팩스
7. Signed suspension agreement
7. 서명필 조사정지합의서
8. All decision memos and FR notices relating to the investigation that were not
mentioned in Part A of this section (postponements, critical circumstances, etc.).
8. A항에서 언급되지 않았던(연장, 긴급상황 등) 조사와 관련한 모든 결정
메모와 연방관보공고

B. Documents that Are Part of the Record of Review if They Exist
1. All incoming and outgoing correspondence relating to the proceeding
2. Memos to the file regarding telephone conversations and meetings
3. Inter and intra-agency memorandum relating to the proceeding
4.Interested party and party-to-the-proceeding lists
5. Excerpts from publications relied upon
6. Cables containing information obtained overseas
7. Verification documents (exhibits and reports)
8. Application for revocation and signed assurance letter
B. 작성되면 재심관련 행정기록으로 분류되는 문서
1. 조사진행과 관련한 모든 출납서신
2. 전화통화와 회의에 관한 서류메모
3. 조사진행과 관련한 기관내, 기관간 메모
4. 이해관계인, 진행관련자 목록
5. 판단근거로 사용된 출판물의 발췌록
6. 해외로부터의 정보가 포함된 전문
7. 입증서류 (증거물 및 보고서)
8. 철회신청서 및 서명된 보증서

In addition to the types of documents generally found in administrative reviews, the
administrative record for a scope proceeding must include:
1. The petition
2. The ITC report
3. Any documents from the investigation that were submitted by a party or that
were reviewed and relied on by the DOC in its scope determination.
행정재심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문서형태 이외에도 조사범위결정
절차에 대한 행정기록에는 아래 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신청서
2. 국제무역위원회 보고서
3. 특정관계자에 의해 제소되었거나 범위결정을 함에 있어서 상무부
에 의해 인정되어 재심의된 조사에서 나온 문서

(AD) or countervailing duty (CVD) proceeding: public, business proprietary,
privileged, and classified.
상무부규칙 351.105항은 반덤핑, 상계관세 절차에서 정보의 종류를 공개
정보, 영업비밀정보, 특전부여정보, 비밀정보로 구분하고 있다.

All information submitted by parties in an AD or CVD proceeding is treated as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unless it is accompanied by a request for business proprietary
treatment. The types of information which are normally regarded as public information
are set forth in paragraph (b) of section 351.105. This paragraph describes public
information as
1) factual information of a type that has been published or otherwise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by the person submitting it such as in advertisements, product
brochures or marketing displays,
2) factual information that is not designated as business
proprietary by the person submitting it,
3) factual information which, although designated
as business proprietary by the person submitting it, is in a form which cannot be
associated with or otherwise used to identify activities of a particular person, or which the
Secretary determines is not properly designated as business proprietary,
4) publicly available laws, regulations, decrees, orders, and other official documents of a country,
including English translations, and
5) written argument relating to the proceeding that is
not designated as business proprietary.
반덤핑이나 상계관세 절차에서 이해관계인에게 제출된 모든 정보는 영업
상 비밀로 취급하여 줄 것을 요청하지 않는 한 공개정보로 간주된다.
공개정보로 취급되는 정보의 유형은 제351.105항의(b)에 설명되어 있는 바,
공개정보란
1) 공표되었거나 또는 제출자에 의해 광고나 제품소개책자, 판매전시 등에서
와 같이 일반에게 활용 가능한 상태에 놓여진 사실에 입각한 정보
2) 제출자가 영업비밀로 지정하지 않은 사실에 입각한 정보
3) 사실에 입각한 정보로서 제출자가 영업비밀로 지정하였어도, 특정인의
활동과 관련되지 않거나 또는 특정인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는 정보와 장관이 영업비밀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한
정보
4)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법률, 규칙, 판결, 명령이나 영어번역분을 포함한
기타 공적인 국가 문서
5) 영업 비밀로 지정되지 않은 진행절차와 관련된 토의문건 등을 말한다.

