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습사전 Home
   

public disclosure

다른 곳에서 찾기  네이버사전 다음사전 Cambridge M-W M-W Thesaurus OneLook Google


자산 1,000억원 이상 또는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인 외부감사 대상 공익법인은 일정 기간 감사인을 자유 선임한 후 한동안은 국세청장이 지정하는 감사인을 선임해야 한다.
A public corporation subject to external audits, which has assets of more than 100 billion won or belongs to a business group subject to disclosure, is required to appoint an auditor designated by the head of the National Tax Service for a while after freely appointing an audit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보험계약자는 본인이 가입한 보험회사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공시실로 이동해 현재 판매중이거나, 판매중지된 상품 약관·상품요약서를 확인할 수 있다.
If the policyholder clicks on the link to the insurance company he or she subscribes to, he or she can enter the public disclosure office immediately to check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product that are currently on sale or suspended from the sale.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관보에 게재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자료'에 따르면 한 위원장은 부 명의의 대전 소재 토지와 아파트를 제외하고는 본인 명의의 부동산이 없다.
According to the "High-Level Public Officials' Property Disclosure Data" posted in the official gazette by the Government Officials Ethics Committee on the 25th, Chairman Han has no real estate under his name except for land and apartments in Daejeon under his name.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 지구 등 지역에 따라 적용되는 LTV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미리 자신이 주택을 거주하려는 지역에 적용되는 LTV를 따로 찾아본 다음에 공시를 찾아야 한다.
Since LTV that applies to areas such as speculative areas and overheated speculation zones are different, consumers should look for LTV that applies to areas where they want to live in advance and then seek public disclosure.

Proprietary Treatment
-
If a party requests proprietary treatment of information, and if the Department agrees that the
information is proprietary, the Department will protect the information from public disclosure. If
the Department does not agree that the information is proprietary, it will return the information
and not rely on it in the proceeding, unless the submitter agrees that it may be made public.
When requested, Department will disclose proprietary information only to United State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and United States Customs Service officials and, under limited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s,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Section 777(b) of the Act.
See also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
영업상 비밀취급(Proprietary Treatment)
-
만약 이해관계자가 제출정보를 비밀정보로 취급하여 달라고 요청하고
상무부가 이를 인정하는 경우 상무부는 동 정보가 공개되지 않도록 보호
할 것이다. 만약 상무부가 동 정보를 비밀로 취급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동 정보의 제출자가 공개에 동의하지 않는 한 상무부는 동 정
보를 반려하고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동정보를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3. Whether or not it can be disclosed to the public, is under APO, or is subject to
protection from disclosure as privileged. This issue is separate from the scope
of the record.
3. 문서가 대중에 공개될 수 있는지, 행정보호명령에 따라 공개되는
지, 또는 특별취급 문건으로서 공개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지
여부. 이러한 문제는 행정기록의 범위와는 별개이다.

In order to properly conduct an antidumping duty investigation or administrative review,
we require certain information from businesses that is generally not released to the public.
Understandably, parties to the investigation or administrative review do not want to
release this information unless we provide safeguards that the data will be protected from
public disclosure. Proprietary classifica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o
the public, is used under controlled circumstances in our proceeding, and is available to
counsel for an opposing party only under an APO (see Chapter 3). Under 19 CFR
351.304, the following types of information are examples of information eligible for
proprietary classification:
- business or trade secrets concerning the nature of a product or production
process
- production costs
- distribution costs (but not channels of distribution)
- terms of sale (but not terms to the public)
- prices of individual sales, likely sales, or offers
- names and other specific identifiers of particular customers, suppliers, or
distributors
- names of particular persons from whom propr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반덤핑관세 조사나 행정재심사를 제대로 하기 위하여는 대개 일반에는
공개되지 않은 업계의 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당연히 조사나 행정재심사
의 당사자들도 해당정보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안전장치가 제공되지
않으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영업비밀로 분류한다
는 것은 해당정보가 일반대중에는 공개되지 않고, 조사진행 과정에서도
통제상황하에 이용되고, 행정보호명령에 의거해서만 상대측 변호사가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장 참조) 19CFR 351.304에서 다음
유형의 정보가 영업비밀로 분류될 수 있다.
- 생산품의 특성이나 생산공정에 관련한 사업 또는 무역비밀
- 생산비용
- 유통비용 (유통경로는 아님)
- 판매조건 (일반대중에 대한 조건이 아님)
- 개별판매가격, 판매전망가격, 주문가격
- 특별고객, 공급자, 유통업자의 이름과 기타 특별 명세
- 영업비밀 정보를 얻은 특정인의 이름