B.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he description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s addressed in paragraph (c) of
section 351.105 of the DOC's regulations. The regulation states that the following factual
information will generally be regarded as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f it is so
designated by the submitter: (1) business or trade secrets, (2) production costs, (3)
distribution costs, (4) terms of sale, (5) prices of individual sales, likely sales, or other
offers, (6) names of particular customers, distributors, or suppliers, (7) in a AD
proceeding, the exact amount of the dumping margin on individual sales; (8) in a CVD
proceeding, the exact amount of the benefit applied for or received by a person from each
of the programs under investigation or review, (9) the names of particular persons from
whom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10) the position of a domestic
producer or workers regarding a petition, and (11) any other specific business information
the release of which to the public would cause substantial harm to the competitive
position of the submitter.
B. 영업비밀 정보
영업비밀정보에 관한 설명은 상무부규칙 제351.105항(c)에 있다. 이 규칙
에서는 제출자가 지정할 경우 다음의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한 정보를 통상
영업비밀정보로 간주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1) 영업 및 무역비밀 (2) 생산원가 (3) 유통비용 (4) 판매조건 (5) 개별판매
가격, 예상판매가격, 기타 다른 주문가격 (6) 특별거래처, 유통업자, 공급업자
명단 (7) 반덤핑절차에 있어 개별판매 덤핑마진의 정확한 액수 (8) 상계관세
절차에 있어 조사나 재심사중인 사건에서 적용되거나 받은 수익의 정확한
액수 (9) 영업비밀정보원이 되는 특정인 명단 (10) 신청과 관련된 국내생산자
나 고용자의 입장 (11) 기타 공표하는 경우 제출자의 경쟁적 지위에 실질적
손해를 끼치게 되는 특정기업정보

C. Privileged Information
The description of what the DOC considers to be privileg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an AD or CVD proceeding is set forth in 19 CFR 351.105(d). This section explains
that the DOC will consider information privileged if, based on principles of law
concerning privileged information, it decides that the information should not be released
to the public or to parties to the proceeding. Only the U.S. Government can assert
privilege. Generally, an example of a type of information that would be considered
privileged is the name of an informer in a fraud investigation. Privileged information is
exempt from disclosure to the public or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even under
the terms of an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APO). Privileged information,
however, is put on the record in a privileged index, and released to parties under judicial
protective order (JPO) unless the court agrees not to release it. Privilege also applies to
attorney-client privilege or pre-decisional material.
C. 특권부여정보
반덤핑이나 상계관세절차의 목적을 위해 상무부가 특권부여정보로 간주
하는 것은 19 CFR 351.105(d)에 설명되어 있다. 이 조항에 의하면 상무부가
특권부여정보에관한법률의 원칙에 근거하여 일반대중이나 진행중인 절차의
이해 당사자에게 공개되어서는 아니된다고 결정한 정보를 특권부여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오로지 미국정부만이 특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권을 부여받는 것으로 간주되는 정보유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사기사건
수사에서의 고발자의 이름을 들 수 있다. 특권을 부여받은 정보는 일반대중
뿐만 아니라 행정보호명령(APO)하에서 관련 이해당사자의 대표들에게까지도
공개가 면제된다. 그러나 이 정보는 특권부여 목록에 등재되어야 하고 법원
이 비공개를 동의하지 않는 한 사법적 보호명령하에서는 당사자에게 공개
된다. 또한 특권은 변호인-의뢰인의 특권이나 결정전 자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D. Classified Information
Classifi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classified under Executive Order No. 12356
of April 2, 1982, or successor executive order, if applicable. An example of this type of
information is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Classified information is exempt from
disclosure to the public or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under the terms of an
APO. Generally, this type of information would not be presented to the DOC in the
context of an AD or CVD proceeding.
D. 비밀정보
비밀정보는 1982. 4. 2 행정명령 제12356호와 후속명령하에서 비밀로 분류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유형이 국가안보정보이다. 비밀정보는
APO하에서도 대중이나 관련 이해 당사자 대표에게 공개가 면제된다. 일반적
으로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반덤핑이나 상계관세절차 진행 중에는 상무부에
제출되지 않는다.

Section 135(b) of the Customs and Trade Act of 1990 ("The 1990 Mini Trade Bill")
specifically amended Section 777 of the Act to prohibit the release of customer names by
the DOC during any investigation which requires a determination under section 705(b) or
735(b) until either an order is published under section 706(a) or 736(a)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r the investigation is suspended or terminated (in other words, this
prohibition does not apply in administrative reviews or in any other segment of a
proceeding than the investigation). The specific language reads as follows: "Customer
names obtained during any investigation which requires a determination under section
705(b) or 735(b) may not be disclosed by the administering authority under protective
order until either an order is published under section 706(a) or 736(a)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r the investigation is suspended or terminated. The Commission may delay
disclosure of customer names under protective order during any such investigation until a
reasonable time prior to any hearing provided under section 774."
1990년 관세무역법(Mini 무역법) 제135조는, 조사결과 제706조(a)나 제736조
(a)에 의거 명령이 발해지거나 혹은 조사가 정지 또는 종료될 때까지, 제705
조(b) 혹은 제735조(b)에 의거 판정이 필요한 어떠한 조사기간에도 상무부
에 의한 고객명단의 공개를 금지토록 30년법 제777조를 특별히 수정하였다
(다시 말해, 명단공개의 금지는 행정적 재심이나 조사전 절차에서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705조(b)나 제735조(b)에 따라 판정이
요구되는 조사중에 획득된 어떠한 고객명단도 행정보호명령에 따른 조사결과
로서 제706조(a)나 제736조(a)에 따라 명령이 발해질 때까지 또는 조사가
정지되거나 종료될 때까지 행정당국에 의해 공개되지 아니한다. ITC는
제774조에 따른 청문회 전 합리적인 기간동안 행정보호명령하에 고객명단의
공개를 지연한다."

This means that the DOC may not release business proprietary customer names during an
investigation - not orally, not in verification reports, and not in any other document it
generates. Analysts must be aware that, when we give a party the opportunity to confirm
our bracketing in verifica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e investigation "segment"
of the proceeding, the party may not double bracket customer names and assume the
analyst will delete the customer names in an APO version of the document. In order to
prevent improper handling of customer names during an investigation, analysts may
choose to avoid the use of customer names if at all possible. Most importantly, analysts
must bracket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as they work in order to assure the accurate
and proper treatment of all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이것은 상무부가 조사기간동안 구두로, 검증 보고서를 통해, 혹은 어떠한
종류의 문서를 통해서도 기업의 비밀정보인 고객명단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관들은, 상무부가 조사중 이해당사자에게 검증보고서나
조사과정의 다른 문서에 괄호로 되어 있는 부분을 확인할 기회를 줄 때, 그들
이 고객명단을 이중괄호하고 분석관이 당해문서의 APO본에서 고객명단을 삭
제할 것이라고 추정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조사중 고객명단의
부적절한 취급을 막기 위해서 분석관은 가능하면 고객명단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분석관들이 업무중에 영업비밀정보의 정확하고 적절
한 취급을 위해 영업비밀정보에 반드시 괄호를 해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4. Mark all APO versions of business proprietary documents with the notation
"Business Proprietary - APO Version". The APO version of a proprietary
document should be identical to the proprietary document, with certain limited
exceptions. The limited exceptions may include customer names or identifiers in
an investigation only and certain information for which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re is a clear and compelling need to withhold from disclosure under APO.
This type of information might include sources of information, and trade secret
information. Note the different treatment of [[customer]] names/identifiers in
investigations and other proceeding segments.
4.영업비밀이 포함되어 있는 문서의 APO본은 "영업비밀정보-APO본"이라
고 표시 되어야 한다. APO본 문서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영업비밀
문서와 동일하여야 한다. 제한된 예외에는 고객명단과 조사용도만의
확인자, 그리고 APO제도하에서 공개가 유보되어야 하는 명백하고 현존
하는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특정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종류의
정보에는 정보의 출처, 거래비밀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조사과정과
다른 절차간에 고객명단/확인자의 취급이 다르다는 것에 유의한다.