A. Documents that Are Always Part of the Record of an Investigation
A. 조사관련 행정기록으로 분류되는 필수 문서
1. The petition
1. 신청서
2. Antidumping petition checklist recommending initiation with a copy of the
signed FR notice
2. 서명필 연방관보 공고의 사본이 첨부된 조사개시를 권고하는 반덤핑
신청 점검표
3. The published FR initiation notice
3. 연방관보상의 조사개시 공고
4. Cable to U.S. Embassy abroad notifying it of initiation
4. 해외 미국대사관에 조사개시를 통지하는 전문
5. The preliminary ITC injury determination
5. 국제무역위원회의 예비피해판정
6. Questionnaires and supplemental questionnaires
6. 질문서와 보충질문서
7. Questionnaire responses and supplemental responses (public and business
proprietary versions)
7. 질의에 대한 답변서와 보충답변서 (공개 및 영업비밀본)
8. Applications for disclosure under APO and the approved protective orders
8. 행정보호명령과 보호명령허가서에 의한 공개 신청서
9. Decision memo recommending preliminary determination with a copy of the
signed FR notice including the concurrence record
9. 합동회의 회의록을 포함한 연방관보공고 사본과 함께 예비판정을
권고하는 결정 메모
10. The published FR preliminary determination notice
10. 연방관보에 게재된 예비판정공고
11. E-mail and "module" information sent to Customs advising of the preliminary
determination and requesting suspension of liquidation (affirmative
determination) or no action (negative determination)
11. 예비판정 및 청산중지요청(긍정판정) 또는 현행유지(부정판정)를
세관에 통보한 E-mail과 모듈 정보
12. Records of any ex-parte meetings
12. 일방 당사자회의 회의록
13. Ministerial error claims and decision memos, if appropriate
13. 해당될 경우, 행정적 오류 시정 요청서와 결정 메모
14. Verification documents, including outlines, reports and exhibits
14. 개요, 보고서, 증거서류를 포함한 입증문서
15. Requests for hearings, pre-hearing briefs, rebuttal briefs and hearing transcripts
15. 청문 요청서, 예비청문회 요약서, 반박 요약서, 청문회 속기록
16. Supplemental submissions containing factual information
16. 사실정보가 포함된 보충제출 문서
17. Decision memo recommending final determination, termination of
investigation, or suspension of investigation, with signed FR notice attached
(including the concurrence record)
17. 서명필 연방관보 공고(합동회의 회의록 포함)가 첨부된 최종판정,
조사 종결, 조사 정지를 권고하는 결정메모
18. Any changes to electronic data bases and computer programs for calculating margins
18. 덤핑률 산정을 위한 전자데이터베이스와 컴퓨터프로그램상의 변화 내용
19. Published FR notice of final determination, termination of investigation, or
suspension of investigation
19. 최종판정, 조사종결 또는 조사정지에 대한 공표된 연방관보의 공고
20. E-mail and "module" information sent to Customs advising of the final
determination
20. 최종판정을 세관에 통보한 E-mail과 모듈 정보
21. Ministerial error claims and decision memos, if appropriate
21. 해당될 경우, 행정적 오류 시정 요청서와 결정 메모

A. Documents that Are Always Part of the Record of a Review
1. Signed FR notice of opportunity to request a review
2. Letters requesting a review
3. Notice of initiation of review
4. The questionnaires and supplemental questionnaire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e review
5. Responses to questionnaires (public and business proprietary versions)
6. Any applications for disclosure under APO and the protective orders.
7. Decision memo recommending preliminary results of administrative review,
with a copy of the signed FR notice
8. Published FR notice of preliminary results
9. Any requests for hearings, pre-hearing briefs, rebuttal briefs, or transcripts of
hearings
10. Records of any ex-parte meetings
11. Decision memo (if one is necessary) recommending final results of
administrative review, with a copy of the signed FR notice attached (including
the concurrence record)
12. Any changes to electronic data bases and computer programs for calculating
margins
13. Published FR notice of final results
14. All e-mail instructions to Customs
A. 행정재심관련 행정기록으로 분류되는 문서
1. 재심 요청기회가 기재된 서명필 연방관보공고
2. 재심 요청 서한
3. 재심 개시 공고
4. 재심을 위한 정보수집에 사용된 질문서 및 보충질문서
5. 답변서 (공개 및 비공개본)
6. 행정보호명령 및 보호명령에 의한 공개 신청서
7. 서명된 연방관보 공고 사본이 첨부된 행정재심의 예비결과를 알리는
결정메모
8. 공표된 연방관보상의 예비결정 공고
9. 청문회 요청서, 예비청문회 요약서, 반박 요약서, 청문회 속기록
10. 일방 당사자회의 회의록
11. 서명된 연방관보 공고 사본을 첨부한 (합동회의 회의록 포함) 행정
재심의 최종결과를 알리는 결정메모 (필요시)
12. 덤핑률 산정을 위한 전자데이터베이스와 컴퓨터프로그램상의 변화내용
13. 공표된 연방관보상의 최종결과 공고
14. 세관에 대한 모든 E-mail 지시서