5. Never divulge proprietary information, either orally or in writtrn form, to anyone
not authorized to have access to the information. (Always assume that someone is
authorized to have access unless you know that the individual is a Department
colleague officially working on the case, the submitter of the information, or is
specifically authorized by the Department's APO for that segment of the
proceeding.)
5. 정보접근권이 없는 어떤 사람에게도 구두나 문서형태 어느 것이든지
비밀정보를 누출해서는 아니된다. (해당사건에 참여하는 상무부직원,
정보제공자, 혹은 APO진행절차상 상무부에 의해 특별히 권한이 부여된
자가 아니면 정보접근권이 없다고 항상 추정하라.)

6. Never use proprietary information for any purpose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the specific segment of the proceeding in which it was obtained or in which it is
authorized for use.
6. 비밀정보는 그것이 획득되거나 사용이 허락된 특정 조사절차상의 목적이
외에의 어떤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An APO is the legal mechanism by which the DOC controls the limited disclosur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The DOC
authorizes the relea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under APO when the
representatives file an application for APO access (FORM ITA-367) in which they agree
to be bound by the terms of the APO. Applicants must:
-
o use the information only in the segment of the proceeding in which it was
submitted or in which it is authorized for use,
o protect the information from unauthorized disclosure,
o report any violation of the terms of the APO, and
o acknowledge the sanctions that may be imposed should there be a violation of the
terms of the APO.
-
APO는 상무부가 이해관계자의 대리인에 대하여 영업비밀정보를 제한적으
로 공개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법적 장치이다. 상무부는 대리인이 APO규칙에
의한 구속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APO로의 접근(FORM ITA-367)을 신청
하는 경우 영업비밀정보의 공개를 허가할 권한을 갖는다. APO규칙의 적용을
받는 자들은 다음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ㅇ영업비밀정보는 오직 그것이 제출되거나 그것의 사용이 허가되는 절차에
서만 사용할 수 있다.
ㅇ허가되지 않는 공개로부터 정보를 보호하여야 한다.
ㅇAPO의 조건에 대한 위반을 보고하여야 한다.
ㅇAPO규칙을 위반할 때에는 제재조치가 가해진다는 사실을 인지하여야 한다.

19 CFR 351.305 deals with procedures for obtaining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under APO. Paragraph (a) sets forth a new procedure based on the use of a single APO
for each segment of a proceeding. It also establishes the requirements an authorized
applicant must meet if they have APO access. Paragraph (b) establishes the APO
application process. Paragraph (c) concerns approval of an APO application.
19 CFR 351.305는 APO하에서 영업비밀정보를 얻는 절차를 다룬다. (a)항
은 각 절차상의 개개의 APO사용에 근거하는 새로운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그것은 신청자가 APO에 의한 정보접근시 반드시 지켜야 할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b)항은 APO의 적용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c)항은 APO 신청
의 승인을 다루고 있다.

A. The New APO
A. 새로운 행정보호 명령
19 CFR 351.305(a) sets forth a new APO procedure for the DOC. A single APO is
placed on the record for each segment of an AD or CVD proceeding within two days after
a petition is filed or an investigation is self-initiated, or five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any
other segment. ("segment of the proceeding" is defined in section 19 CFR 351.102 as a
portion of the proceeding that is reviewable under section 516A of the Act.) All
authorized applicants are subject to the terms of this single APO.
19 CFR 351.305 (a)는 상무부의 새로운 행정보호명령절차를 설명한다. 단순
한 행정보호명령은 신청서가 제출되거나 또는 직권조사가 착수된지 2일내 에,
그렇지 않으면 다른 절차의 착수 5일내 에 반덤핑 또는 상계관세 조치의 각
진행단계마다 기록되게 된다. ("진행절차"는 법 제516호 A항에 따라 검토되는
각 절차의 한 부분으로 19 CFR 351.102 절에 정의되어 있다.) 모든 허가된
신청자들은 이러한 단순 행정보호명령 규정을 따르게 된다.

Paragraph (b)(2) also provides that an applicant must apply to receive all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on the record of the particular segment of the proceeding in
question. The purposes of this requirement are to eliminate the need for parties to prepare
separate APO versions of submissions for each of the different parties involved in a
proceeding and to reduce the number of APO violations that occur through the
inadvertent service of a document containing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o parties
not authorized to receive it. In order to avoid forcing parties to receive a submission in
which they have no interest, however, a party may waive servic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t does not wish to have served on it by another party.
(b)(2)항은 행정보호명령을 신청하는 절차를 규정하는데, 신청자들이 자신들의
Word-processing 장치로 작성할 수 있는 약식 신청서식을 규정하고 있다.
신청자는 신청서와 상무부의 행정보호명령간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무부의
행정보호명령과 일치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인정해야 한다. (b)(2)항에는
신청자가 해당되는 특정 절차에 기록된 모든 영업비밀정보를 신청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요건의 목적은 각 진행절차와 관련된 각각의 다른
이해 관계자를 위하여 서로 다른 APO본을 제출해야 하는 부담을 덜고, 자격
이 없는 이해관계인들에게 영업비밀정보가 포함된 문서를 무심코 제공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행정보호명령 위반건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해관계인들이 아무런 이해관계인도 없는 제출서류를 억지로 받게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해관계인은 다른 이해관계인이 원하지 않는 영업비밀정보의
제공을 보류할 수 있다.

19 CFR 351.305(b)(3) establishes the deadline for applying for an APO, and is a
significant change from past practice. Paragraph (b)(3) encourages parties to submit APO
applications before the first questionnaire response is filed, but permits parties to submit
applications up to the date on which case briefs are due. Under the deadline set forth in
this section, the burden on parties required to serve APO information may increase.
Parties are now provided with five days in which to serve APO information on late APO
applicants. Additionally, late applicants are required to pay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additional production and service of business proprietary submissions that were served on
other parties earlier in the segment of the proceeding. An APO application filed later in
the course of a proceeding segment will not serve as the basis for extending any
administrative deadline, such as a briefing or hearing schedule.
19 CFR 351.305(b)(3)는 행정보호명령 신청의 최종기한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과거 관행으로부터의 중대한 변화이다. (b)(3)항은 당사자들이 가능한
첫 번째 질문서 답변이 제출되기전 행정보호명령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당사자가 사건설명이 끝나는 당일에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은
허용된다. 이장에 규정된 최종기한 때문에 당사자들이 행정보호명령정보를 제공
하는데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해관계인들이 늦게 행정보호명령 신청을
한 경우 5일 내에 행정보호명령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뒤늦은 신청자들은
전절차에서 다른 이해관계인들이 이미 제공받은 영업비밀의 추가생산이나
제공에 따른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절차진행과정에 늦게 제출된 행정보호
명령 신청서는 보고회 또는 청문회 일정과 같은 행정절차상의 기한을 연장
하는 근거로서 취급될 수 없다.

When an application is approved, the name of the authorized applicant will be placed on
an APO service list that the DOC maintains for each segment of a proceeding. Paragraph
(c) provides that the DOC will use the most expeditious means available to provide
parties with the APO service list on the day the list is issued or amended. The DOC will
fax every change in the APO service list directly to each party on the APO service list and
public service list for each proceeding. (The APO team will obtain information
concerning the public service list from the analysts assigned to the case.) APO service
lists will also be available to the public on the ITA's home page of the Internet.
신청서가 승인되었을 때 허가된 신청인의 이름은 상무부가 각 단계별로
가지고 있는 행정보호명령 서비스 목록에 비치될 것이다. (c)항은 상무부가
목록이 발행되었거나 수정된 당일에 행정보호명령 서비스 목록이 효율적으로
이해관계인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가장 신속한 방법을 이용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 상무부는 진행중인 각 행정보호명령 서비스 목록의 모든 변동사항
을 행정보호서비스 목록과 공공서비스 목록에 들어있는 각 이해관계인에게
직접 fax로 전송할 수 있다. (APO team은 사건을 배당 받은 분석관으로부터
공공서비스 목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행정보호명령 서비스 목록 역
시 국제무역행정처(ITA)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일반대중이 이용할 수
있다.