C. Privileged Information
The description of what the DOC considers to be privileg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an AD or CVD proceeding is set forth in 19 CFR 351.105(d). This section explains
that the DOC will consider information privileged if, based on principles of law
concerning privileged information, it decides that the information should not be released
to the public or to parties to the proceeding. Only the U.S. Government can assert
privilege. Generally, an example of a type of information that would be considered
privileged is the name of an informer in a fraud investigation. Privileged information is
exempt from disclosure to the public or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even under
the terms of an administrative protective order (APO). Privileged information,
however, is put on the record in a privileged index, and released to parties under judicial
protective order (JPO) unless the court agrees not to release it. Privilege also applies to
attorney-client privilege or pre-decisional material.
C. 특권부여정보
반덤핑이나 상계관세절차의 목적을 위해 상무부가 특권부여정보로 간주
하는 것은 19 CFR 351.105(d)에 설명되어 있다. 이 조항에 의하면 상무부가
특권부여정보에관한법률의 원칙에 근거하여 일반대중이나 진행중인 절차의
이해 당사자에게 공개되어서는 아니된다고 결정한 정보를 특권부여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오로지 미국정부만이 특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권을 부여받는 것으로 간주되는 정보유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사기사건
수사에서의 고발자의 이름을 들 수 있다. 특권을 부여받은 정보는 일반대중
뿐만 아니라 행정보호명령(APO)하에서 관련 이해당사자의 대표들에게까지도
공개가 면제된다. 그러나 이 정보는 특권부여 목록에 등재되어야 하고 법원
이 비공개를 동의하지 않는 한 사법적 보호명령하에서는 당사자에게 공개
된다. 또한 특권은 변호인-의뢰인의 특권이나 결정전 자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D. Classified Information
Classifi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classified under Executive Order No. 12356
of April 2, 1982, or successor executive order, if applicable. An example of this type of
information is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Classified information is exempt from
disclosure to the public or to representatives of interested parties under the terms of an
APO. Generally, this type of information would not be presented to the DOC in the
context of an AD or CVD proceeding.
D. 비밀정보
비밀정보는 1982. 4. 2 행정명령 제12356호와 후속명령하에서 비밀로 분류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유형이 국가안보정보이다. 비밀정보는
APO하에서도 대중이나 관련 이해 당사자 대표에게 공개가 면제된다. 일반적
으로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반덤핑이나 상계관세절차 진행 중에는 상무부에
제출되지 않는다.

As noted above, public versions of documents containing public summaries or an
explanation of why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cannot be summarized are required
to be filed one business day after the due date of the business proprietary version of the
document with the final business proprietary version of the document. As explained
below, failure to submit a proper public version of the business proprietary document will
result in the rejection of the business proprietary document. The summaries must be
sufficiently detailed to allow a reasonable understanding of the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ubmission. 19 CFR 351.304(c)(1) permits a party to claim
that summarization is not possible. However, the regulations also state that the DOC will
vigorously enforce the requirement for public summaries, and will grant claims that
summarization is impossible only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Parties may only
publicly summarize their own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No party should publicly summarize another party's business proprietary information
because it may lead to the improper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which would be a
violation of the APO.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개요약내용의 첨부나 영업비밀정보를 요약할
수 없는 이유를 포함한 공개본은 최종비공개본과 함께 비공개본 제출일의
다음날까지 제출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영업비밀
문서의 공개본을 제출하지 못하면 영업비밀서류의 접수가 거절된다. 요약본은
영업비밀정보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여야
한다. 19 CFR 351.304(c)는 이해당사자가 요약본의 제출이 불가능하다고 주장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규칙은 또한 상무부가 공개요약본을
제출하도록 강력히 유도할 수 있도록 즉, 오직 예외적인 상황하에서만 요약본
의 제출을 면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해당사자들은 그들 자신의 영업비밀정보
만을 공개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모든 이해당사자는 다른 당사자의 비밀정보
를 요약할 수 없는 데, 그 이유는 그것이 APO위반이 되는 부당한 정보공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50조 ①국회의 회의는 공개한다. 다만,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거나 의장이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공개하지 아니할 수 있다.
Article 50
(1) The ses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shall be open to the public: Provided, That when it is decided so by a majority of the members present, or when the Speaker deems it necessary to do so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they may be closed to the public.
②공개하지 아니한 회의내용의 공표에 관하여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2) Public disclosure of the proceedings of sessions which were not open to the public shall be determined by Act.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 : Act on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Public Agencies

경영공시: Public Disclosure of Management Performance


검색결과는 15 건이고 총 233 라인의 자료가 출력되었습니다.    맨위로
(화면 어디서나 Alt+Z : 단어 재입력.)
(내용 중 검색하고 싶은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를 더블클릭하세요.)