Rules concerning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are contained in 19 CFR
351.306. Paragraph (a) addresses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by the
Secretary. Paragraph (b) concerns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one
segment of a proceeding in another. Paragraph (c) addresses the identification in
submissions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multiple persons. Paragraph (d)
concerns disclosures to parties not authorized to receiv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영업비밀정보의 이용에 관한 규칙은 19 CFR 351.306에 나와 있다. (a)항은
장관의 영업비밀정보 이용에 대해 설명한다. (b)항은 절차상의 영업비밀정보
가 다른 절차에서 활용되는 것에 관한 것이고, (c)항은 다수인으로부터의
제출된 영업비밀정보의 확인에 관한 것이며. (d)항은 영업정보를 받을 수 있
도록 허가되지 않은 이해관계인에게 대한 공개에 관한 사항이다.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by the Secretary is addressed in 19 CFR
351.306(a). The Secretary may disclos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only to
1. An authorized applicant,
2. An employee of the DOC or the ITC directly involved in the proceeding in
which the information is submitted,
3. An employee of the Customs Service directly involved in conducting a
fraud investigation relating to an AD or CVD duty proceeding,
4. The U.S. Trade Representative as provided by 19 U.S.C. 3571(i),
5. Any person to whom the submitting person specifically authorizes
disclosure in writing, and
6. A charged party or counsel for the charged party under 19 CFR part 354.
장관에 의한 영업비밀정보의 이용은 19 CFR 351.306(a)에 나와 있다. 장관
은 오직 다음 사람에게 영업비밀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1. 허가 받은 신청인
2. 정보가 제출된 조사절차에 직접 관계된 ITC 또는 상무부 직원
3. 반덤핑 혹은 상계관세 조사절차와 관련되는 허위조사를 하는데 직접
관련된 세관 직원
4. 19 U.S.C 3571(ⅰ)에 의해 규정된 미국무역대표부
5. 제출자가 서면으로 특별히 공개를 허용하도록 한 사람
6. 19 CFR part 354에 따라 관련된 이해관계인 또는 관련된 이해인의
변호인.

The URAA amended section 777(b)(1)(A)(i) of the Act to clarify that the DOC may us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or the duration of an entire proceeding (from initiation
to termination or revocation) as opposed to merely the particular segment of a
proceeding for which information was submitted.
UR 협정에 따라 개정된 법 제777조(b)(I) (A)(i)에 따라 정보가 제출된
특정절차뿐만 아니라 모든 조사진행기간(착수에 종결 또는 취소까지)동안
상무부가 영업비밀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분명히 되어있다.

The URAA identifies three specific instances in which the DOC would be expected to use
information from different segments of proceedings or different proceedings as follows:
(1) information from prior segments may be used in a sunset or changed circumstances
review of the same proceeding (section 777(b)(1) of the Act); (2)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a sunset or changed circumstances review resulting in revocation may
be used in an investigation on the same merchandise from the same country initiated
within two years of revocation (section 777(b)(3) of the Act); and (3) information from a
terminated investigation may be used in a new investigation on the subject merchandise
from the same and another country within three months of termination of the prior
investigation (sections 704 and
734 of the Act).
UR 협정에서 상무부가 별개의 조사절차나 별개의 진행과정에서 정보를 이용
할 수 있는 경우로서 아래와 같은 3가지를 구별해 놓고 있다.
(1) 이전 단계(segment)에서의 정보는 동일 건의 일몰재심사 또는 상황변동
재심사에서 이용될 수 있다. (법 제777조(b)(1))
(2) 일몰재심사 또는 상황변동 재심사 결과 철회로 결론난 건의 영업비밀
정보는 철회후 2년내에 착수된 동일국가로부터 동일상품에 대한 조사에
서 이용될 수 있다. (법 제777조(b)(3))
(3) 종결된 조사로부터의 정보는 이전 조사의 종결 3개월 이내에 동일국가
또는 다른 국가로부터의 동종의 상품에 대한 신규조사시 이용될 수 있
다. (법 제704조, 제734조)

As stated above, section 777 of the Act permits the DOC to us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or the duration of an entire proceeding, from initiation to termination or
revocation. Although IA may have access to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another segment of the proceeding, IA may not base a decision o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hat is not on the record of the particular segment of the proceeding. 19 CFR
351.306(b) deals with the us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by parties from one
segment of a proceeding to another. Generally, the APO authorizes parties to retai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or two additional segments after the segment in which
th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as submitted (i.e., two subsequent consecutive
administrative reviews, or in any other segment initiated during those two administrative
reviews). An authorized applicant may plac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received in
one segment of a proceeding on the record of additional segments as classified but only if
the information is relevant to an issue in the subsequent segment. Onc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s placed on the record of a subsequent proceeding, it remains a
permanent addition to the later record.
위에 명시된바와 같이 법 제777조는 상무부가 착수로부터 종결 또는 취소
의 전기간동안 영업비밀정보를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비록 수입행정실이
다른 절차로부터 영업비밀정보에 접근할 수 있지만, 특정 절차상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업비밀정보를 결정의 근거로 할 수는 없다. 19 CFR 351.306(b)
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한 절차에서 다른 절차로 옮겨져서 영업비밀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행정보호명령에 의하면
이해당사자는 영업비밀정보가 제출된 절차후의 2개의 추가 절차에 영업비밀
정보를 계속 보유할 수 있다 (즉, 두 연속적인 행정심사, 그렇지 않으면 두
행정심사 기간중 착수된 다른 어떤 절차에). 권한 있는 신청인은 정보가 다음
절차의 당면 문제와 관련되는 경우로 분류되는 경우에만 전단계에서 받은 영
업비밀을 다음단계의 기록으로 할 수 있다. 일단 영업비밀정보로 이어지는
진행절차상에 기록되면 그것은 그후의 기록에 변화 없이 추가된다.

C. Identifying Parties'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C. 이해관계인의 영업비밀정보 확인
-
The identification in submissions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from multiple
persons is covered in 19 CFR 351.306(c). The DOC requires that APO applicants request
access to all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submitted in a particular segment of a
proceed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bmissions, such as briefs, that includ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of different parties, the submission must identify each piec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ncluded and the party to which the information pertains.
(For example, Information Item #1 came from Respondent A, Information Item #2 came
from Respondent B, etc.)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to enable parties to submit a
single APO version of a submission that may be served on all parties represented by
authorized applicants instead of forcing parties to submit and serve different APO
versions for each of the parties involved i이다.
-
허가된 신청자가 대리하지 않는(비교적 드문 경우) 이해관계자를 위하여
제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해당사자만의 영업비밀정보만이 포함되도록 별도
로 준비하여 제출해야 한다. 제출시에 괄호표시로 되어 있는 영업비밀정보는
다른 이해당사자의 영법비밀정보라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문서를 제출한
이해당사자의 영업비밀정보로 간주된다.

IX. NOTIFICATION OF DESTRUCTION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제9절 영업비밀정보의 파기통보
Paragraph (a)(3) of 19 CFR 351.305 requires the destruction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hen a party is no longer entitled to it, as well as certification that destruction
has been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parties may now retai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gment of the proceeding in which the
information was submitted.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will be triggered at a much
later date, which will be at the end of the last segment of the proceeding for which
information may be used. Because this will vary from case to case, the specific time at
which a party must destroy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s described in the APO.
19CFR 351.305(a)(3)에서는 이해관계인이 더 이상 타인의 영업비밀정보를
보유할 자격이 없는 때에는 그 정보를 파기함은 물론 파기가 이루어졌다는
증명서를 요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해관계인은 정보가 제출된 반
덤핑조사절차의 완료(completion)후에도 타인의 영업비밀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파기증명서는 상당히 늦게 제출하게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관련정보가 이용된 반덤핑조사의 최종절차가 종료된 시점이다. 영업비밀정보
를 파기해야 하는 특정시점은 각 조사 케이스마다 다르기 때문에 행정보호명
령(APO)에 의해서 정하여 진다.

The APO Office will consult with the analyst assigned to the case to confirm the
eligibility of the representative, the party represented, an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concerning other parties to the proceeding and the public service list for the case.
Analysts must keep the APO Office informed about any changes to the public service list
as the APO Office has no way of knowing this information other than from the analyst.
Without accurate information, the APO Office will not be able to inform all parties
properly as required about the existence of the APO service list and any amendments to
the APO service list as they occur.
APO Office는 대리인 및 피대리인의 적격성을 확인하고 조사진행과 관련된
다른 이해당사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와 공공서비스 목록을 얻기 위하여
케이스 담당 분석관과 상의하게 된다. APO Office는 분석관을 통하여서만이
공공서비스 목록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분석관은 공공서비스목록상의
어떤 변화라도 APO Office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정확한 정보가 없다면,
APO Office는 APO 서비스목록이나 목록의 변경내용 등을 요청 받을 때에
적절히 모든 이해당사자에게 알려줄 수 없게 된다.

If we determine that the information should be released subject to the APO, the submitter
of the information is notified in writing of the determination in accordance with 19 CFR
351.304(d)(1)(iii), and provided with two business days to serve the contested
information on the parties subject to the APO. If the party does not serve the information
on the parties subject to the APO as directed, the DOC will return the information to the
submitter and not consider it further. That information may not be resubmitted and used
in the same segment of the proceeding at a later date. The DOC's APO determinations
can be immediately challenged before the Court of International Trade (CIT) within two
business days of the APO determination.
또 어떤 정보가 APO상 정보공개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경우에는 19CFR
351.304(d)(1)(ⅱ)에 의거하여 그 정보의 제출자에게 문서로서 결정사항을
알려주어야 하며, APO규칙에 따른 당사자에게 관련정보 제공을 위하여 2일
간이 주어진다. 만일 해당 당사자가 APO에서 규정한 다른 당사자에게 정보
를 제공하지 않으면, 상무부는 그 정보를 제출자에게 돌려주고 조사과정에서
더 이상 그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 정보는 다시 제출될 필요는 없으며,
추후에 같은 덤핑조사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무부의 APO 결정에 대하여
그 결정일로부터 2일(공휴일 제외) 이내에 CIT(국제무역법원)에 제소할 수
있다.

Failure to provide the required information or to properly mark the case number
and the segment of proceeding on the document, or to identify the document as
"Business Proprietary - Releasable Under APO" will result in the delay of the release
of the information.
요청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거나 케이스번호와 문서상 덤핑조사 진행단계
등이 적절히 표시되지 않는다거나 "영업비밀정보-APO에 의한 정보공개"라고
문서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정보의 공개가 지체되게 된다.

AGREEMENT REGARDING LIMITED DISCLOSURE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IN THE ANTIDUMPING/COUNTERVAILING
DUTYPROCEEDING: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ase Name/Case Number/Segment of Proceeding)
-
I hereby swear (or inform) that I will:
-
A. not divulge any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proceeding, or
information created by the Commerce Department which contains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to any person other than:
-
1. personnel of agencies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directly responsible for
conducting this proceeding or who are involved in this proceeding;
-
2. the person from whom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
B. use such information solely for the purpose of this proceeding by the persons
described in paragraphs 1 and 2 above;
-
C. not consult with any person other than a person described in paragraph A 1 or 2 of
this agreement concerning such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ithout obtaining
the approval of the Commerce Department and the party (or the attorney for the
party) from whom such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
D. take adequate precautions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business proprietary materials
and the information contained therein subject to this agreement;
-
E. promptly report any breach of such agreement to the Commerce Department;
-
F. Upon completion of this proceeding, or at such earlier date as may be determined
appropriated for particular data, the security of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will
be protected by the return of all copies of materials released to me pursuant to this
agreement and the destruction of all other materials containing the businesss
proprietary information (such as notes or charts based on such information received
under this agreement). The return of the proprietary documents will be accompanied
by a certificate from me attesting to my personal, good faith efforts to determine that
no other copies of such materials have been made available to or retained by any
other party to whom disclosure was not specifically authorized by the Commerce
Department.
-
I acknowledge that the breach of the condition delineated in this agreement may subject
me to administrative sanction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by the Commerce
Department.
-
_________________________
(Signature
-
_________________________
(Name - Print/Type
-
_________________________
(Agency/Business Address
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
(Telephone Number)
________________________
(Date)
-
반덤핑/상계관세 조사과정에서 영업비밀정보의 제한된 공개에 관한 협정


자료가 1000라인이 넘어 잘랐습니다.
검색은 80 건, 총 1000 라인의 자료가 출력된 상태에서 중단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